한국지반공학회 봄 학술발표회 및 정기총회
2023년 3월 22일 (수) ~ 3월 23일 (목) / 여수엑스포컨벤션센터

2023년 제39회 정기총회 수상자
■ 김수일 기념상 학술 - 권오균(계명대학교)
기술 - 강병윤(수성엔지니어링)
■ 학술상 황영철(상지대학교) / 김성렬(서울대학교) / 윤태섭(연세대학교)
■ 기술상 신동훈(한국수자원공사) / 박종식(한화/건설) / 정찬기(KCC건설)
■ 학회장상 김성희(University of Georgia) / 김대현(조선대학교) / 박헌준(서울과학기술대학교)
■ 특별상 백 용(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김남룡(K-water 연구원)
■ 국문논문상 한진태(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영어논문상 문성우(Nazarbayev University)
■ 젊은지반공학인 논문상 서승환(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23년 봄 학술발표회 후기

윤 태 섭
연세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교수
학술전담이사
(taesup@yonsei.ac.kr)
우리 학회는 2023년 3월 22일과 23일 양일간 여수엑스포컨벤션센터에서 봄학술발표회 및 정기총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학술발표회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이하여 전면적인 대면행사로 개최되었다. 정문경 회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전라남도 박창환 정무부지사는 5년만에 다시 방문한 한국지반공학회를 크게 환영하며 전라남도 지역의 건설 산업 현황을 소개하고, 학회와 함께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바탕으로 성공적인 학술발표회를 위한 축사를 하였다.
이어서 대한토목학회 허준행 회장은 우리 학회의 다양한 국제활동과 지반공학의 중요성, 대한토목학회와의 연계성을 강조하며 축사를 하였다. 초청강연은 지반동역학과 액상화 분야의 전문가인 동경대학교의 Junichi Koseki 교수가 ‘액상화 과정에서의 반복하중 효과에 대한 분석’이란 주제로 발표를 하였다. 실내 실험에 대한 각종 기준 및 다양한 실내실험 조건에서 발생하는 액상화 현상을 소개하였다. 이어서 우리학회의 제39회 정기총회가 컨퍼런스 홀에서 개최되었다. 공식적인 총회 전, 제19대 집행부의 지난 2년을 돌아보며 주요 활동과 성과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최창호 박사가 발표하였다. 정문경 학회장의 인사 및 감사보고를 시작으로, 총 20명의 학회상 시상이 있었다. 제19대 집행부를 마무리하고 제20대 회장으로 선출된 명지대학교 김영욱 교수를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집행부가 첫발걸음을 시작하였다. 신임 김영욱 학회장은 부회장 9명과 이사 26명에 대한 인준을 시작으로 제20대 집행부를 이끌 계획과 포부를 밝혔다. 각종 심의 및 주요 사업 및 행사에 대한 회원 보고를 마지막으로 총회가 마무리되었다. 이어 행사장 2층에 마련된 Geo-Expo 개막식이 거행되었다. 지난 3년간 오프라인 행사의 제약으로 실시되지 못했던 Geo-Expo 행사에는 총 20개 업체 및 기관이 참여하여 부스를 준비하였다. 황영철 부회장의 사회로 테이프 커팅식을 개최하였고 오랜만에 설치된 참여업체 부스에 많은 회원들이 관심을 보였다.

이번 봄학술발표회에는 총 16개의 세션이 준비되었다. 특히 개최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전라남도 특별세션은 김영상 교수가 좌장을 맡아, 전남개발공사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현황에 대한 발표, 전남지역의 연약지반 특성 및 연약지반 개량용 토목섬유 관련 기술 개발, 흙막이 붕괴에 대한 발표가 있었다. 또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특별세션과 5개의 전문위원회 세션 (신뢰성기반한계상태설계법연구회, 사면안정기술위원회, 철도지반연구회, 지반역학 및 불포화지반기술위원회, 지반조사기술위원회), 일반 및 학생세션, 포스터 세션에 170여편이 넘는 논문이 발표되었다. YGE포럼이 주관하고 한국과학기술원 주진현 교수가 참석한 ‘젊은 지반공학자의 커리어 발전 및 국제화’ 행사를 통해 젊은 연구자들이 어떤 준비를 거쳐 성장하고 본인의 커리어를 개발할 수 있을지 대학원생과 신진 연구자 간의 활발한 의사소통 기회를 가졌다.

이번 행사는 전라남도청과 여수시의 지원금과 참여기업의 후원 등 많은 분들의 도움을 통해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특히 전라남도에서 70여명의 공무원이 참여하여 우리 학회 활동에 큰 관심을 보였으며, 컨퍼런스 홀을 가득 메우고도 모자랄 정도로 많은 회원들이 참석하였다. 학술발표회는 지반공학에 대한 최신 연구 및 현장 기술에 대한 교류 뿐만 아니라 회원 간의 친목, 지역사회와의 교류도 매우 중요하다. 여수에서 개최된 이번 행사는 오프라인 행사의 자유로움을 만끽하며 친밀감 높은 회원 교류의 시간이었다고 생각한다. 학술발표회를 축하해주기 위해 보내주신 쌀화환은 지역에 기부하였다. 봄학술발표회 준비를 위해 헌신적으로 노력한 사무국 및 학술분과 위원들, 지원을 아끼지 않은 회원사, 세션 구성을 위해 수고해주신 모든 회원 분들께 감사의 인사들 전합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특별세션] 중소기업 상생을 위한 기술 지원 연구
좌장 : 김주형 박사(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번 봄학술발표회에서는 건설연“중소·중견기업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된 4편의 기술 개발 지원 결과를 특별세션의 형태로 발표하고, 회원들과 의견을 교환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발표에 앞서 건설연의 “중소·중견기업 지원사업”에 대한 소개가 있었고, 특별세션에서는 (유형1-국내)『기술실용화 및 사업화 지원』카테고리 해당 연구결과 3편, (유형3-해외)『해외 기술 현지화 사업』카테고리 해당 연구결과 1편이 발표되었습니다.
첫 번째 발표는 지반개량재료를 개발하고 생산하는 ㈜지안산업의 서세관 연구소장이 “베트남 순환자원을 활용한 지반혼합공법 현장시공 사례 연구”를 직접 발표해주셨습니다. 본 연구 내용에서는 베트남에서 발생하는 플라이애쉬와 고로슬래그 샘플을 국내로 반입하여 지반안정재료로써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현장시험을 실시하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23년에 베트남에 시험 적용을 위한 계획 수립 관련 내용이 발표되었습니다.
두 번째 발표는 건설연 김종관 박사가 “동적원심모형실험을 이용한 각도에 따른 삼축내진말뚝의 내진성능평가”라는 주제로 발표해주셨습니다. ㈜에스와이텍이 개발한 삼축말뚝에 대해 건설연의 연구진들이 원심모형시험 수행을 통해 동적인 성능을 확인하여 ㈜에스와이텍이 가지고 있었던 삼축말뚝에 대한 동적 성능 평가 결과 도출의 어려움을 해결한 내용이 발표되었습니다.
마지막 발표로는 건설연 고영훈 박사가 “고속충격파 반응형 전색재료 적용에 따른 발파공 압력 측정 및 대규모 암발파 현장실험”에 대한 내용을 발표해주셨습니다. 기존 모래나 자갈 대신 ㈜석성발파건설이 개발한 새로운 전색재료를 이용하여 높은 발파율과 버럭의 평균파쇄입도가 일반 발파공법 대비 60% 수준으로 개선되었다는 연구 결과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석성발파건설의 전색재료 성능 평가를 위한 애로사항을 해결한 내용이었습니다.
이번 특별세션에서는 건설연 연구자들과 각 기술의 당사자인 ㈜지안산업, ㈜에스와이텍, ㈜석성발파건설 대표 또는 연구소장이 토론 시간에도 참가하여 우리 회원들과의 심도 있는 질의 응답시간을 가졌습니다. 특히, 특별세션에 참가해주신 시공 업체 전문가들과 현장감 있는 질문 및 코멘트를 통해 추후 보완해야할 부분들을 함께 논의하여 해당 중소기업들에게는 현장 전문가를 직접 만날 수 있었던 매우 좋은 기회가 되었습니다. 추후에도 모두에게 관심 높은 주제 발굴을 통해 다양한 전문가들이 함께 논의할 수 있는 건설연 특별세션을 만들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지반조사기술위원회] 지반조사와 인공지능
좌장 : 김병민 교수(울산과학기술원)
지반조사기술위원회에서 주관하여 “지반조사와 인공지능”이라는 특별 세션을 개설하였습니다. 요즈음 모든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인공지능 기법을 지반공학과 지반조사 분야에 적용하는 사례들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를 반영하기 위해서였습니다. 많은 분의 관심 덕분에, 지질공학과 지반공학 분야를 아우르는 다양한 주제의 발표를 구성할 수 있었습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류동우 책임연구원은 전기비저항탐사에 U-Net 기반의 딥러닝을 적용하여 연약대를 파악하는 기술 개발에 대해 발표하였습니다. 울산과학기술원의 김지송 박사과정 학생은 Random Forest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전단파속도를 예측하는 모델을 소개하였습니다. 한양대학교 곽동엽 교수는 Light GBM을 활용하여 국내 지반의 지층주상도를 예측하는 모델을 소개하였습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김한샘 선임연구원은 지반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VolxelNet 기반의 3차원 지하공간 모델링을 수행하였습니다. 또한, 경희대학교의 남부현 교수는 Support Vector Machine(SVM)을 활용하여 지반 침하를 예측하는 모델에 대해 발표하였습니다. 이처럼, 다양한 인공지능 기법을 활용하여 지반 특성과 침하를 예측하는 연구에 대해서 알게 된 좋은 기회였습니다. 세션이 학술대회 둘째 날 오전에 열렸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청중이 참여해 주었고 활발한 질의응답을 하였습니다. 세션 후에는 발표자들끼리 간단한 점심을 함께하며, 공동연구 방안 등에 대해서 논의하였습니다. 앞으로 지반공학의 더 다양한 분야에서 인공지능 기법이 적용되기를 기대해 보았습니다.
[일반세션] 기초 및 지반IT융합
좌장 : 이창호 교수(전남대학교)
기초 및 지반IT 융합 세션에서는 아래와 같이 기초분야 4편, 지반IT융합분야 3편의 총 7편의 논문 발표가 있었습니다.
- 시각화 기법을 이용한 개단말뚝 관내토 거동 분석
- 하중전이층을 포함한 기초의 침하 예측
- S Pile과 중공철근을 이용한 CIP공법 적용의 실험적 연구
- 연약지반에서 CIP공법 변경에 따른 시공성과 경제성 향상에 관한 연구
- 포화된 지반에서의 음파를 이용한 구조물 배면의 공동 검측
- 딥러닝을 활용한 주문진 모래의 구형도 및 원마도 예측
- 인공지능 심층 신경망을 활용한 흙막이 배면 균열 추적 기초 연구
발표된 논문 중 실험적 기법 논문 2편, 수치 해석적 기법 1편, 시공법 개발 2편, 심층학습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논문이 2편으로 다양한 연구기법을 활용한 논문들이 발표되었습니다. 각각의 논문별로 발표자와 청중 간의 열띤 토론이 진행되었습니다. 열정 가득한 발표를 해 주신 7분의 발표자분들과 발표장을 가득 채워 주신 청중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일반세션] 지반역학 및 불포화지반
좌장 : 추현욱 교수(한양대학교)
본 일반세션에서는 지반역학 및 불포화지반 분야와 관련한 연구주제로 총 7편의 논문 구두 발표가 진행되었다. 첫 번째 논문은 “지열 에너지벽의 냉난방 거동에 관한 수치해석 연구”라는 제목으로 전남대학교 딩흐우바 박사께서 발표하였으며, 지열교환기의 구성 형태에 따른 열전달 성능 비교 평가에 대한 연구 결과를 공유하였다. 두 번째 논문은 “강원대학교 원심모형실험기 성능개선”이라는 제목으로 강원대학교 김재현 교수께서 발표하였다. 30여년간의 운영으로 노후화된 강원대학교 원심모형실험기의 성능개선 사항에 대한 내용을 공유하였다. 세 번째 논문은 “삼축압축시험을 통한 압축 벤토나이트의 염수조건하에서의 전단강도 평가”라는 제목으로 한국과학기술원 김진우 박사께서 발표하였다. 팽창이 진행된 압축벤토나이트의 전단시 거동 특성에 관한 연구 결과를 공유하였다. 네 번째 논문은 “이산화탄소 처리를 통한 백필용 순환골재의 성능 개량”이라는 제목으로 한국과학기술원 권태혁 교수께서 발표하였다. 이산화탄소 처리를 통해 성능개선된 순환골재의 강도 및 마모성 변화에 대한 내용을 공유하였다. 다섯 번째 논문은 “침투 그라우트 주입에 의한 지반 변형에 관한 수치해석 연구”라는 제목으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전민경 박사께서 발표하였다. 여섯 번째 논문은 “경험적 동상민감성 지수 결정을 위한 실내실험법”이라는 제목으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진현우 박사께서 발표하였으며, 마지막 논문은 “미생물에 의한 점토 침강 촉진에 대한 실험적 연구”라는 제목으로 한국과학기술원 주현우 박사께서 발표하였다.
첫날 마지막 타임에 진행된 본 세션장 내부는 청중으로 가득찼으며, 발표자들의 좋은 연구 결과 공유와 청중들과의 질의응답이 매끄럽게 이뤄졌다. 마지막 타임이었기에 발표와 질의 응답 시간에 제약을 안뒀으며 이로 인해 예정시간보다 30여분이나 늦게 끝났지만, 비로서 코로나 이후 본래 학회 학술대회의 모습으로 돌아가는 느낌을 받을 수 있었다. 지면을 빌려 어려운 시간을 내어 좋은 발표를 해준 발표자들과 자리를 가득 메워주신 청중들에게 다시 한번 감사를 표한다.
[일반세션] 터널 및 지반진동
좌장 : 곽동엽 교수(한양대학교)
2023 지반공학회 봄학술대회 두 번째 날의 첫 세션에 진행된 “[일반세션 3] 터널 및 지반진동”에서는 총 여섯 명의 발표자가 발표를 진행하였다. 오전 9시의 아침시간에도 불구하고 많은 청중들이 세션 장에 모여 발표에 집중하였다. 첫 번째 발표는 ㈜KTIM의 김준모 전무가 도시철도 2층 터널의 기획 및 적합성평가 연구에 대해 발표를 진행하였으며, 두 번째 발표는 현대건설 기술연구원의 이재원 대리가 EPB TBM의 공기 산정을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에 대해 발표하였다. 세 번째 발표는 충남대학교의 박형춘 교수가 신뢰성 있는 계측 빅데이터 구축을 위한 실시간 계측데이터의 의미 신뢰도 평가 방법 개발에 대해 발표하였으며, 네 번째 발표는 또한 충남대학교의 오현주 학생이 댐의 계측 빅데이터 구축을 위한 손실 데이터 복원 방법 개발에 대해 발표하였다. 다섯 번째 발표는 창원대학교의 오준수 학생이 광대역 지반운동 시뮬레이션과 상시미동 표면파 분석을 활용한 낙동강 삼각주 퇴적층의 액상화 평가에 대해 발표하였으며, 여섯 번째 발표는 원광대학교의 이상운 학생이 3차원 수치해석을 통한 얕은기초 건축물의 액상화 피해평가에 대해 발표하였다. 도시철도 터널, TBM 공기산정 시뮬레이션, 계측데이터 신뢰도 평가, 손실데이터 복원 방법, 표면파 분석을 활용한 액상화 평가, 3차원 수치해석을 활용한 액상화 평가 등 터널, 댐, 액상화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발표가 이루어졌으며, 발표자와 청중 간의 토론도 활발히 이루어져 세션에 참가한 모든 인원에게 유익한 시간이 되었다. 세션을 빛내 주신 발표자 분들과 청중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학생세션] 지반역학 및 불포화지반
좌장 : 원종묵 교수(울산대학교)
2023년 봄 학술대회의 지반역학 및 불포화지반 학생세션에서는 총 7개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첫번째로는 연세대학교의 이성철 학생이 함수특성곡선에 따른 산사태의 취약성 해석 결과에 대하여 발표하였고 산사태 해석 시 습윤과정에서의 SWCC 이용 필요성에 대하여 강조하였다. 두번째로 발표한 한양대학교의 고효정 학생은 불포화 조립토 세립토에서의 전기전도도 특성을 실내실험을 통하여 규명하였고 예측모델을 정립하였다. 세번째로 발표한 금오공과대학교의 우현재 학생은 ABAQUS와 COMSOL을 이용하여 지반의 동상현상을 모델링하였고 배수재의 여부에 따른 동결 시 옹벽 구조물의 취약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네 번째로 발표한 순천대학교의 김태영 학생은 전극의 기하학적 형상에 따른 전기저항 변화를 수치해석을 통하여 고찰하고 결과의 신뢰성을 이론식과 검증하였다. 다섯번째로 발표한 충북대학교의 이대원 학생은 링전단 실험을 이용하여 화강풍화토의 전단강도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고 그 결과를 고찰하였다. 여섯번째로 발표한 고려대학교의 유영근 학생은 마찰로인한 오차를 최소화 하기위한 floating-ring oedometer를 개발하고 마찰력의 감소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발표한 충북대학교의 이상빈 학생은 세립분 함량에 따른 화강풍화토의 SWCC를 실험적으로 규명하고 van Genuchten 파라미터를 산정하였다. 일곱명의 발표자 모두 본인의 발표내용에 대해 정확하게 숙지하고 원만하게 발표를 진행하였으며 각 발표별로 활발한 질의 응답이 이루어졌다. 또한 지반공학의 미래라고 할 수 있는 학생들의 다양한 불포화토/실내실험 연구주제들에 대한 열정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였다.
[학생세션] 터널 및 지반굴착
좌장 : 구태서 교수(건국대학교)
본 세션은 지반공학회 첫째 날인 3월 22일 (수요일) 오후 마지막 학생 발표 세션으로 진행되었으며, 총 다섯 명의 대학원생들이 다양하고 흥미로운 연구주제들을 대략 15분 정도 발표하였다. 늦은 오후 세션 임에도 불구하고 여러 교수님들을 비롯해 대학원생, 연구원, 산업체 관련자들이 발표 경청 후 적극적으로 질의 응답에 참여하였다. 첫 번째 발표는 “지반붕괴 원인분석을 통한 지반굴착 안전관리 향상 연구”라는 주제로 전남대학교 박지원 학생이 발표하였으며, 지반붕괴 재해현황 통계 및 개별 사례들을 바탕으로 소규모 굴착 건설 현장에서의 집중적인 안전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두 번째 발표는 부산대학교 박준식 학생이 “이중노즐 연마재 워터젯 시스템을 활용한 화강암 천공성능 분석”이라는 주제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들은 도심지 지하공간 굴착에 적용 가능한 워터젯 공법의 성능 분석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세 번째로는 고려대학교 황병현 학생이 “EPB Shield TBM 스크류 컨베이어 축소모형을 통한 컨디셔닝 시료의 배토 특성평가”라는 주제를 발표하였다. 컨디셔닝 시료의 항복응력을 산출한 뒤, 축소모형 실험의 스크류 토크와 비교하여 배토 특성을 평가하고자 노력하였다. 네 번째로는 연세대학교 박지민 학생이 “딥러닝 기반 균열 검출 기법을 통한 수압파쇄 균열 형상 분석”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였으며, 기존의 이미지 처리 기법의 한계를 고려한 딥러닝 기반의 새로운 균열 검출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균열 형상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는 “Grad-CAM을 사용한 딥러닝 기반 암판정 모델 성능의 정성적 평가”라는 주제를 연세대학교 서완혁 학생이 발표하였다. 합성곱 신경망(CNN) 기반의 딥러닝 모델을 사용하여 여러 종류의 화성암 박편의 영상 기반 암판정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추가적으로 Grad-CAM을 통해 모델 성능을 분석하였다. 본 세션은 발표 학생들의 열의 넘치는 발표와 청중들의 적극적인 질의응답 참여로 성공적으로 마무리 될 수 있었다.
[학생세션] 지반조사
좌장 : 홍원택 교수(가천대학교)
‘지반조사’를 주제로 하는 학생세션은 학술발표회 2일차인 3월 23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1시까지 120분간 진행되었다 본 세션에는 총 10인의 석·박사과정 학생들이 각자의 연구내용을 발표하였으며, 각 발표 후에는 지반공학분야에 종사하는 산·학계 인사들을 포함한 청중들과의 심도 있는 질의응답 및 토론이 이어졌다. 본 세션의 첫 번째 발표는 고려대학교 김영상 석사과정 학생이 ‘낙사로 조성된 모래 시료에 대한 인공신경망을 활용한 상대밀도 예측’ 이라는 변경주제로 발표하였으며, 이어 ‘전달에너지 측정이 가능한 TDR 센서 결합 동적 콘 관입 장비 개발 및 적용’(고려대학교 박근우 박사과정), ‘생체다당류 함유가 흙의 전기저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아주대학교 염준혁 석사과정), ‘생체다당류 함유 흙의 열전도도 특성에 대한 실험연구’(아주대학교 이휘재 석사과정), ‘압밀계수와 2차압축지수를 이용한 저소성 실트의 선행압밀압 평가’(서울대학교 류정현 박사과정), ‘매립형 탄성파 모니터링 장비를 이용한 비다짐 성토층의 상대밀도 추정’(고려대학교 김남선 박사과정), ‘다짐토에서 원위치 강성 분석기와 동평판재하시험기의 탄성계수 비교’(고려대학교 김동주 박사과정), ‘콘관입시험을 통한 모래질 지반의 K0 평가법 비교분석’(연세대학교 남동건 박사과정), ‘공동탐지에 대한 지표투과레이더의 A-Scan 데이터를 이용한 해석’(홍익대학교 김지훈 석사과정), ‘모형 토조 시험에 의한 평판재하시험과 동평판재하시험에 대한 지반반력계수의 상관 관계 분석’(경성대 유도균 박사과정) 을 주제로 한 발표가 진행되었다. 본 세션의 발표들은 흙의 기본물성과 원위치 관입시험, 지구물리탐사와 선진화된 센서모듈의 개발 및 지반조사 분야에 대한 인공지능의 적용까지 매우 높은 수준의 내용을 다루었다. 특히, 발표 이후 청중들의 통찰력 있는 제언은 발표자들이 미래에 더욱 훌륭한 학자로 거듭나게 할 수 있는 자양분이 될 것이며, 다양한 관점에서의 열띤 토론과 의사소통은 발표자와 청중, 서로가 서로를 발전시킬 수 있는 특별한 기회로서 기억 되었으리라 기대된다.
[학생세션] 지반진동 및 재해대책
좌장 : 고규현 교수(금오공과대학교)
3월 23일 여수컨벤션센터 세미나실5에서 이루어진 학생세션6(지반진동 및 재해대책)은 코로나 이후 오랜만에 오프라인으로 진행되어 총 10편의 구두 발표 및 질의응답이 이루어졌습니다. 먼저 KAIST의 남예은 박사과정생 등은 Smoothed Particle Hydrodynamic 시뮬레이션 기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조건에 따른 열린형 사방댐의 성능을 평가하였습니다. 토석류의 점성이 낮은 조건에서 열린 사방댐의 형상 영향을 더 크게 받는다는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이어서 경희대학교의 박경원 박사과정생 등은 지리통계방법을 이용한 카르스트 지반재해 취약성 분석법을 제안하였습니다. 특히, Frequency Ratio 방번을 지역 규모의 싱크홀에 대한 취약성 맥을 구축하고 모델의 정확도를 검증한 부분이 고무적이었습니다. 세 번째 발표에서는 KAIST의 박창희 석사과정생 등이 고온의 가혹한 환경조건에서의 센서의 감도 및 내구성을 평가한 연구내용을 발표하였고, 센서의 특성 변화를 일으키는 온도조건을 제시하였습니다. 이어, 서울대학교의 Quang Thien Buu Nguyen 학생은 수치해석을 통해 지하벽체의 동적토압에 따른 건축물의 관성효과를 평가하였고, 지하벽체의 동적 거동이 건축물의 natural frequency ratio에 의해 영향을 받음을 발표하였습니다. 다섯 번째 발표자로 한양대학교의 장동일 박사과정생은 동해 울릉분지 해저산사태 발생 지역의 지반특성화 및 동적실내시험을 위한 시료 물성 설정 기술에 대해 소개하였습니다. 이어 동대학의 양승훈 박사과정생이 기존에 제안된 굴착형 터널의 지진취약도 모델을 분석하여 새로운 지진취약도 함수를 제안하였습니다. 또한, 동대학의 허기석 박사과정생은 기존에 국내에 제시된 다양한 N-Vs 주상도를 분석하였습니다. 퇴적토의 두께가 깊은 지반에서는 준설매립지반에서 수집된 모델들로 예측하는 것이 합리적인 예측정확도를 나타냄을 발표하였습니다. 다음으로 한양대학교의 유병호 석사과정생은 상시미동 HVSR 역산을 활용한 전단파 속도 주상도를 결정하는 방법을 소개하였고, 다양한 센서 종류별 결과를 비교하였습니다. 아홉 번째 발표자로 한양대학교의 이용국 박사과정생은 DNN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얕은 심도에서의 지반 증폭을 예측하는 기법을 발표하였는데, 지진동의 응답스펙트럼과 지반주상도를 학습시킨 모델이 가장 적합함을 보여주었습니다. 마지막으로 고려대학교의 박상영 박사과정생 등은 기계학습모델을 통해 동결토-구조물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동착강도를 예측하는 방법론을 소개하여 동결토 연구에 대한 다양한 영감을 제공하였습니다. 전반적으로 본 세션에 참여한 모든 발표자들이 수행한 연구결과를 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정리하였고,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태도로 발표를 수행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향후 ‘지반진동 및 재해대책’ 분야에서 우수한 연구결과들이 지속적으로 발표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되며 더욱 왕성하고 발전된 학생세션을 거듭날 것으로 기대됩니다.
2023년 봄학술발표회 우수논문 수상자
■ 구두
1. 이론적-실험적 연구를 통한 포화도에 따른 흙의 전기전도도 특성 분석
고효정, 조용훈, 추현욱(한양대학교)
2. 딥러닝 기반 균열 검출 기법을 통한 수압파쇄 균열 형상 분석박지민(연세대학교), 김광염(한국해양대학교), 윤태섭(연세대학교)
3. 미생물에 의한 탄산칼슘 고결화로 인한 식물 생장 저해에 대한 예비 실험
무하마드 나키브 나와즈, 김태영(순천대학교), 도진웅(경상대학교), 정성훈(순천대학교)
4. 매립형 탄성파 모니터링 장비를 이용한 비다짐 성토층의 상대밀도 추정
김남선, 박근우, 유영근, 한우진(고려대학교), 박정희(인천대학교), 이종섭(고려대학교)
5. 현장타설말뚝 결함유형에 따른 공대공 초음파 검층법과 전자기파 검층법의 적용 및 비교에 관한 연구
이동수(고려대학교), 박민철(백경지앤씨), 이동욱(DL건설), 안재윤(서영엔지니어링), 이종섭(고려대학교)
6. 열린형 사방댐 성능의 형상 효과에 관한 수치적 연구
남예은, 전에녹, 임환희, 주진현, 이승래(KAIST)
■ 포스터
1. EICP 공법을 활용한 황산염 농도 저감
김정훈, 김대현, 윤태섭(연세대학교)
2. 재부착 효과가 모래-점토 혼합토의 세립토 이탈현상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최용준(고려대학교), 원종묵(울산대학교), 양예림, 최항석(고려대학교)
3. 포화도에 따른 모래와 타이어칩의 열전도도 변화 비교 연구
오지석, 노희범, 추현욱(한양대학교)
4. 이암지반 출몰지역에서 도로건설을 위한 개량지반의 지지력 평가 사례
도종남, 황범식, 김낙영(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국제학술회의 소식
International Conference & Symposium
May to June, 2023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nsaturated Soils
- Date: May 2-5, 2023
- Venue: Milos Conference Center, Greece
- E-mail: mbardanis@edafos.gr
Underground Construction Prague 2023
- Date: May 29-31, 2023
- Venue: Prague, Czech Republic
- Website: https://www.ucprague.com
- E-mail: masin@natur.cuni.cz
17th Danube - European Conference on Geotechnical Engineering
- Date: June 7-9, 2023
- Venue: Bucharest, Romania
- Website: http://www.17decge.ro
- E-mail: srgf@utcb.ro
9th International Congress on Environmental Geotechnics
- Date: June 25-28, 2023
- Venue: Chania, Greece
- Website: https://www.iceg2022.org
- E-mail: zekkos@berkeley.edu
Numerical Methods in Geotechnical Engineering 2023
- Date: June 26-28, 2023
- Venue: London, United Kingdom
- Website: http://imperial.ac.uk
- E-mail: numge2023@imperial.ac.uk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ebris Flow Hazard Mitigation
- Date: June 26-29, 2023
- Venue: Politecnico di Torino, Italy
- Website: http://www.dfhm8.polito.it
- E-mail: dfhm8@symposium.it
July to December, 2023
17th Asian Regional Geotechnical Engineering Conference
- Venue: Nur-Sultan, Kazakhstan
- Website: https://17arc.org
- E-mail: milanbi@mail.ru
4th International Symposium of Machine Learning and Big Data in Geoscience
- Date: August 29-September 1, 2023
- Venue: Cork, Ireland
- Website: https://www.ismlg2023.com/
- E-mail: zili.li@ucc.ie
8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Geomaterials
- Date: September 3-6, 2023
- Venue: Porto, Portugal
- Website: http://www.fe.up.pt/is-porto2023
- E-mail: is-porto2023@fe.up.pt
SUT OSIG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Innovative Geotechnologies For Energy Transition”
XX Technical Dam Control International Conference
- Date: September 12-15, 2023
- Venue: Chorzow, Poland
- Website: https://tkz.is.pw.edu.pl/en/
- E-mail: tkz.ibs@pw.edu.pl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eosynthetics
- Date: September 17-21, 2023
- Venue: Roma, Italy
- Website: http://www.12icg-roma.org
- E-mail: info@12icg-roma.org
3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Energy Geotechnics Seg23
28th European Young Geotechnical Engineers Conference and Geogames
21st Southeast Asian Geotechnical Conference and 4th Agssea Conference(Seagc-Agssea 2023)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Resources For Environmentally Sustainable Technologies
- Date: November 20-22, 2023
- Venue: Fukuoka, Japan
- Website: https://www.ic-crest.com/
- E-mail: info@ic-crest.com
The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eotechnics for Sustainable Infrastructure Development
- Date: December 14-15, 2023
- Venue: Hanoi, Vietnam
- Website: https://geotechn.vn/
- E-mail: secretariat@geotechn.vn
January to December, 2024
Geo-congress 2024
- Date: February 25-28, 2024
- Venue: Vancouver Convention Centre, Canada
- Website: https://www.geocongress.org/
- E-mail: registrations@asce.org
International Foundation Congress and Equipment Expo
- Date: May 7-10, 2024
- Venue: Dallas, USA
- Website: http://ifcee2024.com
- E-mail: adsc@adsc-iafd.com
Underground Construction Technology 2024
- Date: March 19-21, 2024
- Venue: Oklahoma City Convention Center, US
- Website: https://uctonline.com/tag/underground-construction-technology/
- E-mail: cuire@uta.edu
World Tunneling Congress 2024
- Date: April 19-25, 2024
- Venue: Shenzhen World Exhibition & Convention Center, China
- Website: https://www.wtc2024.cn/index.html
- E-mail: info@wtc2024.cn
GeoAmericas 2024
- Date: April 28-May 1, 2024
- Venue: The Sheraton Centre Toronto Hotel, Canada
- Website: https://www.geoamericas2024.org/
- E-mail: info@igs-na.org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arthquake Geotechnical Engineering
- Venue: Osaka, Japan
- Website: https://confit.atlas.jp/guide/event/icege8/top?lang=en
- E-mail: Info8ICEGE@gmail.com
GeoShanghai International Conference
- Date: May 26-29, 2024
- Venue: Shanghai, China
- Website: http://geo-shanghai.org/
- E-mail: yuqian@sc.edu
11th International Symposium of Geotechnical Aspects of Underground Construction in Soft Ground (IS-Macau 2024)
- Date: June 14-17, 2024
- Venue: Macao, China
- Website: https://is-macau2024.skliotsc.um.edu.mo
- E-mail: ismacau2024@um.edu.mo
The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ress-In Engineering 2024
- Date: July 03-05, 2024
- Venue: NUS, Singapore
- Website: https://2024.icpe-ipa.org/
- E-mail: tokyo@press-in.org
14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Landslides 2024
- Date: July 07-12, 2024
- Venue: Chambery, France
- Website: https://www.isl2024.com/
- E-mail: contact@isl2024.com
XVIII European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Geotechnical Engineering
- Date: August 25-30, 2024
- Venue: Lisbon, Portugal
- Website: https://www.ecsmge-2024.com/
- E-mail: spg@lnec.pt
GeoenvironMeet 2024
- Date: September 8-11, 2024
- Venue: Hilton Portland Downtown, US
- Website: https://geoenvironmeet.asce.org/
- E-mail: registrations@asce.org
DFI 49th Annual Conference on Deep Foundations
- Date: October 07-10, 2024
- Venue: Aurora, USA
- Website: http://www.dfi.org/annual2024
- E-mail: events@dfi.org
XVII Panamerican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Geotechnical Engineering
- Date: November 12-17, 2024
- Venue: Pucon, Chile
- Website: https://panamgeochile2024.cl
- E-mail: info@panamgeochile2024.cl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ransportation Geotechnics 2024
- Date: November 20-22, 2024
- Venue: Masonic Centre Sydney, Australia
- Website: https://www.ictg2024.com.au/
- E-mail: ictg2024@arinex.com.au
원종묵 울산대학교(jmwon@ulsan.ac.kr)
김병민 울산과학기술원(byungmin.kim@unist.ac.kr)
해외매거진 소개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ume 149, Issue 4 (April 2023) / https://ascelibrary.org/toc/jggefk/149/4

목차
Technical Breakthrough Abstracts
Yi Zhong, Sichuan Huang, and Junliang “Julian” Tao
Technical Papers
Yosef Coriat, and Sam Frydman
Ze-Jian Chen, and Jian-Hua Yin
Anna Shidlovskaya, and Jean-Louis Briaud
Zhigang Cao, Xingchi Ye, Chuan Gu, Yuanqiang Cai, and Jun Wang
Junji Miyamoto, Shinji Sassa, Hikaru Ito, Kazuhiro Tsurugasaki, and Hiroko Sumida
Zhaocheng Wang, and Mitsutoshi Yoshimine
Armin W. Stuedlein, Amalesh Jana, Ali Dadashiserej, and Xiao Yang
Tyler J. Oathes, and Ross W. Boulanger
Rajni Saggu, and Kethan Sarma
Technical Notes
Stephen K. Suryasentana, Myles Lawler, Brian B. Sheil, and Barry M. Lehane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ume 149, Issue 5 (May 2023) / https://ascelibrary.org/toc/jggefk/149/5

목차
Technical Breakthrough Abstracts
Gregory B. Baecher
Technical Papers
Trevor J. Carey, H. Benjamin Mason, Domniki Asimaki, Adda Athanasopoulos-Zekkos, Fernando E. Garcia, Brian Gray, Grigorios Lavrentiadis and Chukwuebuka C. Nweke
David Reid, Andy Fourie, Einar Fridjonsson, Nick Jervis-Bardy, Mario Reyes and Ruslan Nuriakhmetov
Technical Papers
Mohammad Emdadul Karim, Md. Mizanur Rahman, Md. Rajibul Karim, Andy B. Fourie and David Reid
Sheikh Sharif Ahmed, Alejandro Martinez and Jason T. DeJong
M. Zafari, F. B. Abdelaal and R. Kerry Rowe
Luis Vergaray, Jorge Macedo and Cody Arnold
Marisol Salva Ramirez, Junghee Park, Marco Terzariol, Jiming Jiang and J. Carlos Santamarina
Jian He, Limin Zhang, Te Xiao, Haojie Wang and Hongyu Luo
Juliano A. Nietiedt, Mark F. Randolph, Christophe Gaudin and James P. Doherty
Kaifeng Zeng and Huabei Liu
A. Felipe Uribe-Henao, Luis G. Arboleda-Monsalve, Camilo Ballesteros and David G. Zapata-Medina
Joseph Mjehovich, Ge Jin, Eileen R. Martin and Jeffrey Shragge
Tucker Jones, Tyler Cartwright, Mahrooz Abed, Mike Tardif, Larry Robinson, Philip Wurst, Curran Mohney, Kira Glover-Cutter and Ben Leshchinsky
Chu Wang and Patrick J. Fox
Xinyu Liu, Xianwei Zhang, Lingwei Kong, Cheng Chen and Song Yin
Vishnu Diyaljee
Anand J. Puppala, Raja S. Madhyannapu and Soheil Nazarian
Demetrious C. Koutsoftas
Sumeet K. Sinha, Katerina Ziotopoulou and Bruce L. Kutter
Geotechnical Testing Journal
Volume 46, Issue 3 (May 2023) / https://www.astm.org/journals/volume/listing/coden/GTJODJ/issue/3/volume/46/online-issue-date/2023-05-01+00:00:00/

목차
Journal Papers
Geotechnical Characterization of Laponite as Transparent Clay Surrogate
Abdurrahman Almikati, Rodrigo Cesar Pierozan, Salah Sadek, Jorge G. Zornberg
Experimental Investigation and Energy Evolution of Brittle Limestone Subjected to Multistage Cyclic Loading
Shiqi Liu, Huanling Wang, Xiao Qu, Zhichao Cheng
Development of a Novel Laboratory Rotating Surface Erosion Apparatus for Cohesive or Stabilized Soils
Yunjie Lin, Cheng Lin, Armando Tura
Thermal Triaxial Tests to Evaluate Improvement of Soft Marine Clay through Thermal Consolidation
Hiden Jaime Machaca Huancollo, Fernando Saboya, Sérgio Tibana, John Scott McCartney, Ricardo Garske Borges
Integrated Interpretation of Electrical Conductivity Changes, Heat Generation, and Strength Development in the First Week in Cemented Paste Backfill
Mohammadamin Jafari, Murray Grabinsky, Wendal Yue
Development of Cyclic Interface Shear Test Device and Testing Procedure to Measure the Response of Cohesive Soil-Structure Interface
Mu’ath I. Abu Qamar, Muhannad T. Suleiman
A Simple Method to Calculate the Void Ratio of Very Loose Silts and Silty Sands in Torsional Shear Hollow Cylinder Testing
Riccardo Fanni, David Reid, Andy Fourie
Géotechnique
Volume 73, Issue4 (April 2023) / https://www.icevirtuallibrary.com/toc/jgeot/73/4

목차
Articles
A macro-element model for predicting the combined load behaviour of spudcan foundations in clay overlying sand
Yifa Wang, Mark J. Cassidy, Britta Bienen
Characteristics of cyclic undrained model SANISAND-MSu and their effects on response of monopiles for offshore wind structures
Haoyuan Liu, Amir M. Kaynia
Tay creep: a multi-mechanism model for rate-dependent deformation of soils
Zhenhao Shi, David Muir Wood, Maosong Huang, James P. Hambleton
Characterising the effect of particle size disparity on liquefaction resistance of non-plastic silty sands from a critical state perspective
Xiao Wei, Jun Yang
Limit analysis solutions for the bearing capacity of strip foundations under seismic conditions
Giuseppe Mortara
Probabilistic site characterisation using monitored spudcan installation data
Fuming Yang, Jinhui Li, Mark Jason Cassidy
Géotechnique
Volume 73, Issue 5 (May 2023) / https://www.icevirtuallibrary.com/toc/jgeot/73/5

목차
Articles
Lateral force-displacement response of buried pipes in slopes
Mohammad Katebi, Dharma Wijewickreme, Pooneh Maghoul, Kshama Roy
Modelling soil desiccation cracking by peridynamics
Huaxiang Yan, Andrey P. Jivkov, Majid Sedighi
Coupling cyclic and water retention response of a clayey sand subjected to traffic and environmental cycles
Arash Azizi, Ashutosh Kumar, David G. Toll
Coupled THM analysis of a full-scale test for high-level nuclear waste and spent fuel disposal under actual repository conditions during 18 years of operation
Marcelo Sanchez, Beatrice Pomaro, Antonio Gens
Evidence of a unique critical fabric surface for granular soils
Yuxuan Wen, Yida Zhang
An experimental study into the ultimate capacity of an ‘impression’ pile in clay
Leonardo Maria Lalicata, Sarah Elizabeth Stallebrass, Andrew McNamara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Volume 60, Number 3 (March 2023) / https://www.nrcresearchpress.com/toc/cgj/60/3

목차
Articles
Long-term stress crack resistance of HDPE fusion seams aged at 85 °C in synthetic leachate
William Francey and R. Kerry Rowe
Effect of sand particle size on interface shear behaviour between bio-cemented sand by MICP treatment and steel structure
Han-Lin Wang, Qian-Yi Zhang, Zhen-Yu Yin, and Houde Jing
Blast damage zone influence on groundwater fluxes through backfilled open pits
Moïse Rousseau and Thomas Pabst
Evaluat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unsaturated bentonite-sand-graphite as buffer material for waste repository using an improved prediction model
Xiaoyan Liu, Surya Sarat Chandra Congress, Guojun Cai, Lulu Liu, and Anand J. Puppala
Application of TDR in compacted clay soils: Issues of dry density, water content range, and calibration
Shay Nachum, Mark Talesnick, and Alex Furman
A modified p-y model of single pile in coral sand under lateral load
Chunyan Wang, Jianyu Liu, Zhixiong Chen, Chunyong Jiang, and Xuanming Ding
Performance investigation of micropile groups in stabilizing unstable talus slopes via centrifuge model tests
Zhen-wei Pei, Yan-jun Zhang, Ting-kai Nian, Xiao-long Song, and Wei Zhao
Monotonic and cyclic properties of silty sand and sandy silt for foundation design of offshore windfarms
Shaoli Yang, Ben He, Knut H. Andersen, and Sarah Firouzianbandpey
Thermomechanical response of kaolin clay-concrete interface in the context of energy geostructures
Amirhossein Hashemi, Melis Sutman, and Hossam Abuel-Naga
Performance of a 56 m deep circular excavation supported by diaphragm and cut-off double-wall system in Shanghai soft ground
Ruisong Wang, Shujia Liu, Longhai Xu, Chenyang Zhao, Pengpeng Ni, and Weifeng Zheng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Volume 60, Number 4 (April 2023) / https://www.nrcresearchpress.com/toc/cgj/60/4

목차
Articles
Hierarchical response surface method for reliability analysis of a pile-slope system
Jie Zhang, Chenguang Wu, Xiaohui Tan, and Hongwei Huang
Thermo-mechanical volume change behavior of municipal solid waste: experimental study and constitutive model
Yu Ping Li, Jia Rui Chen, Jianyong Shi, Xiulei Li, and Xun Wu
Three-dimensional large deformation modeling of landslides in spatially variable and strain-softening soils subjected to seismic loads
Yong Liu, Xuejian Chen, and Miao Hu
The effect of soil fabric on shrinkage behaviour and microstructure evolution of soft soils upon drying
Hongfen Zhao
Investigation of seepage near the interface between an embankment dam and a concrete structure: monitoring and modelling of seasonal temperature trends
Tana Yun, Karl E. Butler, and Kerry T.B. MacQuarrie
Estimating live-bed local scour around bridge piers in cohesionless sediments: applicability and bias of selected models
Azmayeen R. Shahriar, Mohammed A. Gabr, Brina M. Montoya, and Alejandra C. Ortiz
Investigation of soil setup effects on pile response in clay considering overconsolidation ratio and installation method through physical modeling
Kazem Fakharian, Morteza Shafiei, and Salar Hafezan
Determination of the critical state of a silty sand iron tailings in triaxial extension tests using photographic correction
Leonardo De Bona Becker, Juliana Santos Fabre, and Maria Claudia Barbosa
Performance of a 56 m deep circular excavation supported by diaphragm and cut-off double-wall system in Shanghai soft ground
Ruisong Wang, Shujia Liu, Longhai Xu, Chenyang Zhao, Pengpeng Ni, and Weifeng Zheng
Short-term axial loading of continuous-flight pile segment in frozen soil
Shuai Gao, David Sego, and Lijun Deng
Calibration of resistance factors for design of shallow foundations against sliding
Pengpeng He and Gordon A. Fenton
Experimental study on swelling pressure of low dry density compacted bentonites during saturation combining X-ray diffraction
Kunlin Ruan, Hideo Komine, Hailong Wang, Dachi Ito, and Takahiro Gotoh
Notes
Preliminary investigations of ground failures triggered during the mid-November 2021 atmospheric river event along the southwestern British Columbia highway corridors
Sergio A. Sepúlveda, Brent C. Ward, Scott B. Cosman, and Rachel Jacobs
Ultimate soil resistance of the laterally loaded pile in uniform sand
H. Wang, L. Z. Wang, A. Askarinejad, Y. Hong, and B. He
International Journal of Rock Mechanics and Mining Sciences
Volume 164 (April 2023)
/ https://www.sciencedirect.com/journal/international-journal-of-rock-mechanics-and-mining-sciences/vol/164/suppl/C

목차
Research Articles
A binary-medium-based constitutive model for porous rocks
Yanbin Chen, Enlong Liu, Yanyang Yu, Huiwu Luo, Peishuai Chen
Microwave pre-conditioning of granite and concrete and the implications on their geotechnical parameters
Gabriel Lehmann, Martin Mayr, Heiko Kasling, Kurosch Thuro
An adjusted analytical solution for thermal design in artificial ground freezing
Diego Sancho Calderon, Santiago Ortiz Palacio, Sergio Jorge Ibanez Garcia, Sven Bock
Investigations on the Stinger PDC cutter breaking granitoid under in-situ stress and hydrostatic pressure conditions
Chao Xiong, Zhongwei Huang, Huaizhong Shi, Han Chen, ... Bo Zhang
Composite lining-ground interaction behavior in a cold-region circular tunnel under anisotropic frost action
Hongwei Li, Yuanming Lai, Huyuan Zhang, Yanyan Chen, ... Jiachuan Ran
Damage evolution of rock salt under multilevel amplitude creep-fatigue loading with acoustic emission monitoring
Zongze Li, Jinjie Suo, Jinyang Fan, Marion Fourmeau, ... Daniel Nelias
Mechanical properties of granite at high temperature subjected to true triaxial compression
Xiao Ma, Wenbao Dong, Dawei Hu, Hui Zhou
Combination of the unifying model for the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of isotropic, porous and composite geomaterials
Zhaoxiang Chu
A modified incubation time criterion for dynamic fracture of rock considering whole stress history
Xuan Xu, Li Yuan Chi, Jun Yang, Zong-Xian Zhang
Quantitative detection of damage processes in granite by sound signals
Peifeng Li, Guoshao Su, Huajie Xu, Benguo He
Creep behavior of carbonaceous mudstone under triaxial hydraulic coupling condition and constitutive modelling
Mingyuan Yu, Baoguo Liu, Kaiyun Liu, Jinglai Sun, ... Qi Wang
Effect of principal stress direction interchange on the failure characteristics of hard rock
Liangjie Gu, Xia-Ting Feng, Rui Kong, Chengxiang Yang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different effects of fracturing fluids on mechanical properties and failure mechanism of continental shale
Hanzhi Yang, Lei Wang, Chunhe Yang, Wuhao Guo, ... Yintong Guo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ockburst occurring at the working face during tunnel excavation
Guoshao Su, Hongyu Ren, Jianqing Jiang, Xiaochuan Hu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coupled damage of rock under combined disturbance
Wei Yao, Jin Yu, Xueying Liu, Zhuqing Zhang, ... Yanyan Cai
Technical Notes
Microseismicity evolution related to two extremely intense rockbursts in a water diversion tunnel
Yucheng Wang, Chun’an Tang, Ming Cai, Liexian Tang, ... Yubo Li
Investigation of slope stability based on strength-reduction-based numerical manifold method and generalized plastic strain
Yongtao Yang, Wenan Wu, Hong Zheng
Soils and Foundations
Volume 63, Issue 2 (April 2023)
/ https://www.sciencedirect.com/journal/soils-and-foundations/vol/63/issue/2

목차
Technical Paper
Frost jacking characteristics of steel pipe screw piles for photovoltaic support foundations in high-latitude and low-altitude regions
Gongliang Liu, Shaojie Fu, Xuefeng Zhao, Wei Jiang, ... Shibo Fu
Inverse analysis on compressibility of toronto clays
Abulimilti Ayizula, Jinyuan Liu
Study on the optimization and performance of GFC soil stabilizer based on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in soft soil stabilization
Xiushan Wang, Sunghyok Kim, Yuepeng Wu, Yu Liu, ... Yiming Wang
Strength estimation method for arbitrary age of cement-treated soil based on high-temperature curing history
Hiroyuki Hara, Yugo Shirabe
CPEG2020
Geoenvironmental assessment of climate impacts from landfill gas emissions
James L. Hanson, Derek C. Manheim, Nazli Yesiller
ISRSS-Sendai 2022
A modified deformation coordination model for calculating the internal force of anchored piles
Yu Huang, Boyu Fu, Zhen Guo, Atsushi Yashima
Improvement in seismic resistance using replacement/counterweight fill method for existing high embankments on inclined ground constructed with various embankment materials
Takayuki Sakai, Shogo Inukai, Motohiro Inagaki, Masaki Nakano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y on reinforcement effect of plate anchors or flip anchors on model slopes
Shota Yoshida, Xi Xiong, Tatsunori Matsumoto
Rainfall-oriented resilient design for slope system: Resilience-enhancing strategies
Yu Huang, Zhengying He
System dynamic reliability evaluation of multiple failure modes of earth dams subjected to strong earthquake excitation
Min Xiong, Wenwen Wang, Yu Huang
김병민 울산과학기술원(byungmin.kim@unist.ac.kr)
논문집 개요 소개
논문집 개요 소개 | 2023년 2월 제 39권 2호
카사그란데방법과 원추관입시험방법의 상관관계와 지반개량제의 적용성에 대한 연구
고건우 (정회원, ㈜이지오 산업)
여동준 (정회원,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박사과정)
김경민 (비회원,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석사과정)
이병석 (정회원,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leebs@jbnu.ac.kr)
본 연구에서는 국내 국지성 호우의 증가로 인한 피해의 보호효과가 탁월한 지반개량제를 표층개량공법에 활용하기 위해 붕괴된 15개소의 현장토를 대상으로 흙의 분류 및 일축압축시험을 진행하여 토질별 최적배합비를 제안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현장토에 대해 Casagrande법과 원추관입시험법을 실시하여 액·소성한계값의 비교, 흙의 분류 및 서로의 상관관계에 대한 관계식을 유도하였다. 각각의 흙의 분류에 대해 일축압축강도를 이용하여 지반개량제의 최적배합비를 도출한 결과, Casagrande법으로 분류한 경우 실험자의 숙련도 차이와 시험의 오차에 의해 세립토의 분류가 명확하지 않았지만, 원추관입시험법으로 분류하였을 때 명확한 최적 배합비를 제안할 수 있었다.
지반보강용 그라우팅 말뚝의 응력분담비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이경주 (정회원,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박사과정, 에스큐엔지니어링 전무)
이준규 (정회원,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부교수)
張維維 (비회원,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박사과정)
송기일 (정회원,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ksong@inha.ac.kr)
연약지반 대책공법으로 적용되는 다짐모래말뚝과 같은 지중구조물은 주로 복합지반 설계법에 의해 침하 및 안정성을 분석한다. 복합지반 설계법의 기본원리는 아칭효과이며 말뚝의 보강효과는 응력분담비로 평가한다. 탄성적 특성을 갖는 그라우팅 말뚝을 지반보강공법으로 적용할 때 기존의 응력분담비 평가는 말뚝이 지표까지 설치되어 상재하중이 말뚝과 원지반에 같이 직접 재하되는 경우만을 고려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지반보강 말뚝의 설치를 지표까지 올리지 않고 지중 어느 위치에서 마감할 때에는 지금까지의 연구들에 의해 적용된 응력분담비 적용 방법이 달라져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고강도 Jet grouting이 적용되었을 때 원지반에 대한 그라우팅 말뚝의 응력분담비(n)는 통상 30~50 범위의 값을 적용한다. 그러나 이는 지표까지 말뚝이 놓이는 경우이고 말뚝 상단의 위치가 지표로부터 멀리 깊게 위치될 경우 응력분담 효과가 급격히 저감되며 응력구(stress bulb) 경계가 되는 깊이부터는 정량적 값 1.5에 수렴했다.
CIELAB 색 표시계 기반 토색을 활용한 불포화토 함수비 예측 연구
백성하 (정회원, 한경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조교수)
박가현 (정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본부 수석연구원)
전준서 (정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본부 수석연구원)
곽태영 (정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본부 수석연구원, tykwak@kict.re.kr)
본 연구는 흙의 디지털 이미지로부터 획득된 토색을 기반으로 함수비를 예측하기 위한 기초단계로서 수행되었다. 서로 다른 다섯 가지 함수비로 조성된 주문진표준사 시료를 대상으로 광조건을 아홉 번 씩 바꿔가며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했다.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촬영된 시료의 토색을 CIELAB 색 표시계를 기반으로 획득하고, 광조건과 함수비에 따른 토색 변화를 분석했다. 그 결과, 불포화토의 토색 L* 값은 조명의 조도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고 a*와 b* 값은 조명의 색온도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함수비가 증가하면 토색의 밝기를 나타내는 L*가 감소하고, a*와 b*는 증가하여 토색이 초록과 파랑에서 멀어지고 빨강과 노랑에 가까워졌다. 광조건 및 함수비와 토색의 회귀분석 결과를 종합해 불규칙한 광조건에서 촬영된 실리카 계열의 모래의 토색을 기반으로 함수비를 예측하는 방법을 제안했으며, 제안된 방법을 통해 최대 오차 0.29% 수준으로 함수비를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논문집 개요 소개 |2023년 3월 제 39권 3호
사질토에 근입된 말뚝지지 전면기초의 기초판 연성률에 따른 거동 분석
송수민 (정회원, 연세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박사과정)
신종영 (정회원, 연세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석사 후 연구원)
정상섬 (정회원, 연세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교수, soj9081@yonsei.ac.kr)
본 연구는 기초판의 연성률이 말뚝지지 전면기초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적 연구와 수치해석으로 분석했다. 기초판의 연성률(KR)과 선단지지 조건에 따른 말뚝과 기초판의 하중 분담률을 분석했다. 각각의 말뚝과 전체적인 응답은 3차원 유한 요소 해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 수직 하중이 증가하고 기초판의 연성률이 감소함에 따라 말뚝지지 전면기초의 하중분담비(αpr)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선단지지 말뚝을 사용하는 것보다 마찰말뚝을 사용하는 경우에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또한, 연성 기초판의 경우, 하중조건에 따른 말뚝 위치별 축력 분포 경향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강성 기초판의 경우, 하중조건에 따라 외곽에 위치한 말뚝 두부 축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초판의 침하는 연성 기초판 조건이 강성 기초판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연성 기초판 조건에서 하중분담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발시 시료이탈을 최소화한 불교란시료 채취 샘플러 개발 및 적용성 검토
김종관 (정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jongkwan@kict.re.kr)
한진태 (정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위원)
박가현 (정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신휴성 (정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장 리 (비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염 선 (비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임지원직)
김기석 (정회원, ㈜희송지오텍 대표이사)
지반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불교란시료 채취가 필수적이며, 이때 최대한 시료를 교란하지 않고 채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선단부에 시료 이탈을 방지하는 캐쳐를 장착하여 시료이탈을 최소화하는 샘플러를 개발하였고 이를 대상으로 현장시료채취, CT촬영, 실내시험을 통해 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동일한 위치에서 쉘비튜브샘플러와 새롭게 개발한 샘플러로 채취한 시료의 CT촬영결과 쉘비튜브샘플러의 경우 수평방향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데 반해 새롭게 개발한 샘플러의 경우 수평방향 균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압밀시험과 전단시험 결과 새롭게 개발한 샘플러로 채취한 시료가 쉘비튜브샘플러로 채취한 시료에 비해서 최대전단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 재하시험을 통한 파형 마이크로파일의 기초보강 효과 분석
백성하 (정회원, 한경국립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조교수)
한진태 (정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본부 연구위원)
김석중 (정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경영기획실 수석연구원)
김준영 (정회원, 한남대학교 AI융합학과 조교수, jykim91@hnu.kr)
본 연구에서는 파형 마이크로파일의 기초보강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매립토-풍화토-풍화암의 지층구조를 보이는 지반에 마이크로파일을 설치한 뒤 현장 재하시험을 수행했다. 단일 마이크로파일 재하시험 결과, 파형 마이크로파일은 토사층에서 발현되는 주면마찰력만으로도 충분한 지지력을 가져 암반층의 심도가 깊은 지반 조건에서 유리한 시공성을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동일한 설계하중이 적용되었음에도, 단일 마이크로파일 재하시험 시 설계하중 범위 내에서 평가된 파형 마이크로파일의 연직강성이 일반 마이크로파일의 연직강성에 비해 약 2.2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및 파형 마이크로파일로 구성된 무리말뚝 재하시험 결과, 강성이 큰 마이크로파일이 높은 하중을 분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및 파형 마이크로파일 모두 동일한 설계하중이 적용되어 지지력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음에도, 강성이 큰 파형 마이크로파일이 작게는 1.7배에서 크게는 3.2배 큰 하중 분담율을 보였다. 파형 마이크로파일은 대부분 보강기초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증축 리모델링 등을 통해 추가적인 하중 작용 시 많은 하중을 분담함으로써 기존 기초의 지지력 파괴 가능성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 외 신간도서 안내

서울전차·철도·서울지하철 50년 스토리텔링
서울 도시철도 120년
세계 지하철의 탄생과 발전사를 한눈에지하철이 생겨나게 된 이유와 발전과정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책!저자는 서울시 지하철 건설본부 근무와 대학교수 생활을 하면서 우연히 지하철 및 철도건설지를 총괄제작 작성하게 되어 그 추진경위를 정리하다가, 하나의 도시철도를 만들기 위해서는 왕, 대통령, 국무총리, 시장 등 시대적 지도자들의 사명감 없이는 절대로 불가능하다는 것을 기록을 통해 알게 되었다.본 저서의 내용은 기본적인 상식 선의 도시철도의 정의, 세계최초의 철도, 세계최초의 지하철, 세계주요도시의 지하철 노선현황, 서울의 최근 도시철도현황을 우선 조사하고, 시대 순으로 서울노면전차, 경인선 철도, 지하철 1호선, 지하철 2호선, 지하철 3,4호선, 지하철 5,6,7,8호선, 지하철 9호선의 시대적 배경이 잘 정리되어 있다.도시철도 관련업 종사자나 일반인도 흥미롭게 읽어내려 갈 수 있는 책!
저자 : 최항길
출판사 : MATE
발행일 : 2023년 3월 15일
면수 : 320쪽
정가 : 30,000원

저자 : ASCE
역자 : 신동훈, 김홍연, 이규환
출판사 : 도서출판 씨아이알발행일 : 2023년 4월 20일
면수 : 294쪽(신국판, 152*224)
정가 : 20,000원
회원동정
2023년 4월 신규가입자
12597, 강승모, 정회원, ㈜제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철도사업부 사원
12598, 강윤진, 정회원, 강산개발㈜ 기술부 이사
12599, 고진곤, 정회원, ㈜HJ중공업 토목영업팀 부장
12600, 김건웅, 종신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본부, 박사후연구원
12601, 김경모, 종신회원, ㈜한국항만기술단 지반부 전무
12602, 김기윤, 종신회원, 아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박사과정
12603, 김남섭, 정회원, ㈜에스에스텍 대표이사
12604, 김원일, 정회원, 대림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교수
12605, 김정환, 종신회원, 롯데건설㈜ 토목사업본부 상무
12606, 김종욱, 종신회원, 서울기술연구원 현안연구실 전임연구원
12607, 김효찬, 종신회원, 광주대학교 토목공학과 석사과정
12608, 박민지, 정회원(여), 홍익대학교 토목공학과 박사과정
12609, 박병관, 정회원, 강릉건설 주식회사 연구팀 책임
12610, 박수혁, 종신회원, 아주대학교 지반공학연구실 박사과정
12611, 박호준*, 정회원, 한국수력원자력㈜ 인재개발원 차장
12612, 양수빈, 종신회원(여), 고려대학교 터널지반시스템연구실 석사과정
12613, 윤영호*, 정회원, 국가철도공단 영남권사업단 처장
12614, 이상민, 정회원, 연세대학교 기초시스템연구실 대학원생
12615, 이세찬, 종신회원, 광주대학교 토목공학과 석사과정
12616, 이승주, 정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남북한인프라특별위원회 박사후연구원
12617, 이준호, 정회원, 신영종합건설㈜ 업무 실장
12618, 이제권, 정회원, 강원대학교 지반공학연구실 대학원생
12619, 이한솔, 종신회원, ㈜유신 지반터널부 사원
12620, 임진혁, 정회원, ㈜대우건설 GTX-A 1공구 현장소장
12621, 장재호*, 정회원, 무성토건㈜ R&D 사업부 대리
12622, 전민우, 정회원, 가천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연구원
12623, 정재홍, 종신회원, ㈜HJ중공업 토목사업본부 상무
12624, 정희영, 정회원, 인천국제공항공사 공항산업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12625, 조남현, 정회원, 인천국제공항공사 공항산업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12626, 조홍빈, 종신회원, 동부건설 토목사업본부 상무
12627, 주환익, 정회원, Virginia Tech CEE department Ph.D. student
12628, 최경식, 정회원, 전남대학교 토목공학과 석사과정
12629, 최정욱*, 종신회원, ㈜동아지질 사장
12630, 최태경*, 종신회원, ㈜동아지질 엔지니어링사업본부/지반공학팀 이사
12631, 홍헌표*, 종신회원, ㈜동아지질 지반기술사업부 지반/항만 이사
12632, FALIHAH MINYATUL, 정회원(외), 충북대 토목공학과 석사과정
총 36명(정회원 21명/종신회원 15명) * 동남권지부 추천
학생회원
111201, 류시원, 학생회원, 충북대학교 토목공학과
111202, 이의찬, 학생회원, 충북대학교 토목공학과
111203, 이정윤, 학생회원, 충북대학교 토목공학과
111204, 장채운, 학생회원, 충북대학교 토목공학과
111205, 최재하, 학생회원, 국립금오공과대학교 토목공학과

안녕하십니까? 이번에 새로 학회지 편집위원회 위원장을 맡은 김병민입니다.
그동안 학회지가 연구와 기술과 같은 새로운 정보를 전달하고, 회원들의 생각과 동정을 소개하는 등 우리 한국지반공학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온 것을 잘 알기 때문에 어깨가 무거워집니다. 앞으로 더욱 유익하고, 재미있는 학회지를 발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저와 함께 학회지 편집을 도와줄 위원들을 소개합니다. 많은 응원과 관심 부탁드리겠습니다.
편집위원
강기천(경상대), 강신항(한남대), 구태서(건국대), 권선용(한국환경연구원), 김기석(희송지오텍), 김동구(한국건설기술연구원), 김민준(한국지질자원연구원), 김석중(한국건설기술연구원), 김한샘(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박정희(인천대), 박헌준(서울과기대), 송명준(현대건설), 원종묵(울산대), 유민택(가천대), 이용상(HJ 중공업), 이한민(한맥기술), 임지섭(현대엔지니어링), 장준봉(동아대), 정석호(창원대), 정영훈(대우건설), 홍창호(한국원자력연구원) (이상 21명, 가나다 순, 호칭 생략)
김병민
편집위원회 위원장
울산과학기술원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