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반공학회 제40회 정기총회 및 봄학술발표회


2024년 3월 21일 (목)~3월 22일 (금) / 제주ICC컨벤션


alt
alt
alt
alt


2024년도 제40회 정기총회 수상자


김수일 기념상    학술 - 김윤태(부경대학교)

                           기술 - 이상헌((주)다산이엔지)

임병조 기념상   권태혁(한국과학기술원)

학술상   오정호(한국교통대학교) / 정종원(충북대학교) / 한진태(한국건설기술연구원)

기술상    신영진(현대건설) / 박정식(세방이엔에스) / 정호병((주)토원) 

학회장상   김상엽(건국대학교) / 변용훈(경북대학교) / 박정희(인천대학교) / 이병욱((주)동해이엔지)

                  장준봉(동아대학교) / 남부현(경희대학교) / 이강현(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국문논문상   신호성(울산대학교)

영어논문상   김영상(전남대학교)

젊은지반공학인 논문상   고규현(금오공과대학교)





alt
alt


alt


alt





2024 봄학술발표대회를 마치고



alt


우리학회는 2024년 3월 21일과 22일 양일간 제40회 정기총회 및 봄학술발표회를 제주 ICC컨벤션에서 개최하였다. 김영욱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학술발표회 프로그램 및 올해 예정된 국제적 학술행사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더불어 40주년을 맞이한 우리 학회의 위상과 회원들의 노고에 감사를 표현하였다. 우리학회 제18대 회장이자 대한토목학회 56대 회장인 정충기 교수는 학술발표대회가 제주도에서 처음 개최되었던 시기를 회상하며 미래 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지반공학의 역할 및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협업과 소통을 강조하며 축사를 하였다. 제주특별자치도청 오영훈 도지사는 온라인 축사를 통해 아름다운 제주에서 개최하는 학술발표대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기원하였다. 


alt
alt


이어서 약 1시간 동안 제40회 정기총회가 개최되었다. 김영욱 회장의 인사 및 감사보고를 시작으로 학회상 시상이 있었으며 각종 심의 및 주요 사업, 행사에 대한 회원 보고를 마지막으로 총회가 마무리되었다. 


김수일 기념상 수상자인 부경대학교 김윤태 교수는 ‘기후변화와 토사재해: 안전한 사회로 가는 길을 찾다’라는 주제로 최근 들어 큰 사회적 관심을 갖은 기후변화가 토사재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지반공학자가 문제해결을 위해 접근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오후 프로그램의 첫번째는, 올해 처음 제정된 임병조 기념상 수상자인 한국과학기술원 권태혁 교수가 ‘미생물 활동 및 생성물질이 흙의 수리역학적 거동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주제로 초청 강연을 하였다. 


3월 21일에는 총 15개의 세션이 준비되었다. 특히 학회 40주년을 기념하는 첫번째 행사로 ‘미래비전토론회’ 및 ‘미래인재토론회’를 개최하였다.


‘미래비전토론회’를 통해 설계, 시공 및 기술, 교육 분야에서 총 3개의 주제발표가 있었으며, 이어서 패널토론회를 가졌다. ‘미래인재토론회’는 젊은 교수님과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지반공학을 통한 커리어 개발, 연구와 교육의 발전방향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는 의미있는 자리였다. 4개의 전문위원회 세션, 6개의 일반세션, 3개의 학생세션은 각각 계획한대로 많은 회원들의 참여와 함께 진행되었다. 두번째 날은 총 10개의 세션과 초청강연이 진행되었다. 경희대학교 남부현 교수는 ‘지반재해 시공한 해석 및 예측’이라는 주제로 다양한 재해현상과 원인에 대한 분석과 이를 평가하기 위한 기법을 초청강연을 통해 회원들과 공유하였다. 


총 3건의 초청강연과 약 200여편의 학술논문이 발표된 이번 학술대회는 다양한 연구주제에 대한 심도 깊은 발표와 회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학술발표회 본연의 의미를 찾을 수 있는 계기였다. 제주도의 아름다운 자연을 느끼고 회원들간의 친목을 도모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를 마련하게 위해 힘 써주신 많은 회원사들의 재정적 지원에 감사를 드리고, 학술발표회에 참여하여 자리를 빛내주신 모든 회원분들께도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행사간 보내주신 쌀화환은 지역 주민센터에 기부하였고, 이번 학술발표회의 경험과 회원들의 피드백을 통해 부산에서 개최되는 가을학술발표회에서는 더 풍성하고 알찬 프로그램으로 만나뵙기를 바랍니다. 


alt


[댐·제방기술위원회] 댐·제방


좌장: 임정열 연구소장(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이번 2024년 한국지반공학회 봄학술발표회에서 댐·제방 기술위원회는 댐, 저수지, 제방과 관련된 지반공학적 경험을 공유하기 위하여, 실무 위주의 사례 및 경험 공유를 목표로 세션을 준비하였다. 발표자와 제목은 아래와 같다.


alt


첫 번째 발표는 댐의 안전관리에 가장 중요한 계측항목인 침투수량에 대하여 미계측 원인을 분석하고, 침투수 집수벽 보수보강 후 정상화된 침투수량계측결과를 분석하여 댐수위(가뭄시기)와 침투수량간의 회귀분석을 통해 경험식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예측식은 대상댐의 댐수위별 침투수량 관리기준치 설정으로 댐안전관리에 활용이 가능함을 소개하였다.


두 번째 발표는 댐의 수중부 조사를 위해 개발된 ROV와 USV를 활용한 점검 사례를 소개하였다. 최근 SOC 기반시설의 유지관리 중요성이 부각되고, 중대재해 처벌법 등과 같이 안전사고에 대한 인식이 중요해지는 상황에서 무인로봇을 활용한 물인프라(댐, 보, 취수탑 등) 점검 결과의 신뢰성을 보여주었다. 


세 번째 발표는 해외 노후댐에 대한 진단사례를 소개하였다. 지진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필리핀 지역의 댐에 대하여 드론, 전기비저항, 계측자료를 활용한 댐 안전성의 지진영향을 분석하였으며, 특히 3D모델링을 활용한 댐변위 모니터링, 전기비저항을 활용한 누수연약대 평가 절차를 상세히 소개하였다.


네 번째 발표는 생체 다당류 및 탄산염 고결 기술을 융합하여 지반재료의 강도를 증진시키는 연구 사례를 소개하였다. 아직 실험실에서 재료의 강도특성을 평가하는 단계이지만, 추후 실용화가 가능하다면 제방, 저수지 등에 대한 친환경 보수·보강 재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lt


다섯 번째 발표는 저수지 상태를 조기에 식별하기 위하여 휴대용 콘관입시험기로 측정한 저항값으로 지반정수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활용한 농업용저수지 상태평가 기준을 소개하였다.


마지막 발표는 댐 시설물의 데이터에 기반한 효율적 유지관리 수단을 마련하고, 댐의 거동 및 성능특성을 고려한 성능평가 및 자산관리체계 개발의 필요성에 대하여 소개하며 댐 시설물에 대한 자산관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본 세션을 통하여 댐·제방 관련 지반공학적 문제의 해결방안 및 경험을 공유하고자 하였으며, 바쁜 와중에 시간을 내어 좋은 발표를 해주신 발표자와 질의 및 의견을 개진해 주신 세션 참석자 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지반조사기술위원회] 건설기준과 지반조사기법


좌장: 곽동엽 교수(한양대학교)


지반조사기술위원회에서는 2024 한국지반공학회 봄학술발표회에서 “건설기준과 지반조사기법”을 주제로 총 세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첫 번째 발표는 “전단파속도 탐사의 불확실성 분석”을 제목으로 한양대학교 에리카의 곽동엽 교수가 진행하였습니다. 국내 및 국외의 전단파속도 탐사의 불확실성에 대한 기존 연구를 소개하였으며, 현재 추진 중인 전단파속도 탐사 상호검증실험 준비에 대한 내용을 발표하였습니다. 


두 번째로는 “지반조사성과 전산화 및 활용에 관한 지침: 타당성 및 실효성 분석에 관한 연구”의 제목으로 경기대학교의 김한샘 교수가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국외의 지반조사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소개와 함께, 현재 국내에서 법령으로 축적되고 있는 전산화된 지반조사 결과의 더욱 효율적인 활용방안에 대해 논의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가천대학교의 홍원택 교수가 “표준관입시험 신뢰도 향상을 위한 에너지 보정”에 대한 내용으로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현재 표준관입시험 결과의 불확실성에 대해 소개하였으며, 신뢰도 높은 에너지 효율 측정 방법을 제안하였습니다. 세션에 주어진 시간은 80분이나 총 세 발표로 구성되어 있어 모든 발표가 종료된 이후에 많은 시간이 남을 것이라 걱정하였으나, 오히려 심도 있는 발표와 청중으로부터의 활발한 질의 및 의견이 유도되어 세션에 주어진 시간이 오히려 모자르게 되었습니다. 훌륭한 발표를 진행해 주신 지반조사기술위원회 두 발표자에게 감사드리며, 활발한 질의응답, 향후 연구에 도움되는 의견사항, 그리고 세션 마지막까지 자리를 지켜주신 청중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alt



[신뢰성기반한계상태설계법연구회&YGE포럼위원회] 국제TC활성화


좌장: 김현기 교수(국민대학교), 남부현 교수(경희대학교)


신뢰성기반 한계상태 설계법 연구회(위원장: 국민대 김현기 교수)와 YGE포럼 위원회(위원장: 경희대 남부현 교수)는 “K 건설 기술의 글로벌 활성화를 위한 기술위원회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위원회 세션을 진행하였습니다. 현재 국제지반공학회(ISSMGE)에는 총 37개의 기술위원회가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이 가운데 28개의 기술위원회에 36명의 연구자들이 nominated member(지명위원) 혹은 corresponding member(교신위원) 자격으로 활동하고 있다. 참고로 지명위원과 교신위원의 기술위원회 활동상의 제약 차이는 없지만 기술위원회 내에서 선거 및 피선거권은 지명위원에게만 있어 국가별로 2명씩만 지명이 가능하는 점이 다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지반공학회의 국제적 위상에 비해 우리나라 연구자들의 국제 기술위원회 활동이 상대적으로 활발하지 않다는 대내외적 평가와 우리 학회의 글로벌 역량 강화를 고려하여 올해 봄 “국제기술위원회”라는 상치위원회를 학회내 새롭게 설치하게 되었습니다. 


이날 세션에서는 국민대 김현기 교수, 건국대 구태서 교수, 고려대 이종섭 교수, 경희대 남부현 교수가 각자 개별적으로 해외 기술위원회와 관련된 활동하면서 겪고 느낀 여러 경험들을 발표형식으로 공유하고 “국제기술위원회”의 향후 활동 방향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이날 세션을 통해 향후 “국제기술위원회”의 주된 역할은 우리나라 연구자들의 국제 기술위원회 활동 지원, 회원들의 국제 기술위원회 활동에 대한 정기적 모니터링, 국제 기술위원회 주관의 학회/공동연구 등에 대한 정보 교류 및 공동 활동 도모 등에 있음을 논의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각 연구분야 별로 우리나라를 대표할 수 있는 전문가 그룹을 양성하고 이러한 국제 활동을 통해 형성된 현지 네트워크가 우리나라 건설기업이나 유관기관이 해외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진행할 때 많은 도움이 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는 의견이 함께 논의되었습니다. 이번에 신설된 국제 기술위원회의 첫 위원장으로 국민대 김현기 교수가 선임되었고, 부위원장에 건국대 구태서 교수, 간사는 경희대 남부현 교수가 맡아 함께 봉사하기로 결의하였습니다.


alt



[전력구조물연구회] 전력구조물


좌장: 류희환 책임연구원(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전력구조물연구회가 진행한 전문세션에서는 전력구 터널, 철탑 기초 등 전력구조물과 관련된 내용들로 총 5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첫 번째로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류희환 책임연구원이 철탑기초 제원 예측기술(현장 적용 중심으로)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도면이 없는 철탑 기초의 매설깊이, 너비, 폭을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현장 검증 및 확대적용한 내용이었다. 


두 번째로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이지윤 연구원이 CNN을 이용한 디스크커터 마모상태 분류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자기센서를 활용하여 디스크커터의 마모를 측정하고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디스크커터의 마모를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소개하였다. 


세 번째로 인하대학교의 이상연 학생이 FDTD 수치해석을 활용한 지중관로 자동탐지모델 성능 개선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수치해석 및 현장실험을 통해 GPR 데이터를 확보하여 학습을 통해 지하매설물의 유무 및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 소개하였다. 


네 번째로 KAIST 김현준 학생이 TBM용 뒷채움재의 흐름 특성에 대한 실내 모형 실험 연구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많이 사용되는 뒷채움재 20여종을 선정하고 실내 터널 모형 토조를 제작하여 블리딩, 갤타임 실험한 결과를 공유하고 향수 500회 실험수행에 대한 계획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순천대학교 정성훈 교수가 전기저항 수치해석 데이터와 딥러닝 기법을 이용한 지하매설물 예측 모델 개발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수치해석을 통해 지하매설물 위치 및 크기에 따라 지상에서 측정되는 전기저항값을 도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인공지능기법을 통해 측정되는 전기저항값으로 지하매설물의 위치를 찾을 수 있는 기술에 대해 소개하였다.  


전력구조물 관련해서 최근에 관심이 많은 내용들로 구성되어, 많은 인원이 참석하였으며, 시간이 부족하였지만 매번 질의응답을 통해 진행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바쁜 와중에 시간을 내어 좋은 발표를 해주신 발표자분들에게 다시 한번 감사의 말을 전하고 싶다. 


alt



[암반·지질기술위원회&터널기술위원회] 터널 및 암반지질 분야 최신기술 적용사례


좌장: 이상래 수석연구원(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이강현 수석연구원(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암반지질기술위원회와 터널기술위원회와 합동으로 진행한 전문세션에서는 터널 및 암반지질 분야에서 최신기술 적용 사례에 대한 내용으로 총 5편의 논문이 발표되었습니다. 


첫 번째 논문은 모자이크테일러 석상묵 대표가 터널 및 비탈면 GIS 활용사례에 관해 발표하였습니다. 두 번째 논문은 경기대학교 김한샘 교수가 GIS를 활용한 비탈면 DB 구축 방법이라는 주제로, GIS를 통해 비탈면의 붕괴위험 등을 평가할 수 있는 인자추출 등에 관해 발표하였습니다. 세 번째 논문은 엠지아이티 신동윤 팀장이 드론을 활용한 터널 및 암반 비탈면 조사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GPS음영구간인 터널 등에서도 드론 조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사례를 소개해주셨습니다. 네 번째 논문은 이제이텍의 윤정윤 이사가 첨단센서를 활용한 터널 및 비탈면 계측이라는 주제로 각종 센서를 활용하여 실제 터널, 비탈면 현장에서 계측했던 사례를 소개해주셨습니다. 다섯 번째 논문은 한국도로공사 스마트건설사업단 박성준 책임연구원이 스마트건설 기술의 터널 및 비탈면 활용이라는 주제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머신가이던스/머신컨트롤(MG/MC)기술을 활용하여 스마트 토공 시연했던 사례에 대해 소개해주셨습니다.


터널 및 암반지질 분야에서 최신기술 적용 사례에 관한 내용들로 구성되어, 생각보다 많은 인원이 참석하였으며 질의응답도 활발하게 진행되었습니다. 본업으로 바쁘신 와중에 시간을 내어 좋은 발표를 해주신 발표자분들에게 다시 한번 감사한 마음을 전하고 싶습니다.


alt



[대전·충청지역발전특별위원회] 지반 인프라구조물의 안정성 및 유지관리


좌장: 송영석 책임연구원(한국지질자원연구원)


대전충청지역발전특별위원회에서는 최근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방사성 폐기물 처분, 댐 안정성 평가, 재개발 및 재건축 등의 지반 인프라구조물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 결과에 대하여 총 6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첫 번째 발표는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과 관련된 분야로 “벤토나이트-흑연 혼합체의 열전도도 규명”에 대한 내용을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윤석 책임연구원이 발표하였다. 본 발표에서는 처분장으로부터 방사성 핵종이 유출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완충재 가운데 벤토나이트-흑연 혼합체의 열전도도 특성을 실험적으로 제시하였다. 


alt


두 번째 발표도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과 관련된 분야로 “완충재 팽윤압의 온도 영향성 평가”에 대한 내용을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이득환 선임연구원이 발표하였다. 본 발표에서는 벤토나이트 완충재 가운데 Ca형 벤토나이트인 Bentonite-WRK를 대상으로 온도에 따른 팽윤압의 변화를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세 번째 발표는 토석류 산사태 재해와 관련된 분야로 “지형 특성을 활용한 AI기법 기반 토석류 발생 예측모델 개발”에 대한 내용을 한남대학교 강신항 교수가 발표하였다. 본 발표에서는 사면파괴 및 토석류 발생지점에서 지형학적 인자를 활용하여 AI기반의 토석류 발생지점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여 이에 대한 검증결과를 제시하였다. 


네 번째 발표는 재건축시 기초보강과 관련된 분야로 “수직증축 리모델링시 지반조건에 따른 말뚝기초 거동 분석”에 대한 내용을 충남대학교 노유진 석사과정 학생이 발표하였다. 본 발표에서는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지반조건에 따른 기존 및 보강말뚝의 거동을 해석하고 침하량과 하중분담율을 분석하였다. 


다섯 번째 발표도 재건축시 기초보강과 관련된 분야로 “수직증축 리모델링을 위한 선재하공법의 적용성 검토 연구”에 대한 내용을 GS건설 오경석 책임이 발표하였다. 본 발표에서는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말뚝지지 전면기초에 대한 선재하 하중 비율에 따른 기존 및 보강말뚝, 그리고 전면기초의 거동을 해석하고, 선재하 하중과 하중분담율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여섯 번째 발표는 댐 유지관리와 관련된 분야로 “머신러닝을 이용한 댐상태 평가기법 개발”에 대한 내용을 충남대학교 오현주 박사과정 학생이 발표하였다. 본 발표에서는 빅데이터화된 댐 계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댐의 거동 및 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머신러닝 모델을 개발하고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본 세션에서는 지반공학 분야에서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지반 인프라구조물을 대상으로 인공지능기법 및 3차원 유한요소기법을 적용하여 안정성 평가 및 유지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세션이 진행되는 동안 많은 질문과 활발한 토론이 이루어졌으며, 관련 분야에 대한 최신 연구동향을 공유할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다. 마지막으로 본 지면을 통하여 본 세션의 준비위원, 발표자 및 참석자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지반역학및불포화지반기술위원회] 지반역학 및 불포화토 지반


좌장: 김병수 교수(단국대학교)


지반역학및불포화지반 기술위원회는 새로이 기본에 충실하는 원년으로 삼고자 ‘지반역학 및 불포화지반’이라는 원론적 주제로 전문세션을 개최하였다. 강연자와 발표제목은 다음과 같다. 


1. 지오백(지오백커넥터) 보강 경사면 수치해석 연구(경희대 남부현)

2. 포화도에 따른 입상재료의 회복탄성계수 변화(단국대 박현수)

3. 포화도에 따른 화강풍화토의 열전도도 및 전기 비저항(광주대 강경오)

4. 빠른 지하수 흐름이 있는 지반에서의 인공동결공법 최적화 기술(금오공대 고규현)

5. 콘선단 저항치와 전단파 속도 상관관계 연구(강원대 김재현)

6. 산사태 원심모형실험을 위한 강우재현장치 개발(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박준영)


alt


첫 번째 논문은 경희대학교 남부현 교수가 현장에서 건설된 지오백 보강 경사면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제시하며, 특히 커넥터(Geobag connector)가 있는 지오백을 적용한 경우의 수치해석결과를 통해 그 효용성에 대해 발표하였다. 


두 번째 논문은 단국대학교 박현수 박사가 도로 구조물 하부 지반의 불포화 상태를 고려한 회복 탄성계수의 변형 거동을 예측하기 위해 흡수응력을 적용한 회복탄성계수 모델을 제안 및 검증에 대해 발표하였다. 


세 번째 발표는 광주대학교 강경오 교수가 대규모 토목공사에 적합한 열전도도 측정 방법을 위해 전기비저항과 열전도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장비개발 소개와 더불어 포화도에 따른 실내실험 결과들을 비교평가 내용을 발표하였다. 


네 번째 발표는 금오공과대학 고규현 교수가 비교적 빠른 지하수 흐름이 있는 지반조건에서 인공동결공법 시공 효율을 높이는 최적 동결관 배치 기술에 대한 추정모델 제안과 함께 그 정확성에 대한 결과들에 대해 발표하였다. 


다섯 번째 논문은 강원대학교 김재현 교수가 콘 선단저항치와 전단파속도의 상관관계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실리카 모래에 대해 원심모형실험기 내에서 실시된 콘 관입시험과 벤더엘리먼트실험의 결과를 소개하고, 얻어진 결과들의 타당성에 대해 발표하였다. 


마지막 발표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박준영 박사가 토석류의 시점부인 자연사면의 얕은 산사태를 유발하는 강우의 특성을 실험적으로 실증하기 위해 개발한 원심모형실험의 강우재현장치 개발내용을 소개하였고, 강우침투-사면안정해석 파라메트릭 예비연구 결과와 실험결과의 비교검증 방안에 대해 발표하였다. 


본 전문세션에서는 관련분야 전문가들의 많은 참여로 ‘지반역학 및 불포화지반’의 연구주제에 대해 포괄적인 논의가 활발히 이뤄질 수 있었다. 특히 인공동결공법과 원심모형실험, 불포화토 실험기기의 제작 및 운용에 대한 구체적 사항들에 대한 의견교류의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끝으로, 세션 개최를 위해 노력해주신 기술위 운영위원님들과 더불어 세션장에 참여해주신 많은 분들께도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여성위원회] 기계학습/스마트건설


좌장: 황은아 대표이사(미래지반연구소)


여성위원회에서는 회원들의 연구내용을 공유하기 위해 본 세션을 계획하였고 발표내용에 따라 주제를 “기계학습/스마트건설”로 하였다. 


첫 번째 발표는 “기계학습을 이용한 쉴드 TBM 디스크커터 교체 및 마모율 예측”으로 동국대 김윤희 박사가 진행하였다. 3개의 현장의 지반조건, 디스크 커터의 교체 이유와 교체회수의 방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통해 디스크커터 교체 및 마모율을 예측하였다. 기계학습모델에서 XGBoost기법 성능이 높았고, 향후 굴진 중 디스크커터 상태를 파악하여 공기 지연 감소 및 굴진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연구성과를 발표하였다.


alt


두 번째 발표는 “지능형 품질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지반 품질관리 방법”으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김진영 박사가 진행하였다. 총 6차년도에 걸친 연구성과를 발표하는 것으로 곧 실전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였다. 지능형 품질관리 시스템은 장비이동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여 별도의 다짐시험없이 전체의 다짐도를 확인할 수 있어 균질한 품질관리가 가능하고 실제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지반조건별, 함수비등 다양한 인자들을 활용한 현장 테스트가 필요하다고 마무리하였다.


기계학습에서는 학습모델, 데이터 처리방법이 지능형 품질관리 시스템에서는 현재 품질관리와의 차이와 제도, 현장적용성에 대한 많은 질의응답이 있었다. 바쁜와중에도 시간을 내어 좋은 발표를 해주신 발표자분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일반세션1]


좌장: 추현욱 교수(한양대학교)


본 일반세션에서는 총 4편의 논문 구두 발표가 진행되었다. 첫 번째 논문은“머신러닝 기반 비탈면 잠재 파괴면 예측”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군산대학교 사디크 샴셔 박사가 발표하였으며, 사면파괴면 예측을 위한 머신러닝 활용에 관한 연구 결과를 공유하였다. 두 번째 논문은“포화 점성토 지반에서 운용하는 무한궤도 차량 추력 이론해 제시”라는 제목으로 인천대학교 신세희 박사과정이 발표하였다. 평면 변형률 조건에서 경사를 가지는 궤도 시스템의 지반파괴 기전에 따른 추력 이론해를 two wedge failure 모델을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세 번째 논문은 “장시간 반복하중을 받는 입자성 물질의 K0변화 예측에 관한 연구”라는 제목으로 인천대학교 김내원 석사과정이 발표하였다. 반복하중 조건 하에서 사질토의 정지토압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결과를 공유하였다. 네 번째 논문은 “경화 지반과 압축 벤토나이트의 동적물성과 일축압축강도의 상관관계”라는 제목으로 공주대학교 발라고사 제비 박사가 발표하였다. 목재펠릿 fly ash를 기반으로 개발된 고결제를 이용하여 개량된 벤토나이트의 동적물성 특성에 관한 연구 결과를 공유하였다. 


본 세션은 초청 강연 후 진행되는 첫 번째 패러럴세션에 포함되어 있어서, 많은 분의 참여가 이뤄졌다. 최근 일반세션 구두 발표 논문투고 숫자가 줄어듦에 따라, 80분이라는 시간 동안 네 분의 발표가 이뤄져서, 발표 역시 수월하게 진행되었다. 여유로운 세션 진행은 좋았지만, 일반 세션에 대한 논문투고 증대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인 듯하다. 좋은 발표를 해준 발표자들과 끝까지 세션장을 채워준 청중들에게 다시 한번 감사를 표한다. 


alt



[일반세션2]


좌장 : 장일한 교수(아주대학교)


일반세션2에는 총 다섯편의 발표로 구성되었으며 발표제목과 발표자는 다음과 같다.


1. 시공 중 역해석을 이용한 잔여굴착단계 평가(마이다스아이티 전제석)

2. 가설 흙막이 설계의 고강도 강재 설계기준(중앙대학교 심창수)

3. 인공위성 원격탐사를 활용한 연약지반 굴착공사에 따른 지반침하 영향평가(경희대학교 박경원)

4. 건설공사 안전사고 통계분석 및 주요 위험요인 분석 연구(서울연구원 송영갑)

5. 다이렉트 알고리즘을 이용한 역해석 기법의 적용성 평가(대진대학교 이준석)


alt


첫번째 발표는 마이디스 프로그램을 이용한 터널 굴착 상황을 모사함에 있어 현장 계측 결과를 활용한 역해석 기법을 도입하여 잔여굴착 단계에서의 변위를 예측하는 내용 위주로 진행되었다.


두번째 발표는 구조공학 분야 중앙대학교 심창수 교수님께서 직접 해주셨는데, 가설 흙막이 설계에 있어 고강도 강재를 사용하는 경우 강재의 허용응력, 변형율 특성, 아울러 시공 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변수들을 고려한 가설 흙막이 설계 기준의 향후 개편 방향에 대한 심도 있는 발표가 이루어져 참석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이끌어 냈다.


세번째 발표는 인공위성 원격탐사를 이용하여 실제 인천 지역 시범현장에 대한 지반침하를 평가하는 내용이 발표되었으며,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한 지반 침하 평가에 대한 신뢰도 향상 가능성을 제시해주었다.


네번째 발표는 서울연구원 송영갑 박사께서 빅데이터 및 통계분석에 근거한 건설공사 안전사고 주요 위험요인 분석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으며, 특히 공학적인 영역 외에 공사규모, 공사주체, 인문학적 영향 등으로 인해 사고발생 유형 및 규모가 달라질 수 있음을 통계학적 데이터로 설명해준 부분이 매우 인상적이었다.


마지막 발표는 첫번째 발표와 비슷한 주제로 진행되었으며 현장계측 및 역해석 결과를 통해 현장의 주요 설계정수들을 도출하는 내용이 소개되었다. 



[일반세션3]


좌장: 구태서 교수(건국대학교)


본 세션은 지반공학회 봄학술발표회 첫째 날인 3월 21일(목요일) 오후에 일반세션(3)으로 진행되었으며, 세 명의 발표자가 각각 15~20분 동안 심도 있고 흥미로운 연구내용들을 소개하였다. 늦은 오후 세션임에도 불구하고 여러 교수, 대학원생, 연구원, 산업체 관계자들이 발표 경청 후 질의응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첫 번째 발표는 “경계 조건에 따른 동적 응답에 대한 해머 무게 및 낙하고 영향”이라는 주제로 고려대학교 박근우 박사가 발표를 진행하였다. 기존의 동적 콘관입장비(DCP)의 실험 정확성을 개선하기 위해 선단부의 에너지를 측정할 수 있는 계량화된 동적 콘관입장비(IDCP)의 개발을 소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두가지의 다른 경계 조건에서 동적 응답에 대한 비표준화된 해머 무게와 높이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두 번째 순서로는 ㈜지아이 지반정보 연구소의 이영재 연구원이 “연약지반 개량 과정의 중력장 해석”이라는 주제로 발표하였다. 압밀이 진행 중인 연약지반을 대상으로 시간에 따른 중력장 변화를 관찰하여 지반의 상태 진단을 위한 적용성 고찰을 연구 목표로 하였으며, 중력장 해석을 통해 공극률을 예측할 수 있다는 결론을 제시하여 중력장 해석이 연약지반의 상태 진단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마지막으로는 “통합 동상민감성 분류 기준 정립 방향성 제시”라는 주제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장근 박사가 발표하였다. 다양한 동상민감성 흙을 대상으로 미국 ASTM, 일본 JGS 표준시험법을 따라 동상 실내 실험을 수행하여 각각의 동상민감성 분류 인자들 및 Segregation Potential(SP)을 도출하고 비교하였다. 결론적으로 향후 SP를 활용한 통합 동상민감성 분류기준이 마련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연구자들의 열띤 발표와 청중들의 활발한 질의응답으로 세션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  


alt


[일반세션4]


좌장: 원종묵 교수(울산대학교)


2024년 제주도에서 개최된 봄학술대회의 일반세션 4에는 총 5개의 논문이 발표되었고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지반공학관련 주제들에 대한 흥미로운 주제들이 발표되었다. 먼저 한경국립대학교의 백성하 교수님께서 “지능형 다짐 지반 다짐품질 관리 실증 연구”에 대하여 발표해주셨고 지능형 다짐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와 적용 사례 및 최적 window size 결정에 대하여 발표하셨다. 두번째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양엄지 박사님께서 “한글 공사문서의 정보추출 자동화”에 대하여 발표해셨고 머신러닝을 이용하여 다양한 양식의 지반조사문서에서 필요한 정보 추출 자동화에 대하여 자세하게 발표해주셨다. 세번째로는 롯데건설의 이석진 팀장님께서 “ConGPT: 건설 산업의 LLM 활용과 지반 시방서 분석 및 챗봇 AI”에 대하여 발표해주셨고 롯데건설에서 빅데이터 및 자연어처리를 통하여 자체적으로 개발한 표준시방서 관련 질의응답 플렛폼을 소개해주셨다. 네번째로는 서울연구원의 김정환 박사님께서 “동적임계치 및 AIoT 기반 소규모 노후 건축물 안전관리 방안”에 대하여 발표해주셨고 데이터의 변동성을 반영한 동적임계치 산정의 필요성과 이를 기반한 관리기준치 제안 등에 대하여 발표해주셨다. 마지막으로 인천대학교의 김동균 학생이 “토사 입자 크기에 따른 지중 매설 박막형 압전센서의 측정 변동성”에 대하여 발표하였고 실내실험을 통한 입자센서 크기 비에 따른 박망형 압전센서의 측정 신뢰성에 대하여 발표하였다.  


본 세션은 위와 같은 IT를 접목한 지반공학 관련된 흥미로운 주제들이 발표되어 많은 청중들이 세션에 참석하였고 데이터 추출 자동화 및 자연어 처리 등과 같은 4차 산업혁명의 지반공학적 응용이 점차적으로 현실화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개인적으로는 추후에도 지속적으로 이러한 분야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들이 지반공학 실무에서 널리 적용되기를 소망한다.


alt



[일반세션5]


좌장: 송기일 교수(인하대학교)


학회 첫날 일반세션 5의 좌장으로 활동한 인하대학교 송기일 교수입니다. 본 세션에서는 총5편의 논문 발표가 이루어졌습니다. 현대건설 신영진 박사님은 이산사건 모델을 이용한 EPB TBM 공기 예측 시뮬레이션, 영남대학교 전병곤 교수님은 수치해석을 통한 고분의 안정성 확보 방안 연구, 대우건설 정영훈 박사님은 15MW급 부유식 해상풍력 콘크리트 발라스트 수리정적 및 동적 해석, 국립군산대학교 김형주 교수님은 토목섬유 튜브 구조체의 연결 방법, 국토안전관리원의 추진호 박사님은 3차원 점군데이터를 이용한 세그먼트라이닝의 링 형상변형 분석 사례를 발표하였습니다. 


최근 터널 지하공간 관련하여 기계화 시공 관련 연구가 국내외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굴착 기술 또는 설계기술의 발전에 이어 공사 시뮬레이션에 대한 연구로 확장되는 것을 소개하는 귀중한 시간이었습니다. 또한, 지반공학 분야에서 흔하게 볼수 없었던 문화재 관련 연구도 매우 흥미로웠습니다. 고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안정성을 평가하고 대처방안을 제시하는 등 문화재 관련하여 고도의 지반공학기술을 요하는 분야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해상풍력 기초와 관련하여 국내 기술력이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데, 발표자의 매우 정돈되고 전문적인 내용으로 15분이라는 시간이 정말 짧게 느껴졌던 멋진 발표였던것 같습니다. 추후에 별도로 한번 특강을 초청하고 싶은 발표였습니다. 지오튜브의 연결부분이 항상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는데 김형주 교수님께서 멋진 방법을 개발해 내셨습니다. 또한, PCD데이터를 이용하여 터널의 형상 모니터링을 수행한 이후 향후에는 터널의 안정성 분석까지 같이 이루어지면 좋겠다는 기대를 해보았습니다. 


발표자의 수준과 발표내용으로부터 국내 지반공학 분야의 수준이 세계적인 수준이라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첫날 마지막 세션이어서 발표자를 제외하고 세션장에 많은 사람이 모이지 않아서 그 내용을 몇몇사람만 공유할 수 있어서 다소 아쉬움이 남았습니다.


alt



[일반세션6]


좌장 : 김병민 교수(울산과학기술원)


일반세션 6에는 총 5개의 지반진동 관련 발표가 진행되었습니다. 첫 번째로 공주대학교의 추연욱 교수가 대심도 흙막이벽체의 지진응답에 관한 발표를 하였습니다. 동적원심모형실험을 통한 연구결과가 인상 깊었습니다. 두 번째는 한양대학교의 이용국 박사가 기계학습을 이용한 지반증폭 예측모델 개발에 관한 발표를 하였습니다. 요즘 각광 받는 기계학습 기술을 지반 및 지진 분야에 적용하여 지진파 예측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훌륭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었습니다. 또한, 서울연구원의 이영석 박사는 지반조사 자료와 지역 증폭 모델을 활용하여 서울 지역의 지진 정밀구역화를 진행하였습니다. 발표한 지진 증폭 지도가 향후 서울시 지진 대응에 크게 활용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원광대학교 이진선 교수는 개별요소법을 통하여 사질토 지반의 미소변형율 거동특성을 재현하는 연구에 관한 발표를 하였습니다. 우리나라 지반공학 분야에서는 아직 시도된 적이 거의 없는 개별요소법에 대한 내용을 강의 형식으로 소개해 주었는데, 저를 비롯한 많은 참석자들이 경청하였습니다. 또한, 개별요소법을 활용하여 반복직접단순전단시험을 모사한 부분도 흥미로웠습니다. 의미가 큰 발표여서 정해진 시간이 조금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진행하였습니다. 그로 인해, 마지막 발표자인 육군3사관학교 윤정원 박사가 조금 시간에 쫓기게 되었는데, 이 자리를 빌어 사과의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하지만, 윤정원 박사는 짧은 시간 내에도 자기부상 장치가 설치된 말뚝 구조물의 내진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를 아주 명료하게 발표하였습니다. 윤정원 박사가 추구한 진동대 실험 장치가 인상 깊었습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도 많은 분들이 지반진동에 관한 재미있는 연구를 훌륭하게 발표해 주었습니다. 덕분에 세미나실을 꽉 채운 청중들도 끝까지 남아 발표를 경청해 주었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지반진동 연구 분야에 대한 관심이 이어지고, 이로 인해 학술적 발전이 이루어지길 기대해 봅니다.


alt



[일반세션7]


좌장 : 정성훈 교수(국립순천대학교)


2024년 봄 학술 발표 [일반세션 7]에서는 총 4명(3 명 박사 후 연구원과 1명 교수)의 연사분들께서 열정을 갖고 발표를 해 주셨습니다. 또한, 금요일 오전 첫 세션임에도 불구하고, 참석한 청중들은 전날의 피곤한 기색이 보이지 않고, 세션에 임해 주셨습니다. 첫 번째 발표는 경희대학교 김성민 박사가 “AI 전이학습 모델을 활용한 광탄성 이축압축시험의 입자력 분석”이라는 흥미로운 주제로 발표를 하였으며, 광탄성 토립자 모형을 이용한 이축압축 시험에 대한 각 입자들의 전이 학습으로, 개별 입자들의 입자력 추이를 추적하였습니다. 두 번째 발표는 한국과학기술원 김진우 박사가 “지하수에 의한 광물용해가 흙의 역학적 거동에 미치는 영향의 X-ray CT 분석”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하였으며, 모래와 소금으로 구성된 시료를 이용하여 삼축 배수 실험을 수행하였고, X-ray CT 분석을 통하여 Micro scale에서 3차원 공극 구조 변화 정량적으로 해석하였고, Critical state에 대한 Unique함에 대해서 고찰을 하였습니다. 세 번째 발표는 연세대학교 김대현 박사가 “생화학적 광물 침전 과정 중 발생하는 공극 구조 변화에 대한 이해”라는 주제로 발표를 하였으며, 생광화물 처리된 흙의 공극률 변화에 대해서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습니다. 마지막 네 번째 발표는 인하공업전문대학교 곽창원 교수가 “비탈면 근접 항타하중의 영향”이라는 주제로, 깎기비탈면과 인접하여 말뚝을 항타할 경우에 대한 2차원 동적 수치해석 방법, 결과 분석, 그리고 고찰하였습니다. 


주어진 세션 시간이 80분이고, 발표자가 네 분이어서, 세션이 일찍 끝날까봐 걱정을 했지만, 발표자 분들의 연구 결과에 대한 자세한 공유와 청중들의 질의 응답으로 인해서, 세션이 주어진 시간에 맞게 종료하였습니다. 좋은 발표를 해준 발표자들과 세션장을 메워준 청중들에게 다시 한번 감사를 표합니다!!


alt



[학생세션1]


좌장: 홍원택 교수(가천대학교)


금년도 한국지반공학회 봄학술발표회 및 정기총회는 2024년 3월 21일부터 22일까지 1박2일에 걸쳐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되었으며, ‘지반조사’를 주제로 하는 학셍세션1은 학술발표회 1일차인 3월 21일 오후 1시 40분부터 오후 3시까지 80분간 303B호에서 진행되었다. 본 세션에서는 총 7인의 석o박사과정 학생들이 각자의 연구내용을 발표하였으며, 발표 후에는 청중들과의 심도 있는 질의응답 및 토론이 이어졌다. 본 세션의 첫 번째 발표는 고려대학교 김동주 박사과정 학생이 ‘실내 실험을 통한 원위치 강성 분석기와 반복삼축압축시험의 회복탄성계수 비교’를 주제로 발표하였으며, 이어 ‘충격반향기법을 이용한 교량 바닥판 열화 상태 평가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한국과학기술원 이도연 박사과정), ‘CPT 데이터를 이용한 기계학습 기반의 지반응력이력 평가’(건국대학교 곽다은 석사과정), ‘전자기파를 활용한 흙의 함수비 측정’(고려대학교 이현수 석사과정), ‘전기비저항을 이용한 바이오폴리머 주입 모니터링’(가천대학교 전민우 석사과정), ‘전극과 지하매설물의 상대적 위치에 따른 전기저항 탐사의 탐지 깊이에 대한 수치해석 연구’(순천대학교 김태영 석사과정), ‘해저 단층 지역 시료를 이용한 동적 물성 산정’(고려대학교 김진욱 박사과정)을 주제로 한 발표가 진행되었다. 


본 세션의 발표자들은 실내실험, 원위치 시험 및 물리탐사의 일반사항과 선진화된 센서의 적용, 수치해석과 머신러닝을 활용한 다양한 형태의 해석기법 적용 및 제시 등 매우 높은 수준의 연구내용을 다루었다. 특히, 유사 연구분야의 청중 및 발표자의 질의응답은 상수공생의 기회가 되었으리라 기대되며, 타 연구분야의 발표내용은 미래에 더욱 훌륭한 학자로 거듭나기 위한 대개안계의 기회가 되었을 것이라 기대된다.


alt



[학생세션2]


좌장: 변용훈 교수(경북대학교)


2024년 봄학술대회는 학생세션2에서는 총 8편의 논문이 발표되었습니다. 먼저, 바이오폴리머 처리에 의한 지반강화 및 동적 거동 분석에 초점을 맞추어, 해수조건하에서의 바이오폴리머 처리 토의 지반 강도 연구부터 시작하여, 바이오폴리머 처리 사질토에서의 가스하이드레이트 형성, 양이온-바이오폴리머 비율에 따른 거동, 원심모형실험을 위한 바이오폴리머 처리토의 반응성 분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구가 발표되었습니다. 또한, 배면지반의 동상 현상에 의한 옹벽의 손상도 평가, 순환골재의 지반공학적 특성 평가, 드론라이다 계측을 통한 압밀침하 모니터링 기법 개발, 공진주 시험을 통한 바이오 폴리머 처리 화강 풍화토의 동적 거동 분석 등의 연구가 포함되었습니다. 본 세션에 발표된 연구들은 바이오폴리머를 활용한 지반개량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다양한 지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며, 지반공학 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신기술과 접근 방법을 제시했다고 판단됩니다. 짧게 주어진 시간에서도 적극적인 참여와 질문, 그리고 충실한 답변으로 도와준 발표자와 청중분들께 다시한번 지면을 통해 감사의 뜻을 전합니다.


alt



[학생세션3]


좌장: 박정희 교수(인천대학교)


학생세션 3에서는 인천대학교 박정희 교수가 좌장을 맡아 사면안정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지반공학이라는 주제로 총 8편의 논문에 대한 발표가 있었다. 


첫번째로 단국대학교 고준연 학생이 기후변화에 따른 선행강우가 불포화 사면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사면 안정성 평가 시 선행강우를 충분히 고려할 수 있는 강우 기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두번째로 단국대학교 방태완 학생이 수평배수공의 설치조건에 따른 사면 안정성을 수치해석을 통해 비교하는 연구를 통해 수평배수공의 유출량과 지하수 변화 분석을 통해 간극수압 저감에 가장 효율적인 상태를 제시하였다. 


아주대학교 김기윤 학생은 비탈면 표면 보호공의 시공 적정성을 판단하고 강우에 의한 표면침식을 평가하기 위해 토양경도계를 활용한 실험적 연구를 진행하였고 비탈면 표면 보호공의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현장에서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토양경도계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인하대학교 우종원 학생은 태양광 발전시설이 설치된 도로 성토사면의 사전 안정성 검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정방향 풍하중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보강대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연세대학교 박지민 학생은 인공지능을 이용한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소개하고 지반조사보고서에서 데이터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연구를 통해 신경망 예측 결과에 따라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선택 적용하여 예측 결과를 보완함으로써 보고서 구성 분석의 정확성이 높아지는 것을 보여주었다. 홍익대학교 김동휘 학생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모래의 형상계수 결정 및 통계적 분석이라는 주제로 인간의 시각 대비 딥러닝 모델이 입자의 형상계수 평가에 대해 일관성이 높고 분산이 작아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두번째로 딥러닝을 활용한 암석 이미지 분류방법 연구에서는 스트레칭된 색상 히스토그램 사용의 우수성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연세대학교 김정훈 학생은 지구통계학 기법과 터널 굴진면 이미지의 공간적 상관성을 분석하여 semi-variogram을 적용한 결과 추출된 파라미터와 RMR 간의 상관성이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본 세션에 주어진 시간은 80분이였지만 모든 발표가 끝날때마다 다양한 질문과 답변이 이어지면서 모든 발표가 끝나는데 2시간이 소요되었다. 청중들은 질문을 통해 무엇가 배우려고 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였으며 발표자는 질의에 성심껏 답하는 모습을 보면서 학생세션 3에 참석한 모든 분들에게 매우 유익한 시간이 되었다고 판단된다. 


alt



[학생세션4]


좌장: 고준영 교수(충남대학교)


학생세션 4에서는 총 6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첫 번째 논문은 “수압 모델링 방법에 따른 개착식 굴착 흙막이벽체의 수평변위 비교”의 주제로 경희대학교 유지연 학생이 발표하였으며, 지하수위 조건 따라 벽체구조물의 수평변위를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두 번째 논문은 “흙막이 가시설을 위한 지지시스템의 강성 특성화 및 정량화 분석”의 주제로 연세대학교 윤종혁 학생이 발표하였으며, 흙막이 가시설의 지지시스템 강성 영향계수 IF를 제안하고,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벽체 및 지반거동을 분석하였다. 세 번째 논문은 “순환 신경망 기반 인접 지열정 시추 굴진율 예측”의 주제로 연세대학교 서완혁 학생이 발표하였으며, 인접 지열정의 ROP 데이터를 사용하여 RNN 모델 학습을 통해 시추 대상 지열정의 ROP를 예측하였고, 높은 정확도의 예측성능을 확인하였다. 네 번째 논문은 “중금속 오염 지반 정화를 위한 안정화 공법 현장 적용을 위한 안정제의 침투 유효 반경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의 주제로 아주대학교 염준혁 학생이 발표하였으며, 약액 그라우트 공법 시공 시 다양한 조건에 따라 구근의 유효반경을 수치해석적으로 평가하였다. 다섯 번째 논문은 “모래-일라이트 혼합토에서 초기 포화도가 종방향 분산성에 미치는 영향”의 주제로 고려대학교의 양수빈 학생이 발표하였으며, 컬럼심험, 수치해석, 이론식을 활용하여 모래-일라이트 혼합토 초기 포화도에 따른 종방향 분산성을 분석하였다. 


세션의 마지막 논문은 “ViT 모델을 이용한 머신러닝 기반의 산사태 취약성 분석”의 주제로 연세대학교 이상민 학생이 발표하였으며, 결정론적 산사태 데이터를 사용하여 ViT 모델 학습을 통해 산사태 취약지역을 예측 및 분석하였다. 각 발표별로 질의 응답이 이루어졌고, 이에 각 발표자들이 성실히 답변하여 청중들의 이해에 도움을 주었다. 본 세션을 통해 지반공학 분야의 미래인 학생들의 연구 주제에 대해 파악할 수 있었으며, 향후 발전된 연구 결과 발표를 기대하는 바이다.


alt



[학생세션5]


좌장: 김도현 교수(국립한밭대학교)


본 학생세션에서는 터널 및 지하공간의 다양한 활용/개발과 관련된 연구주제로 총 8편의 발표가 진행되었다. 첫 번째 발표는 “지진 시 원형 터널의 손상 평가”라는 제목으로 한양대학교 김채영 학생이 진행하였다. 2차원 유사 정적 해석을 수행하여 터널의 손상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다양한 지반 조건에서 각 손상 상태에 따른 손상 지수를 제안하였다. 


두 번째 발표는 부산대학교 유준상 학생이 “벤토나이트-모래 혼합재료의 건조밀도에 따른 팽윤특성”에 관한 실험 결과를 중심으로 진행하였으며, 본 실험 결과는 향후 공학적 방벽재 성능 및 안정성 평가를 위한 설계 가이드라인으로써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세 번째 발표는 아주대학교 박형빈 학생이 진행한 “터널 기계화 시공에 사용되는 뒤채움 재료의 요구 성능 및 사례 분석”으로, 터널 뒤채움 그라우트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6가지 재료들의 기존 배합비에 대한 실험 연구 결과가 주된 내용이었다. 


네 번째 발표는 한국과학기술원 박준호 학생이 “수소 에너지 지중저장을 위한 열-역학 반복하중에 따른 화강암 음향방출 모니터링”이라는 제목으로 발표를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파괴에 도달하게 되는 하중조건이 주어질 때에 상대적으로 낮은 지배주파수의 AE 신호들이 수집되는 것이 확인되었고, 열-역학 반복하중 열화 환경은 일반 반복하중 환경과 다른 모니터링 기준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섯 번째 발표는 부산대학교 원조현 학생의 발표로 “고온환경에서의 암반 그라우팅을 위한 주입특성 분석” 연구를 통해 고온환경 암반 그라우팅 수치해석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다양한 영향인자에 따른 그라우팅 주입재 주입성능 기준 제시의 기초를 정립하였다. 


여섯 번째는 인하대학교 박장현 학생이 “국내 노후 공동구 성능개선을 위한 실사 및 단면 노출”이라는 연구를 통해 노후 공동구에 대한 데이터를 정리하고 향후 공동구 연구에 필요한 자료의 정리에 대한 발표를 진행하였다. 한국과학기술원의 장우재 학생은 일곱 번째 발표에서 “이산화탄소 지중저장을 위한 균열 현무암 내 탄소 광물화 실험” 연구를 진행하여 균열 현무암 내 탄소 광물화 반응을 진행시켜 공극률과 투과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마지막으로 서울대학교 김준우 학생은 “점성토 지반에 근입된 석션버켓의 세굴에 따른 기초강성 변화 분석” 연구를 통해 석션버켓 주변 세굴과 수평 거동 사이의 관계를 발표하였다.


본 세션을 통해 학생들이 진행하는 연구의 높은 수준과 이에 대한 깊은 이해가 바탕이 된 뛰어난 발표 실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80분이라는 짧은 시간에 8편의 논문의 발표가 진행되어야 했는데, 학생들의 발표 시간을 최대한으로 확보해주기 위해 발표 후 별도의 질의응답 시간을 갖지는 못한 것이 아쉬웠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에서도 자신의 연구 내용 발표를 제한된 시간 안에 잘 마치고, 시간 관계상 질의응답을 진행하지 못한 것을 이해해주신 회원님들의 양해에 모두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다.


alt



[학생세션6]


좌장: 김상엽 교수(건국대학교)


본 학생세션은 수치해석과 모델 예측을 기반으로 한 지반 및 구조물의 동적해석에 관련한 연구주제로 총 8편의 구두 발표가 진행되었으며, 발표한 논문 리스트는 다음과 같다.


1. 수치해석을 통한 베이스먼트 지하구조물의 지진토압 추정

2. 동적 원심모형시험을 통한 하부 지형에 따른 지진동 상관성 함수 영향

3. 국내 시추 기록을 사용한 지반응답해석

4.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활용한 지하 역사 내 지진 발생 시 최적 대피경로 개발

5.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지진동 상관성 함수 수치적 추정

6. 동적 수치 해석을 활용한 개착식 지하철 역사 구조물의 지진별 지진취약도 분석

7. VS30 기반의 국내 천부 전단파속도 주상도 회귀모델

8. 머신러닝 기반 일본 부지증폭 예측


본 세션은 이번 2024 봄 학술발표회의 마지막 세션 중 하나인 관계로 참여율이 다소 낮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발표자를 포함한 매우 많은 학생들과 청중들이 참석하였다. 박사과정, 석사과정뿐만 아니라 학부연구생도 발표를 수행하며 많은 의견들이 오고갔으며, 학생들의 연구적 성과달성만큼이나 중요한 발표경험을 쌓는 좋은 기회였다고 생각된다. 총 80분이라는 세션 배정시간에 8편의 발표를 진행하기에 시간이 다소 부족하였으나, 발표당 한 개 정도씩의 질의응답을 진행하고자 하였다. 세션이 진행됨에 따라 청중들의 참여가 조금씩 줄어들어 마지막 발표에는 다소 정적인 분위기에서 진행되는 아쉬움이 있었으나, 마지막까지 좋은 발표와 양질의 코멘트를 해준 발표자들과 청중들에게 다시 한 번 깊은 감사를 드린다.


alt



[학생세션7]


좌장: 김종찬 교수(부경대학교)


2024 한국지반공학회 봄 학술발표회 [학생 세션7]에서는 총 다섯 명의 학생이 자신들의 연구를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학술대회의 마지막 세션이었지만, 많은 교수님과 학생들이 참여하여 발표를 경청하고 질문에 응했습니다. 첫 번째 발표는 고려대학교 박현태 학생이 “간극수의 염도와 부동 수분을 고려한 동결 사질토의 열전도도 평가”라는 주제로 발표하였고, 해수의 염분과 동결 온도의 변화에 따른 부동 수분의 변화에 대해 고찰하였습니다. 두 번째 발표로는 경희대학교 최우영 학생이 “복소수 푸리에 기술자를 이용한 모래 입자 원마도 재현의 주파수 범위 최적화”라는 주제로 입자의 원마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기법에 대해 소개하였습니다. 세 번째 발표는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Herrera Diego 학생이 “삼축시험 및 직접단순전단시험을 통한 주문진 표준사의 한계상태선 도출”이라는 주제로 critical state line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특히 청중 학생이 직접 영어로 질문하고 영어로 답변하는 뜨거운 열정을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네 번째로는 대진대학교 이영진 학생이 “간극수의 증발을 고려한 지반의 열전달 해석 모델”을 발표하였고, 고열에 의해 증발하는 간극수를 고려하는 열전달 방정식에 대해 제안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한양대학교 오지석 학생은 “포화도에 따른 모래-타이어칩 혼합토의 열전도도 변화: 입자의 소수성 영향”이라는 주제로, 타이어칩 함량 조건에 따른 혼합토의 열전도도 변화에 대해 고찰하였습니다. 각 발표를 마친 후, 활발한 질의응답이 이루어졌고, 발표자는 질문에 성실하게 응하고 서로 배우는 자세로 임했던 것이 아주 고무적이었습니다. 지반공학을 전공하는 대학원생들의 노력과 열정을 느낄 수 있었고, 마지막까지 좋은 발표를 해주신 발표자들과 참여한 청중들에게 다시 한 번 감사를 표합니다.


alt



[학생세션8]


좌장: 장준봉 교수(동아대학교)


2024년 한국지반공학회 봄학술발표회의 학생세션8에서 8명의 대학원생들이 지반의 물성치 측정 및 지반에서 발생하는 관심 현상에 대한 실내실험 결과들을 발표하였다. 동아대학교 마르자디 한디카자티 쿠수마 학생은 “단일광물 세립토의 압축성에 대한 실내실험”을 발표하며, 세립토의 광물과 모양의 영향으로 생기는 전통적 압밀현상과 규조토의 압축 현상의 특이성을 규명하였다. 가천대학교 조현묵 학생은 “바이오폴리머 수용액 주입에 의한 사질토의 강성증대효과”를 발표하였고, 잔탄검 바이오폴리머의 건조과정 중 강도의 증대를 전단파의 속도를 실내실험으로 측정하여 변화를 살펴보았다. 한양대학교 김장언 학생은 “반복하중 주기 변화에 따른 포화된 카올린 점토의 압축성 평가”에 대해서 실내실험으로 연약지반에 반복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간극수압에 대한 영향을 간극비의 변화를 통해 보여주었다. 


전남대학교 다오튀린 학생의 발표는 “순환골재 기반 지중전력선용 뒤채움재의 역학 및 열적특성”으로, 재생용 골재를 지중전력선 굴착시 뒤채움재로 사용시 발생되는 열의 소산과 강도적 특성을 실험을 통해서 소개하였다. 강원대학교 이제권 학생은 “해상풍력 모노파일의 횡방향 반복하중에 대한 원심모형실험 연구”를 발표하며, 원심모형실험기를 이용하여 모노파일의 장기거동을 실험하고 생성된 p-y곡선에 대한 결과를 평가 하였다. 전남대학교 최경식 학생은 “지열에너지 시스템에서 주문진 표준사의 가역적 및 비가역적 열팽창 거동”을 발표하며, 실험적으로 모래질 사질토에서 상대밀도에 따라 외부 열에 의한 변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고려대학교 이영훈 학생의 발표는 “전송선로를 이용한 매설관 주변부 모의 결함의 전자기파 속도 평가”이며, 모형 토조 실험을 실시하여 매설관 주변에 전송선이 있을 때 발생되는 전자기파의 속도의 변화를 공동 부분과 누수와 연관지었다. 충북대학교 장채운 학생의 “반복삼축시험을 통한 바이오폴리머 처리토의 액상화 저항 강도 평가” 발표는 반복삼축시험을 다른 종류의 바이오폴리머를 주입한 시료에 대해 시행하여 강도증진 효과 및 액상화 평가에 필요한 CRR을 선정하여 비교하였다. 참여자들의 실험 계획 및 장비 활용이 실험의 목적에 맞게 제작되거나 선택되었으며, 결과에 대한 분석도 청중의 관심을 이끌고 연구에 도움이 되는 질의 응답이 이어졌다. 앞으로도 학생 참여자들의 좋은 연구성과를 기대하게 된다. 


alt





2024년 봄학술발표회 학생 우수논문 수상자


■  우수 구두

전자기파를 활용한 흙의 함수비 측정  

이현수(고려대학교), 김상엽(건국대학교), 이동수, 이종섭(고려대학교)


원심모형실험을 위한 바이오폴리머 처리토와 점성유체의 반응성에 대한 사전 연구      

박동엽, 방정욱, 임상훈, 조계춘(한국과학기술원)


AI 및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지반조사보고서 데이터 추출 자동화      

박지민, 서완혁(연세대학교), 서동희(GS건설), 윤태섭(연세대학교)


순환 신경망 기반 인접 지열정 시추 굴진율 예측  

서완혁, 윤태섭(연세대학교)


수소 에너지 지중저장을 위한 열-역학 반복하중에 따른 화강암 음향방출 모니터링      

박준호, 김진우(한국과학기술원), 한결(조지아텍), 권태혁(한국과학기술원)


수치해석을 통합 베이스먼트 지하구조물의 지진토압 추정  

이충현, 박두희(한양대학교)


포화도에 따른 모래-타이어칩 혼합토의 열전도도 변화: 입자의 소수성 영향      

오지석, 고효정, 류병휘, 추현욱(한양대학교)


반복삼축시험을 통한 바이오폴리머 처리토의 액상화 저항 강도 평가  

장채운, 정종원(충북대학교)


■ 우수 포스터

터널 세그먼트 배면 평가 성능 향상을 위한 GPR 이미지 분할 기법 개발   

양승훈, 강민규, 황채민, 이수형, 최항석(고려대학교)


양이온 교차결합 바이오폴리머 처리토의 내구성 증진을 위한 세립분 첨가의 관한 미시적 관점에서의 연구   

방정욱, 박동엽, 임상훈(한국과학기술원), 장일한(아주대학교), 조계춘(한국과학기술원)


건축물의 관성력이 지하벽체의 지진토압에 미치는 영향 분석  

황병윤, 황태훈, 김성렬(서울대학교)







디지털 온라인 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한국지반공학회 데이터 전산화 전략


지난 2019년 12월에 발생한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은 비대면 및 비접촉 시대의 도래를 촉진하였으며, 이로 인해 온라인 회의 시스템의 보급과 메타버스(Meta-verse)와 같은 가상 시공간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사회 및 경제 등 다양한 부문에서 디지털화의 잠재력을 크게 부각시켰으며,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DX)을 통한 새로운 가치 창출의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한국지반공학회도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으며, 지반공학연구소에서는 지속적인 학회 발전과 회원 서비스 강화를 목표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제20대 김영욱 회장의 취임과 함께 현재까지 축적된 학회자료의 디지털화를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학회 보유 자료의 조사, 취합, 디지털화 및 공유 플랫폼을 마련하여 산재된 학회 자료를 효율적으로 통합 정리하고, 회원 간 자료 공유를 강화하여 디지털화 시대의 빠른 변화에 대응하고자 한다. 


현재(2024. 2. 기준)까지 지반공학연구소에서 추진한 데이터 전산화 과정에 대한 상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학회 자료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전산화 데이터 구축 추진경과]

- 전자문서, 사진, 동영상 형태의 학회 사무국 보유자료(데이터) 종합 확인 및 구분   (2023. 5. 완료)

- 위원회, 연구회 등 각 기구에서 보유 중인 전자문서, 사진, 동영상, 행사목록 확인 및 구분(2023. 6. 완료)

- 학회 사무국 보유 비전산 발행물(지반공학 단행본, 기술위원회 발행본, 연구용역   보고서) 보유현황 확인 및 전산화 관리, 리스트 관리 대상 자료 확정(2023. 8. 완료)

- 전산화 관리 대상 자료(학회 발행물: 387건, 행사: 114건, 연구회 및 위원회: 137건)  수집 및 리스트 관리 대상 자료(지반공학 단행본, 기술위원회 발행본, 연구용역   보고서: 1,015건) 수집, 관리 폴더구성 및 매뉴얼화(2023. 10. 완료)

- 전산화 자료 및 리스트관리자료 전용 저장매체(SSD) 구입, 전체 폴더 및 자료 이관, 향후 학회 자료수집 범위 및 수집방법 등 관리방안 검토(2023. 12. 완료)


alt


현재까지 진행한 내용을 기반으로, 앞으로는 e-정보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온라인 관리/공유체계 구축'에 더욱 주력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 클라우드(Cloud)를 활용하여 전산화 자료 저장과 공유 시스템을 구축할지, 혹은 새로운 학회 전산시스템을 도입(개발) 할지에 대하여 검토할 예정이다. 또한, '홈페이지관리위원회'와 협력하여 현재의 학회 홈페이지를 개선하고, 미래에는 「(가칭) 차세대 지반공학포털시스템」으로 전면적인 리뉴얼 작업을 계획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지속적으로 정보의 효율적인 관리와 공유를 촉진하여 학회의 DX화를 향상시킬 예정이다. 


※ 회원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아이디어 제공을 부탁드립니다.


김영욱(한국지반공학회 회장, 명지대학교 교수)

김영석(한국지반공학회 지반공학연구소 소장,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홍원택(가천대학교 교수)

김상엽(건국대학교 교수)

강현옥(한국지반공학회 사무국장)  





국제학술회의 소식

International Conference & Symposium



May to December, 2024


GeoAmericas 2024

o Date: April 28-May 1, 2024 o Venue: Toronto, Canada 

o Website: https://www.geoamericas2024.org/ o E-mail: info@igs-na.org 


International Foundation Congress and Equipment Expo

o Date: May 7-10, 2024 o Venue: Dallas, USA

o Website: http://ifcee2024.com o E-mail: adsc@adsc-iafd.com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arthquake Geotechnical Engineering(8 ICEGE)

o Date: May 7-10, 2024 o Venue: Osaka, Japan

o Website: https://confit.atlas.jp/guide/event/icege8/top?lang=en o E-mail: Info8ICEGE@gmail.com


2024 GeoShanghai International Conference

o Date: May 26-29, 2024 o Venue: Shanghai, China 

o Website: http://geo-shanghai.org/ o E-mail: yuqian@sc.edu


2nd Annual Conference on Foundation Decarbonization and Re-use

o Date: May 28-30, 2024 o Venue: Amsterdam, Netherlands

o Website: https://foundationreuse.com/ o E-mail: info@foundationreuse.com


11th International Symposium of Geotechnical Aspects of Underground Construction in Soft Ground (IS-Macau 2024)

o Date: June 14-17, 2024 o Venue: Macao, China

o Website: https://is-macau2024.skliotsc.um.edu.mo o E-mail: ismacau2024@um.edu.mo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eotechnical and Geophysical Site Characterization

o Date: June 18-21, 2024 o Venue: Barcelona, Spain

o Website: https://isc7.cimne.com/ o E-mail: isc2023@cimne.upc.edu


28th European Young Geotechnical Engineers Conference 2024

o Date: June 25-29, 2024 o Venue: Skopje, Macedonia

o Website: https://mag.net.mk/ o E-mail: mag@gf.ukim.edu.mk


The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ress-In Engineering 2024

o Date: July 03-05, 2024 o Venue: NUS, Singapore

o Website: https://2024.icpe-ipa.org/ o E-mail: tokyo@press-in.org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nvironmental Geotechnology, Recycled Waste Materials and Sustainable Engineering

o Date: July 04-06, 2024 o Venue: Warsaw, Poland

o Website: https://iil.sggw.edu.pl/egrwse-2024 o E-mail: egrwse2024@sggw.edu.pl


14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Landslides 2024

o Date: July 07-12, 2024 o Venue: Chambery, France

o Website: https://www.isl2024.com/ o E-mail: contact@isl2024.com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eotechnical Engineering

o Date: July 21-23, 2024 o Venue: Semarang, Indonesia

o Website: http://www.rcigi-undip.com o E-mail: info@rcigi-undip.com


XVIII European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Geotechnical Engineering

o Date: August 25-30, 2024 o Venue: Lisbon, Portugal

o Website: https://www.ecsmge-2024.com/ o E-mail: spg@lnec.pt


GeoenvironMeet 2024

o Date: September 8-11, 2024 o Venue: Hilton Portland Downtown, US

o Website: https://geoenvironmeet.asce.org/ o E-mail: registrations@asce.org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International Society for Intelligent Construction (ISIC 2024)

o Date: September 10-12, 2024 o Venue: Orlando, US

o Website: https://www.is-ic.org/conferences/2024-isic-international-conference/ o E-mail: hahnp@egr.msu.edu 


77th Canadian Geotechnical Conference and the 16th Joint CGS/IAH-CNC Groundwater Conference

o Date: September 15-18, 2024 o Venue: Montreal, Canada

o Website: https://www.geomontreal2024.ca/ o E-mail: lisa@karma-link.ca


Nordic Geotechnical Meeting - NGM 2024

o Date: September 18-20, 2024 o Venue: Goteborg, Sweden

o Website: http://www.ngm2024.se o E-mail: ngm2024@sgf.net


IS-Grenoble 2024: International Symposium on Geomechanics from Micro to Macro

o Date: September 23-28, 2024 o Venue: Grenoble, France

o Website: https://is-grenoble2024.sciencesconf.org/ o E-mail: is-grenoble2024@sciencesconf.org


4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Risk Assessment and Sustainable Stability Design of Slopes(ISRASSDS-Toronto 2024)

o Date: September 29- October 04, 2024 o Venue: Toronto, Canada

o Website: http://www.icgdr.com/Home/Detail/87 o E-mail: jinyuan.liu@torontomu.ca


5th European Conference on Physical Modelling in Geotechnics

o Date: October 02-04, 2024 o Venue: Delft, Netherlands

o Website: https://ngf.no/events/5th-european-conference-on-physical-modelling-in-geotechnics/ o E-mail: organisation.ecpmg24@gmail.com


XVIII African Regional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Geotechnical Engineering

o Date: October 06-09, 2024 o Venue: Algiers, Algeria

o Website: https://algeos-dz.com/18ARC.html o E-mail: info18ARC@algeos-dz.com


DFI 49th Annual Conference on Deep Foundations

o Date: October 07-10, 2024 o Venue: Aurora, USA

o Website: http://www.dfi.org/annual2024 o E-mail: events@dfi.org


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for Resilient, Smart and Sustainable Solutions

o Date: November 03-05, 2024 o Venue: Al Khobar, Saudi Arabia

o Website: https://cees2024.org/ o E-mail: tayadat@pmu.edu.sa


10th AYGEC Asian Young Geotechnical Engineers Conference

o Date: November 11-14, 2024 o Venue: Jakarta, Indonesia

o Website: http://10aygec-pit28.hatti.or.id o E-mail: info@10aygec-pit28.hatti.com


XVII Panamerican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Geotechnical Engineering

o Date: November 12-17, 2024 o Venue: Pucon, Chile

o Website: https://panamgeochile2024.cl o E-mail: info@panamgeochile2024.cl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ransportation Geotechnics 2024

o Date: November 20-22, 2024 o Venue: Masonic Centre Sydney, Australia

o Website: https://www.ictg2024.com.au/ o E-mail: ictg2024@arinex.com.au


The 2nd GeoMandu: Geotechnics for Sustainable Infrastructures

o Date: November 28-29, 2024 o Venue: Kathmandu, Nepal

o Website: https://geomandu.ngeotechs.org/ o E-mail: ngeotechs@gmail.com


4th Asia-Pacific Conference on Physical Modelling in Geotechnics (ACPMG 2024)

o Date: December 11-13, 2024 o Venue: Abu-Dhabi, United Arab Emirates

o Website: https://tc104-issmge.com/acpmg-2024/ o E-mail: acpmg24@nyu.edu


The Third Vietnam Symposium on Advances in Offshore Engineering

o Date: December 12-14, 2024 o Venue: Hanai, Vietnam

o Website: https://vsoe2024.sciencesconf.org/ o E-mail: vsoe@avseglobal.org 


January to December, 2025


Pan Mediterranean Geotechnical Engineering Conference

o Date: April 27-30, 2025 o Venue: Beirut, Lebanon

o Website: http://pmgec-leb.com/ o E-mail: contact@pmgec-leb.com


5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Frontiers in Offshore Geotechnics(ISFOG)

o Date: June 9-13, 2025 o Venue: Nantes, France

o Website: https://isfog2025.univ-gustave-eiffel.fr/ o E-mail: s_bretelle@hotmail.com


9th International Symposium for Geotechnical Safety and Risk

o Date: August 24-27, 2025 o Venue: Oslo, Norway

o Website: https://www.isgsr2025.com/ o E-mail: ISGSR-2025@ngi.no


DFI 50th Anniversary Conference on Deep Foundations

o Date: October 20-23, 2025 o Venue: Nashville, United States

o Website: http://www.dfi.org o E-mail: tengler@dfi.org





해외매거진 소개



alt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ume 150, Issue 4 (Aprill 2024) / https://ascelibrary.org/toc/jggefk/150/4


목차


Technical Papers


Constitutive Model for Thermo-Hydro-Mechanical Behaviors of Saturated Partially Frozen Cohesionless Soils: A Theoretical Pore-Scale Study

Weiling Cai, Cheng Zhu


Resolved CFD-DEM Modeling of Suffusion in Gap-Graded Shaped Granular Soils

Ya-Jing Liu, Zhen-Yu Yin, Shuai Huang, Zhengshou Lai and Chuang Zhou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Pressures against Unyielding Surfaces Using Inextensible Reinforcement

Wyatt W. Kelch, Michael B. Rodgers, Taylor A. Rawlinson, Michael C. McVay, Rodrigo A. Herrera and David J. Horhota


3D FEM Back Analysis of the Observed Performance of a Very Deep Excavation in the Historical Center of Naples, Italy

Gianpiero Russo, Marco Valerio Nicotera and Ilaria Esposito


Cadia TSF Failure Assessment Considering Triggering and Posttriggering Mechanisms

Jorge Macedo, Alba Yerro, Renzo Cornejo and Ian Pierce


Hysteretic Damping of Piles in Sands for Offshore Wind Jacket Structures

Aaron S. Bradshaw and Irina Perepelitsa


Axial Cyclic and Static Behavior of FRP Composite Seawater-Sea Sand Concrete Piles Ended in a Rock Socket

Numan Malik, Wen-Bo Chen, Ze-Jian Chen, Pei-Chen Wu and Jian-Hua Yin


Effects of Excess Pore Pressure Redistribution in Liquefiable Layers

Sumeet K. Sinha, Katerina Ziotopoulou and Bruce L. Kutter


Evaluation of Parametric Breach Models from Prototype and Historical Embankment Dams under Overtopping Conditions

Théo Dezert and Fjola Guðrún Sigtryggsdottir


Sustainability and Resilience Assessment of a Reinforced Concrete Bridge Subjected to Liquefaction-Induced Lateral Spreading

Zhijian Qiu, Athul Prabhakaran, Jinchi Lu, Ahmed Elgamal and Yewei Zheng


Space-Time Pressure Distribution Applied to a Stiff Concrete Structure through a Protective Sand Layer from Full-Scale Experimental Rockfall Tests

Bruna Garcia, Tarik Oussalah, Jean-Pierre Rajot and Anne-Sophie Colas


Bubble Growth and Release in Sediments during Water Level Drop: A Growth Model of Isolated Bubbles

Yongjin Chen, Mengxian Hu, Yixuan Hou, Zhao Jin, Xinzhe Que, Yongchao Zhou and


MPM Simulation of the Installation of an Impact-Driven Pile in Dry Sand and Subsequent Axial Bearing Capacity

Vahid Galavi and Mario Martinelli


Soil-Water Retention Curve Determination for Sands Using the Filter Paper Method

B. J. Shwan





alt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ume 150, Issue 5 (May 2024) / https://ascelibrary.org/toc/jggefk/150/5


목차


Technical Papers


A Unified Semiempirical Model for Small-Strain Shear Modulus of Fine-Grained Soils under Hydromechanical Loading

Amin Gheibi, Mehrzad Rahimi and Ali Khosravi


Experimental and SPH Modeling of Debris-Flow Impact on Dual Rigid Barriers with Deflector

Charles W. W. Ng, Zhi Li, Sunil Poudyal, W. A. R. K. De Silva, Aastha Bhatta and Haiming Liu


Spring-Supported Newmark Model Calculating Earthquake-Induced Slope Displacement

Takaji Kokusho


Settlement Prediction of the Ballina Embankment, Australia, Considering Creep

Shan Huang, Jinsong Huang, Richard Kelly, Merrick Jones and A. H. M. Kamruzzaman


Liquefaction Potential and Sediment Ejecta Manifestation of Thinly Interbedded Sands and Fine-Grained Soils: Palinurus Road Site in Christchurch Subjected to 2010-2011 Canterbury Earthquake Sequence

Mohammad Khosravi and Shahabeddin Zaregarizi


Effects of Active Axial Force Adjustment of Struts on Support System during Pit Excavation: Experimental Study

Yuyin Jin, Honggui Di, Shunhua Zhou, Hongbo Liu, Di Wu and Huiji Guo


Effect of Anisotropic Consolidation on Cyclic Liquefaction Resistance of Granular Materials via 3D-DEM Modeling

Ming Yang and Mahdi Taiebat


Applying Network Modeling to Determine Seepage-Induced Forces on Soil Particles

Tokio Morimoto, Catherine O’Sullivan and David M. G. Taborda


Three-Dimensional Coupled Finite-Element Analyses of the Seismic Performance of Onshore Wind Turbines on Liquefiable Soils

Domenico Gaudio, Juntae Seong, Stuart Haigh, Giulia M. B. Viggiani, Gopal S. P. Madabhushi, Rajesh Shrivatsava, Ravikant Veluvolu and Prashanta Padhy


Bearing Performance of Finned Suction Caissons under Combined VHMT Loading in Clay

Dengfeng Fu, Zefeng Zhou, Dhruba Lal Pradhan and Yue Yan


Effect of Mean Particle Size and Uniformity on Modulus Degradation of Nonlinearly Graded Marine Sands

Ramesh Gangisetti and Sireesh Saride


Small-Strain Shear Modulus of Quartz Sands under Anisotropic Stress Conditions

Yutang Chen and Jun Yang


Numerical Evaluation of Static Liquefaction-Induced Flowslide Causing the Edenville Dam Failure, Michigan

Ali P. Babaki and Dwayne D. Tannant


Thermomechanical Behavior of Energy Piles with Different Roughness Values in Unsaturated Soil

Sheqiang Cui, Chao Zhou, Cao Shi and Hu Lu


Case Studies


Dredged Clay Treatment Consolidation Theory by Air-Booster Vacuum Preloading

Jingjin Liu, Xuesi Luo, Huayang Lei, Gang Zheng, Haopeng Luo and Yawei Jin


Hydraulic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 Geosynthetic Clay Liner Exhumed from an Exposed Composite Liner

Thomas R. Williams, Craig H. Benson, Kuo Tian, Nazli Yesiller and James L. Hanson


Multibench-Retained Excavations with Inclined-Vertical Framed Retaining Walls in Soft Soils: Observations and Numerical Investigation

Gang Zheng, Zhiyi Guo, Haizuo Zhou, Yong Tan, Zhe Wang and Songhao Li


Technical Notes


Relationship between Fines Content and Soil Behavior Type Index at Liquefaction Sites

Kenneth S. Hudson, Kristin J. Ulmer, Paolo Zimmaro, Steven L. Kramer, Jonathan P. Stewart and Scott J. Brandenberg


Discussions and Closures


Discussion of “Reusing Life-Expired Railway Ballast: Laboratory Testing, Shape Analysis, and Petrographic Evaluation’

’Vishnu Diyaljee


Discussion of “Modeling Lifetime Performance of Monopile Foundations for Offshore Wind Applications”

W. O. McCarron


Closure to “Modeling Lifetime Performance of Monopile Foundations for Offshore Wind Applications”

Christelle N. Abadie, Guy T. Houlsby and Byron W. Byrne


Corrections


Erratum for “Permanent Sheet Pile Wall in Soft Sensitive Clay”

Johannes Tornborg, Mats Karlsson and Minna Karstunen





alt


Géotechnique

Volume 74, Issue 3 (March, 2024) / https://www.icevirtuallibrary.com/toc/jgeot/74/3


목차


Articles


Editorial

Lidija Zdravkovic, Matthew R. Coop


Influence of air entrainment and gas kinetics on liquefaction triggering during tsunami loading

Babak Mahmoodi, Aaron P. Gallant, H. Benjamin Mason


Interfacial resistance model for electro-osmotic system

Qiyun Gan, Jian Zhou, Yanli Tao, Yicheng Jiang


Insight into contact forces in crushable sand using experiments and predictive particle-scale modelling

John M. Harmon, Dawa Seo, Giuseppe Buscarnera, José E. Andrade


Influence of depositional fabric on mechanical properties of naturally deposited sands

Fernando E. Garcia, Edward Ando, Gioacchino Viggiani, Nicholas Sitar


A practical two-parameter model of pile-soil gapping for prediction of monopile offshore wind turbine dynamics

Stephen A. Williams, Loizos Pelecanos, Antony P. Darby


Cone penetration tests in saturated and unsaturated silty tailings

Adrian R. Russell, Thanh Vo, Juan Ayala, Yanzhi Wang, David Reid, Andy B. Fourie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challenging the thermal collapse of sand

Yize Pan, Jibril B. Coulibaly, Alessandro F. Rotta Loria





alt


Géotechnique

Volume 74, Issue 4 (Aprill 2024) / https://www.icevirtuallibrary.com/toc/jgeot/74/4


목차


Articles


Liquefaction-induced flow-like landslides: the case of Valarties (Spain)

Gaia Di Carluccio, Núria M. Pinyol, Eduardo E. Alonso, Marcel Hürlimann


Small-strain shear stiffness anisotropy of a saturated clayey loess

Lu Zuo, Ling Xu, Béatrice Anne Baudet, Chongyang Gao, Chuang Huang


A multi-scale insight into gas transport in a deep Cenozoic clay

Laura Gonzalez-Blanco, Enrique Romero


Application of ray methods to one-dimensional site response of inhomogeneous soil deposits

Joaquin Garcia-suarez, Elnaz Seylabi, Domniki Asimaki


Small-strain shear modulus of silty sands: the role of sample preparation method

Yutang Chen, Jun Yang


Reassessing variations in the small-strain stiffness of London Clay

Truong Le, Jamie Standing, David Potts


Load history idealisation effects for design of monopiles in clay

Haoyuan Liu, Nallathamby Sivasithamparam, Yusuke Suzuki, Hans Petter





alt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Volume 61, Number 3 (March 2024) / https://cdnsciencepub.com/toc/cgj/61/3


목차


Articles


Centrifuge modeling of the run-out behavior of fly ash deposits subjected to a loss of confinement

S.S.C. Madabhushi, S.B. Follett, K.B. O’Hara, D.W. Wilson, B.L. Kutter, and A. Martinez


Axial pullout behaviour of fusible PVC pipes and fusion weld joints assessed using distributed fibre optic sensors

J. Matymish, I.D. Moore, J.E. Woods, and N.A. Hoult


Investigating shear behaviour of fibreglass rock bolts reinforcing infilled discontinuities for various pretension loads

Peter Gregor, Ali Mirzaghorbanali, Kevin McDougall, Naj Aziz, and Behshad Jodeiri Shokri


Spatiotemporal evolution of biomineralization in heterogeneous pore structure

Guoliang Ma, Xiang He, Yang Xiao, Jian Chu, Hanlong Liu, Armin W. Stuedlein, and T. Matthew Evans


Quality control of fine-grained embankments using penetration tests

Simon Oberhollenzer, Laurin Hauser, Martin Ehall, Roman Marte, Franz Tschuchnigg, and Helmut F. Schweiger


Creep failure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zation of constitutive behaviors of jointed sandstone under multi-level loading of seepage pressure

Deng Zhang, Liming Zhang, Yan Liu, Zaiquan Wang, and Faxing Zhang


Partially drained uplift behaviour of plant roots in dilative soils

Jun Zhu, Anthony Kwan Leung, and Yu Wang


Structural evolutions of MX80 bentonite pellet/powder mixtures under wetting and suction-controlled oedometer loading

J.W. Yang, Y.J. Cui, and N. Mokni


A coarse graining CFD-DEM simulation on contact erosion of layered cohesionless soils

Yuan Guo, Jinqin Xiao, and Chen Wang


DEM study of the stress fields around the closed-ended displacement pile driven in sand

N. Guo, H.F. Liu, B.J. Li, and Z.X. Yang


Stability of slope corners: a displacement-based FEM study

Anna Timchenko and Jean-Louis Briaud


Notes


On the mechanics of filtered compacted consolidated and overconsolidated iron ore tailings at high pressures

Joao Paulo de Sousa Silva, Joao Vitor de Azambuja Carvalho, Alexia Cindy Wagner, Pedro Pazzoto Cacciari, and Nilo Cesar Consoli


Estimating plasticity index directly from piezocone penetration tests in saturated natural soils

N. Ramsey and K.K. Tho


Joint analysis of macroscopic response and microfabric evolution of coral sand during earthquake-induced liquefaction

Qi Wu, Xuanming Ding, and Yanling Zhang


MSD appli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British Library basement: a multi-stage excavation in London Clay

Jamie J. Crispin, Abigail H. Bateman, Elia Voyagaki, Alexandra Campbell, George Mylonakis, Malcolm D. Bolton, and Paul J. Vardanega


Effects of fine aggregate content on the unsaturated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recycled concrete aggregate

Rui Chen, Fan Wu, Charles W.W. Ng, Pei Tai, and Dong-jie Mei





alt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Volume 61, Number 4 (Aprill 2024) / https://cdnsciencepub.com/toc/cgj/61/4


목차


Articles


Elasto-plastic and post-yield weakening jointed rockmass response in a comparison of equivalent-continuum and explicit structural models

Caitlin P. Fischer and Mark S. Diederichs


Analysis of the geotechnical behavior of a piled raft in tropical lateritic soil based on long-term monitoring of columns, piles, and raft-soil interface

Heitor Cardoso Bernardes, Renato Pinto da Cunha, Aleones José da Cruz Junior, Mauricio Martines Sales, and Juan Félix Rodriguez Rebolledo


Iron ore tailings stabilization with alternative alkali-activated cement for dry stacking: mechanical and microstructural insights

Helena Portela Farenzena, Giovani Jordi Bruschi, Guilherme Schmitt Medina, Joao Paulo de Sousa Silva, Andres Lotero, and Nilo Cesar Consoli


Hierarchical Bayesian model for predicting small-strain stiffness of sand

Yuanqin Tao, Kok-Kwang Phoon, Honglei Sun, and Yuanqiang Cai


Longevity of multilayered textured HDPE geomembranes in low-level waste applications

M. Zafari, R.K. Rowe, and F.B. Abdelaal


Soil-water retention behavior of a loess-paleosol sequence and its significance for hydrology and paleoclimate: a case study from the Luochuan profile of the Loess Plateau, China

Haiman Wang and Wankui Ni


Undrained cyclic loading behavior of stiff Eocene-to-Jurassic plastic, high-OCR clays

K. Pan, G.Y. Zhou, Z.X. Yang, and R.J. Jardine


Stability of sandy soils against internal erosion under cyclic loading and quantitatively examination of the composition and origin of eroded particles

Shaoheng Dai, Xuzhen He, Chenxi Tong, Feng Gao, Sheng Zhang, and Daichao Sheng


Field study on installation effects of pre-bored grouted planted pile in deep clayey soil

Jia-jin Zhou, Jian-lin Yu, Xiao-nan Gong, and Ri-hong Zhang


Discrete element analysis of geogrid-aggregate interface shear behavior under cyclic normal loading

Ya-Qiong Wang and Shi-Jin Feng


A semi-analytical solution for laterally loaded non-circular piles in elastic soil

Hang Zhou, Zengliang Wang, Dipanjan Basu, and Hanlong Liu


Rockfall motion using a Smart Rock sensor

Bruma Souza and Jean Benoît


Notes


Effects of extreme drought-rainfall on slope failure mechanisms: centrifuge modelling

Haiyi Zhong, Yikai Wang, Shuai Zhang, Qi Zhang, and Charles Wang Wai Ng


Development of a reactive transport model for microbial induced calcium carbonate precipitation in unsaturated conditions

Zahra Faeli, Brina M. Montoya, and Mohammed A. Gabr


Discussion


Discussion of “Measuring strength and consolidation properties in lacustrine clay using piezocone and self-boring pressuremeter tests”

G. Mesri and L. Zhang





alt


International Journal of Rock Mechanics and Mining Sciences

Volume 176 (Aprill 2024) / https://www.sciencedirect.com/journal/international-journal-of-rock-mechanics-and-mining-sciences/vol/176/suppl/C


목차


Research Articles


A new analytical model for stress distribution in the rock bolt under axial loading

Danqi Li


Numerical modeling of hydraulic stimulation of fractured crystalline rock at the bedretto underground laboratory for geosciences and geoenergies

Iman Vaezi, Andrés Alcolea, Peter Meier, Francesco Parisio, Jesus Carrera, Victor Vilarrasa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heating and liquid nitrogen-cooling cyclic treatment on mechanical properties and fracturing characteristics of granite

Yi Xue, Linchao Wang, Jia Liu, P.G. Ranjith, Feng Gao, Chengzheng Cai, Heping Xie


Size effects on strength and deformability of artificially jointed hard rock

Manuel A. Gonzalez-Fernandez, Xian Estévez-Ventosa, Ignacio Pérez-Rey, Leandro R. Alejano, Hossein Masoumi


The critical pressures for crack closure, crack reopening and crack instability in hydraulic fracturing

Joachim Heierli


Full-field solution from an oblique shock to estimate ground motion from blasting

S. Gomez, J.A. Sanchidrian, P. Segarra


Two-phase flow visualization experiments in variable-aperture fractures: The correlation between flow structure, displacement efficiency and relative permeability

Xin Zhou, Jianlong Sheng, Zuyang Ye, Xiaoliang Yang


Failure mechanism of hot dry rock under the coupling effect of thermal cycling and direct shear loading path

Bowen Liu, Heping Xie, Jianjun Hu, Jie Liu, Biao Li, Cunbao Li


3-D visual analysis and quantitative characterization on coal matrix based on Micro-CT

Changxin Zhao, Yuanping Cheng, Chenghao Wang, Kaizhong Zhang, Zhenyang Wang, Peng Chu, Tao Yang


Mechanical properties of carbonate fault rocks

Vasileios Kallimogiannis, Charalampos Saroglou


Coupled thermodynamic and thermomechanical modelling for compressed air energy storage in underground mine tunnels

Xiuxiu Miao, Kai Zhang, Jianguo Wang, Yanan Gao, Leiming Wang, Qinghua Guo, Qingliang Chen


Brittle rock mass failure in deep tunnels: The role of infilled structural plane with varying dip angles

Yuzong Li, Liang Yuan, Qinghe Zhang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the influence of NaCl concentration on triaxial mechanical behaviors of a low-clay shale

Sheng-Qi Yang, Wang-Xing Hong, Jian-Guo Wang, P.G. Ranjith, Xiao-Lin Wang


Computational modelling of microwave-induced fractures in igneous rocks using phase field method

Zicheng Wang, Chunshun Zhang


Theoretical analysis of the interaction between blasting stress wave and linear interface crack under high in-situ stress in deep rock mass

Xiao Guo, Chenxi Ding, Peijun Wei, Renshu Yang


Non-break modeling and numerical simulation for non-intact rock failure process

Gen Li, Kai Wang, Chun'an Tang, Jiahao Ye


Integrating transient pressure and flow data for determination of hydraulic permeability and specific storage of a shale sample: Experimental tests and sensitivity analysis

Insun Song, Eunjin Seo


Mechanical and fracturing characteristics of defected rock-like materials under biaxial compression

P.X. Ji, G. Viegas, Q.B. Zhang


Multiphysics phase-field modeling for thermal cracking and permeability evolution in oil shale matrix during in-situ conversion process

ChengSi Lyu, Hao Yu, Juan Jin, WenLong Xu, HanWei Huang, JiaNing Zhang, Quan Wang, JianDong Liu, WeiDong Jiang, He Liu, HengAn Wu


A unified model for frost wedging in an open fissure under unidirectional freezing

Peichao Zheng, Xianjun Tan, Hailiang Jia, Kai Shen, Zhouzhou Su, Yun Zhou, Reziwanguli Shataer, Yi Xie, Dong Wang, Siming Tian, Wei Wang, Weizhong Chen


True triaxial energy evolution characteristics and failure mechanism of deep rock subjected to mining-induced stress

Heng Gao, Heping Xie, Zetian Zhang, Jun Lu, Dongming Zhang, Ru Zhang, Mingyang Wu


Intelligent prediction method for underbreak extent in underground tunnelling

Ming Tao, Zhixian Hong, Huatao Zhao, Mingsheng Zhao, Dong Wang





alt


Soils and Foundations 

Volume 64, Issue2 (Aprill 2024) / https://www.sciencedirect.com/journal/soils-and-foundations/vol/64/issue/2


목차


Technical Paper


Microstructural insight into the hysteretic water retention behavior of intact Mile expansive clay

Gao-feng Pan, Yi-xuan Zheng, Sheng-yang Yuan, Dan-xi Sun, Olivier Buzzi, Guan-lu Jiang, Xian-feng Liu


Effect of pile arrangement on long-term settlement and load distribution in piled raft foundation models supported by jacked-in piles in saturated clay

Lua Thi Hoang, Xi Xiong, Tatsunori Matsumoto


A new p-y model for soil-pile interaction analyses in cohesionless soils under monotonic loading

Ozan Alver, E. Ece Eseller-Bayat


Triaxial testing response of compacted iron ore tailings considering a broad spectrum of confining pressures

Joao Paulo Sousa Silva, Ana Luisa Cezar Rissoli, Pedro Pazzoto Cacciari, Antonio Joaquim Pereira Viana da Fonseca, Hugo Carlos Scheuermann Filho, Alexia Cindy Wagner, Joao Vitor de Azambuja Carvalho, Lucas Festugato, Nilo Cesar Consoli


The shape of sand particles: Assessments of three-dimensional form and angularity

A.W. Bezuidenhout, M. Bodhania, L. Tiroyabone, C. Eddey, L.A. Torres-Cruz


Robustness of remediation measures against liquefaction induced manhole uplift under mainshock-aftershock sequence

Zhiyong Zhang, Siau Chen Chian


Liquefaction characteristics of sand-gravel mixtures: Experimental observations and its assessment based on intergranular state concept

Abilash Pokhrel, Gabriele Chiaro, Takashi Kiyota, Misko Cubrinovski


Elastic wave velocities during triaxial shearing influenced by particle morphology

Yang Li, Masahide Otsubo, Reiko Kuwano


Technical Note


Seepage analysis model based on field measurement data for estimation of posterior parameter distribution using merging particle filter

Shinichi Ito, Kazuhiro Oda, Keigo Koizumi



구태서

건국대학교

(tsku@konkuk.ac.kr)





논문집 개요 소개



논문집 개요 소개 | 2024년 2월 제 40권 1호



다양한 환경인자를 고려한 PHC 말뚝-사질토 지반 접촉면의 동적 전단거동 특성


김영준 (정회원, 한서대학교 건설공학과 박사과정)

곽창원 (정회원, 인하공업전문대학 건설환경공학과 조교수)

박인준 (정회원, 한서대학교 인프라시스템학과 교수, geotech@hanseo.ac.kr)


PHC 말뚝은 압축력 및 휨 모멘트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하며, 공장에서의 생산으로 인해 품질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다양한 토목 및 건축 현장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지만, PHC 말뚝의 설계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인 주면 마찰력은 주로 경험식이나 N 값 등의 추정치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에 대한 실험적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며, 환경적 요소 중 하나인 pH 값과 지하수 또는 해수의 영향 역시 간과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진동기계 기초의 영향을 받는 PHC 말뚝 모델을 중심으로 다양한 pH 환경(산성, 중성, 염기성) 및 해수의 영향 하에 한 달 동안 수침 후, 해당 PHC 말뚝-사질토의 접촉면에 대한 반복 단순 전단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교란 상태 개념(Disturbed State Concept)을 적용하여 접촉면의 동적 거동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화학적 환경에 따른 동적 전단응력은 중성 > 산성 > 염기성 순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pH 영향을 받은 경우와 해수의 영향을 받은 경우를 비교했을 때, pH 영향을 받은 경우에 전단응력의 감소가 더 크게 나타났다.


터널 구조물 안전점검을 위한 이미지 데이터 취득 및 데이터 구조화 방법


성현석 (정회원, ㈜에프엠케이 구조물스캐닝연구부 대표)

고준섭 (정회원, ㈜에프엠케이 생산/개발부 차장 great9069@naver.com)


본 연구에서는 터널 구조물 내부 이미지 데이터를 취득하는 방법과 이미지 데이터의 구조화를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터널 구조물 내부 이미지 데이터 취득 조건을 개선함으로써 AREA TYPE의 터널 스캐닝에서 고화질의 이미지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데이터 취득 조건을 개선하기 위해 터널 상부에 터널의 길이 방향 레일을 설치하고 설치된 레일을 이동하며 터널 구조물 전체의 이미지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거리 20m, 해상도 3840×2160 및 해상도 720×480의 조건에서 0.5mm 균열 모사선을 식별하였다. 또한 취득된 이미지 데이터를 이미지 타일 단위로 관리하기 위한 이미지 데이터 구조화 방법을 제안하였다. 터널의 이미지 데이터 구조화를 위해 적용인자(취득 이미지의 해상도와 터널의 크기)를 관계식에 대입하여 터널의 이미지 데이터를 구조화할 수 있다. 실험을 통해 터널 길이 1,000m, 폭 20m 터널의 이미지 데이터는 해상도와 정밀도에 따라 최소중첩률 0.02%에서 8.36% 구해지며 로컬좌표계의 크기는 (14×15)에서 (36×34)로 나타났다.


이산화탄소의 탄산화 반응을 이용한 되메움재용 순환골재의 품질 개량: 5kg급 프로토타입 반응조 개발


김진우 (정회원, 한국과학기술원 건설및환경공학과 연수연구원)

전민경 (정회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CO2지중저장센터 박사후연구원)

권태혁 (정회원, 한국과학기술원 건설및환경공학과 부교수, t.kwon@kaist.ac.kr)

김남룡 (정회원, K-water연구원 물인프라안전연구소 책임연구원)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탄소 처리를 통한 순환골재의 지반공학적 성능 개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5kg급 프로토타입 반응조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반응조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처리한 순환골재와 미처리 순환골재의 골재 파쇄값과 노상토지지력비를 측정하였다. 이산화탄소 처리를 통해 골재 파쇄값은 35.6%에서 33.2%로 2.4% 감소하고 노상토지지력비는 97.5%에서 102.4%로 4.9%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탄산화 반응을 통해 생성된 탄산칼슘 염으로 인해 순환골재의 세립분 생성이 감소하고 지지력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반을 함께할 경우 추가적인 역학적 개량 효과를 통해 골재 파쇄값이 30.3%로 감소하고 노상토지지력비는 137.7%로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기술된 이산화탄소 처리 기술의 현장 적용 시 건설 산업의 탄소배출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인공함양 지역 클로깅 가능성 평가를 위한 충적층 토양 특성에 관한 예비 연구


황    정 (정회원, 대전대학교 재난안전공학과 교수, jeongha@dju.kr)

최명락 (비회원,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방재학과)

김규범 (정회원, 대전대학교 재난안전공학과 교수)


전 지구적 기후변화에 따른 용수확보 방안으로 인공함양 기법이 활용되고 있다. 함양률을 감소시키는 클로깅 문제는 인공함양 기법의 활용에 큰 장애가 되고 있다. 이 연구는 하천수 주입 과정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클로깅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인공함양 예정 지역 충적층의 토양 조직과 광물 특성을 분석하였다. 충적층 쇄설성 입자의 주요 구성 광물은 석영, 정장석, 사장석, 흑운모 등이며, 공극을 충진하는 주요 2차 광물은 일라이트, 카오린나이트, Fe-산화광물이다. 2차 광물로서 탄산염 혹은 황산염 광물의 산출이 없는 것은 인공함양 실험 전인 연구지역 충적층에서는 지하수와 지표수 간의 반응에 의한 화학적 클로깅은 발생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인공함양 실험과 관련된 화학적 클로깅에 대한 평가를 위해 대수층 내 공극에서 2차 광물의 생성과 성장과 같은 충적층의 토양 특성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세립분 함량을 고려한 국내 화강풍화토의 건조 및 습윤 함수특성곡선 분석


이상빈 (정회원, 충북대학교 토목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

유재은 (정회원, 충북대학교 토목공학과 박사과정)

서진욱 (비회원, 한국건설연구소(주) 대표이사)

정종원 (정회원, 충북대학교 토목공학부 교수, jjung@chungbuk.ac.kr)


기존의 사면안정해석은 포화토 이론에 기반하여 비탈면 안정성에 대한 평가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자연 지반은 기후에 따라 함수 특성이 변화하기 때문에 포화토 이론은 한계가 있어 불포화토의 특성을 고려한 안정해석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실제 불포화토 지반은 호우로 인해 모관흡수력이 감소하여 사면 안정성의 저감을 유발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공학적 특성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산지에 내포된 화강풍화토를 활용하여 세립분 함량을 0%, 10%, 20%, 30%로 구분한 4가지 시료를 통해 흙-함수 특성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특히 건조과정 뿐만 아니라 실제 사면에서 호우로 인한 안정성 평가를 고려하기 위해 함수비를 증가시키는 습윤과정을 진행하였다. 또한, 다양한 이론식을 적용하여 실험에 가장 일치하는 이론식인 van Genuchten(1980) 모델을 활용하였으며, 건조과정과 습윤과정에 대한 화강풍화토의 세립분에 따른 파라미터를 분석하였다.


에너지 슬래브의 열-역학적 수치해석 모델 개발


박상우 (정회원, 육군사관학교 토목환경학과 부교수)

최항석 (정회원,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교수)

이석재 (정회원, 군산대학교 토목공학과 조교수, seokjae@kunsan.ac.kr)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슬래브의 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해 열-역학적 수치해석 모델을 개발하였다. 먼저, 주거용 건물 지하주차장에 벽체형 에너지 슬래브를 설치한 뒤 현장 열성능 평가시험(Thermal performance test, TPT)을 수행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현장 열성능 평가시험의 열-수리학적 거동을 정교하게 모사할 수 있는 에너지 슬래브의 열-수리학적 수치해석 모델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열-수리학적 모델을 통해 도출된 시간-온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에너지 슬래브의 열-역학적 수치해석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델을 기반으로 에너지 슬래브의 운용에 따른 열응력을 산정한 결과 최대 5,300kPa의 열응력이 발생하였으며, 이는 에너지 슬래브의 안정적인 운용을 위해 충분한 인장강도가 확보된 시멘트 몰탈 활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논문집 개요 소개 | 2024년 4월 제 40권 2호


발파 진동으로 인한 지표면 진동 계측 범위 산정에 대한 연구


공석민 (정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박사후연구원)

변요셉 (정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최상일 (비회원, 대구가톨릭대학교 조교수)

김정흠 (비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전임연구원)

김창용 (정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이성원 (정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swlee@kict.re.kr)


지하터널 굴착 시 발파로 인한 진동의 영향이 지표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GTX-A 굴착현장 상부에서 진동을 측정하였다. 또한 해당 현장과 동일한 지반조건 및 발파조건으로 역해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른 GTX-A 노선 현장들에 대해서 수치해석을 실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수치해석을 통해 각 현장의 발파지점 직상부로 부터 일정 간격으로 최대 진동속도를 도출하였으며, 결과 값을 국내·외 진동 허용기준과 비교하여 진동 계측의 영향 범위를 산정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규정에서 “발파원으로부터 가장 근접한 구조물 기초 부위에서 측정하고 여건상 불가능한 경우 이에 근접한 지표에서 측정”으로 명시되어 있는 지반진동 측정 위치에 대해 보다 명확한 진동 계측 위치를 산정하였다.


유동성 채움재의 공학적 특성 연구


정민지 (비회원, 한국해양대학교 토목공학과 대학생)

전병원 (비회원, 부산광역시 문화체육국 체육진흥과 체육시설팀 주사)

김병준 (정회원, ㈜거원엔지니어링 팀장, rlaqudwns20@naver.com)


본 연구에서는 유동성 채움재의 장기 압축강도 저하를 확인하고, 그 원인을 규명하고자 유동성 채움재와 물의 배합비율 1:1 적용하여 시료를 제작하였으며, 재령 7일, 28일 기준 일축압축강도 시험을 수행하였다. 일축압축시험 결과 재령 28일 기준 압축강도는 7일 대비 2.85배 감소하였다. 또한, 똑같은 배합 조건에서 팽창제를 첨가하였을 경우 압축강도가 대폭 감소하였다. 현장에서 배합된 유동성 채움재를 재령 7일, 28일 기준으로 점하중강도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똑같은 배합 조건 및 재령 일 기준으로 일축압축강도와의 차이가 재령 7일 기준 29.27~58.76배, 재령 28일 기준 48.19~95.13배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선행연구 결과와 다소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에 대한 이유는 시험방법 및 시료 제작 과정에서의 정밀도 차이에 의한 것임으로 유동성 채움재 평가를 위하여 명확한 시험방법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


다양한 실험조건에 따른 경주 벤토나이트 완충재 블록의 팽윤 거동 해석


이득환 (정회원, 한국원자력연구원 저장처분기술개발부 선임연구원)

고규현 (정회원, 국립금오공과대학교 토목공학과 부교수, gyuhyungo@kumoh.ac.kr)

이기준 (정회원, 한국원자력연구원 저장처분기술개발부 박사후연구원)

윤    석 (정회원, 한국원자력연구원 저장처분기술개발부 책임연구원)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swelling behavior characteristics of KJ-II buffer blocks by performing numerical analysis of swelling pressure measurement experiments using the nonlinear elasticity model of COMSOL Multiphysics. The analysis was conducted under boundary conditions that included isotropic constraints and water injection pressure, mirroring the experimental settings. Validation of the numerical model was achieved by comparing its outputs with experimental results. The validated model was then used to simulate swelling deformations under unconfined conditions and to analyze swelling pressure as influenced by dry density and the geometric shape of the buffer material. The results accurately represented the swelling deformation observed during the saturation process and demonstrated that swelling pressure increases with higher dry density. Moreover, simulations concerning the geometric shape of the buffer material indicated a markedly faster rate of pressure increase in U-shaped samples compared to cylindrical ones. Analysis suggested that stress manifested preemptively near the internal edges of U-shaped samples during saturation. To enhance the simulation’s fidelity to actual buffer material behavior, further refinement of the analysis model using a nonlinear elasticity model is recommended.


파일직경과 기초하부 토사층의 점착특성에 따른 마이크로파일 보강효과


장창환 (정회원, 대진대학교 스마트건설환경공학부 부교수)

김무연 (정회원, 아이원이앤씨 대표이사)

황태현 (정회원, 아이원이앤씨 기술연구소 소장, iwenc@chol.com)


마이크로파일은 직경 300mm이하인 소구경 현장타설말뚝을 칭하며, 기존 구조물의 보강과 신축 구조물의 지지 목적으로 주로 활용되어 왔다. 또한 파일의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마이크로파일 또는 마이크로파일-레프트의 지지특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왔으며, 연구결과를 통해 기초에 대한 파일 보강효과가 입증되었다. 그러나 대부분 기존 연구는 마이크로파일-레프트가 파일조건에 따라 기존 파일-레프트와 다른 거동을 보일 수 있고, 기초에 대한 파일의 보강효과가 기초하부 토사층의 점착특성에 따라 좌우될 수 있음을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치해석을 통해 파일조건과 기초하부 토사층의 점착특성에 따른 마이크로파일의 보강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3차원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비 점착특성을 가진 토사층 조건에서의 기초에 대한 마이크로파일의 보강효과가 점착력을 가진 토사층인 경우보다 좀 더 효과적이고, 최대 마이크로파일의 보강효과는 전면기초의 지지력보다 3.7배 정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터널 시공현장 붕괴 사례를 이용한 막장의 안정성 평가 연구


김민태 (정회원,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연구교수, mtkim@korea.ac.kr)


쉴드공법은 국제적인 사례에서 그 안정성을 입증한 반면, 경제적 효율성을 지닌 것으로 알려진 NATM 터널 굴착공법은 피복이 얕고 지반이 풍화되며 지하수가 많은 도심지에 적용 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도심지의 풍화된 암반층과 미고결 사질토 지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형적인 두 가지 붕락 사례를 소개하고, 여섯 가지 안정성 평가 방법으로 두 붕락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종합하여 육각형의 다이어그램에 의한 방법으로 터널의 막장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붕괴한 두 터널 현장의 결과와 평가 결과가 잘 일치하였으며, 대상터널의 지반 특성을 고려한 종합적인 평가 방법인 막장 안정성 평가 다이어그램에 의한 방법은 터널 설계 단계에서 터널의 막장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시계열 분석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변형 예측


서승환 (정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본부 수석연구원)

정문경 (정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본부 선임연구위원, mkchung@kict.re.kr)


본 연구는 전통적인 통계기반 ARIMA(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모델과 딥러닝 기반 LSTM(Long Short-Term Memory) 모델을 활용하여 굴착 현장의 지중경사계 데이터를 통한 흙막이 벽체 변형을 예측하고, 두 모델의 예측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ARIMA 모델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시계열 데이터의 선형적 패턴을 분석하는 데 강점을 보이는 반면, LSTM은 데이터의 복잡한 비선형 패턴과 장기 의존성을 포착하는 데 우수한 능력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흙막이 벽체 변형 예측을 위해 지중경사계 계측 데이터에 대한 전처리, 다양한 시계열 데이터 길이 및 입력변수 조건 등에 따른 성능 평가를 포함하였으며, LSTM 모델이 ARIMA 모델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예측 성능 향상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굴착 현장에서의 지중경사계 데이터를 활용한 흙막이 벽체의 안정성 평가에 LSTM 모델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향후 굴착 현장 전체에 대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과 시계열 예측 모델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3D 프린팅 기술 기반 보강토 옹벽 순환토사 적용 뒤채움재의 성능 평가


김재환 (정회원, 한국교통대학교 철도인프라공학과 석사연구원)

오정호 (정회원, 한국교통대학교 철도인프라공학과 교수, j-oh@ut.ac.kr)


최근 국내는 다양한 대규모 사회기반 시설물 공사 및 택지 개발 등이 시행되고 있으나, 이에 반해 제한적인 국토 여건으로 철도 또는 도로 흙쌓기 비탈면 다짐 시공 또는 보강토 옹벽 뒤채움재 시공 시 기준에 부합하는 양질의 토사 수급이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다수의 보강토 옹벽은 부적절한 뒤채움재 다짐 시공으로 인한 지지력과 배수 성능 저하로 인한 구조물 피해사례 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뒤채움재로 순환토사를 활용하는 보강토 옹벽에 대하여 3D 프린팅 기술 기반 실내 모형실험 및 2차원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구조적 성능 및 안전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순환토사 배합비 및 보강재 설치 방법에 따른 뒤채움재 성능을 확인하였으며, 3D 프린팅 기술을 통해 실제 보강토 옹벽 시공과 유사하게 보강재 체결이 쉬운 형태의 실험상 벽체를 제작하여 3D 프린터의 활용성을 확인하였다.


점성토 지반에 시공된 석션 케이슨 기초의 파괴포락선 산정


강상욱 (정회원,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석사과정)

이동현 (정회원, 한미글로벌 글로벌사업부 에너지인프라팀 프로)

정동혁 (비회원,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조교수)

한택희 (비회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공간개발·에너지연구부 책임연구원)

안재훈 (정회원,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정교수, jahn@pusan.ac.kr)


세계 인구의 지속적인 증가와 주거 공간 부족에 대한 대응으로, 인류 거주 영역의 새로운 대안과 해양 환경의 활용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해저 공간 개발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석션 케이슨 기초는 해저 공간 개발을 위해 연구되고 있는 기초 유형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해양 환경하에 조합하중이 가해진 석션 케이슨 기초의 파괴포락선을 산정하였다. 유한요소해석의 지반은 깊이에 따라 강도가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점토 지반으로 가정하였으며, 점토의 구성모델로 von Mises 모델을 적용하였다. 전반적으로 파괴포락선의 형태는 기울어진 타원의 형태를 나타냈다. 깊이에 따른 비배수전단강도의 증가 추세가 커지는 경우, 파괴포락선은 장축과 단축의 비율은 유지되며 크기가 증가하였다. 길이 대 직경비가 다른 두 석션 케이슨 기초의 파괴포락선을 비교했을 때, 길이 대 직경비가 증가함에 따라 석션 케이슨 기초의 파괴포락선의 장축과 단축의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해석 결과는 해양 환경에서 석션 케이슨 기초의 설계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표 투과 레이더 데이터 기반 지하 매설 케이블 조사


최성기 (정회원, 경기주택도시공사 고덕사업부 과장)

윤형구 (정회원, 대전대학교 재난안전공학과 부교수)

김영석 (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북방인프라특화팀 선임연구위원)

김세원 (정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본부 연구원)

최현준 (정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북방인프라특화팀 수석연구원)

민대홍 (정회원, 대전대학교 재난안전공학과 박사과정, mdh3689@naver.com)


지하 매설된 케이블은 불확실한 설계 도면으로 도로 및 지하 구조물 건설 시 단선이 발생한다. 본 논문은 지하 매설 케이블의 위치를 지표 투과 레이더(GPR)로 탐지하고 검증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행된 실험 장소는 케이블 매설이 예상되는 실제 도로 건설 부지에서 수행하였으며 400MHz~900MHz의 고주파수 대역을 갖는 지표 투과 레이더를 사용하여 지하 내부 구조를 측정하였다. 탐사 방법은 조사 지역 전체를 파악하기 위한 지표 투과 레이더 1차 실험과 1차 실험 결과 기반의 2차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측선 방향의 다양성과 개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는 동일선상의 위치에서 일관된 케이블에서 반사되는 파형 특징인 하이퍼볼라를 확인하였으며 설계 도면 비교 결과 해당 위치에 케이블이 매설된 것을 검증하였다. 해당 연구 결과는 탐지하기 어려운 지하 매설 케이블의 위치를 전자기파 반사 파형인 하이퍼볼라를 기반으로 지표 투과 레이더에 적합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박막형 압전 센서를 활용한 사질토 지반 지중 응력 측정 방법론


김동균 (정회원, 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석사과정)

우상인 (정회원, 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조교수, siwoo@inu.ac.kr)


응력은 비가시 물리량이므로, 지반 내부에서 이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토압계가 필요하다. 기존의 스트레인 게이지 기반 토압계는 큰 강성을 가지며, 이는 지반 내부 응력을 교란시켜 토압 측정의 정확성에 영향을 준다. 박막형 압전 센서는 얇고 유연하므로, 이를 활용할 경우 지반 내부 응력의 교란을 최소화하여 지중응력을 측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박막형 압전 센서를 활용하여 지반 내부의 응력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박막형 압전 센서를 교정하기 위한 챔버를 제작하여 사질토 지반 내부에 매설된 박막형 압전 센서의 측정 변동성과 센서의 감지 영역에 부착된 퍽으로 인한 측정 토압의 재현성 향상을 반복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채용공고



전북대학교

2024년도 제1차 전임교원 일반공개초빙 - 지반공학 | 정규직 | 채용기간 : ~5월 10일 | 박사이상


스마트이엔씨(주)

토목/지반공학 석/박사급 연구원 | 정규직 | 채용기간 : ~5월 14일 | 석사이상


젠텍엔지니어링

[토목설계] 토목분야 신입 및 경력 엔지니어 | 정규직 | 채용기간 : 채용시 | 대졸 이상 (4년)


(주)동성엔지니어링

토목, 설계(수자원,지반터널부) 경력직 채용 | 정규직v | 채용기간 : 채용시 | 대졸 이상 (4년)


(주)영도

건설업 정규직 공사&공무부서 모집 | 정규직 | 채용기간 : ~5월 15일 | 무관


(주)삼우토건

토목분야 기술직 경력사원 | 정규직 | 채용기간 : ~5월 22일 | 대졸(2,3년제) 이상


(주)지엔에스엔지니어링

토양/지하수사업부 신입/경력자 모집(환경 및 지반지하수) | 정규직 | 채용기간 : ~5월 25일 | 대졸(2,3년제) 이상


(주)대한

지하안전영향평가, 지반 및 터널 설계 인력 | 정규직 | 채용기간 : ~5월 14일 | 대졸(2,3년제) 이상


(주)알지오이엔씨

설계/토목 기술자 신입 및 경력직 | 정규직 | 채용기간 : ~5월 24일 | 대졸 이상 (4년)


(주)한수엔지니어링

토목설계/토목 정규직 채용 - 신입사원o정규직o채용기간 : 채용시o대졸(2,3년제) 이상


(주)에이스올

흙막이 및 부대토목 설계 - 신입, 경력 | 정규직 | 채용기간 : ~6월 28일 | 대졸(2,3년제) 이상


만승엔지니어링(주)

지반조사팀 신입 및 경력직 | 정규직 | 채용기간 : 상시 | 대졸(2,3년제) 이상


(주)에이치에스엔지니어링

토목설계(토질), 지하수 환경, 지질 지반 분야 | 정규직 | 채용기간 : ~5월 25일 | 대졸 이상 (4년)


(주)고려씨티에이

토목설계 신입/경력직 | 정규직 | 채용기간 : ~6월 17일 | 대졸(2,3년제) 이상


(주)경기방재연구소

토목공학 정규직 채용 | 정규직 | 채용기간 : ~5월 22일 | 대졸(2,3년제) 이상


(주)천진엔지니어링

구조/지반신입  및 경력사원 | 정규직 | 채용기간 : ~6월 3일 | 무관


셀파이엔씨(주)

지반조사부 신입/경력 기술자 | 정규직 | 채용기간 : 상시 | 대졸(2,3년제) 이상


(주)광명기술단

비탈면 및 옹벽 정밀안전점검 신입/경력 | 정규직 | 채용기간 : ~6월 24일 | 대졸(2,3년제) 이상


(주)신성엔지니어링

지반부 신입 및 경력 | 정규직 | 채용기간 : 채용시 | 대졸 이상 (4년)


(주)소일이엔씨

지반 및 지질조사 경력직 | 정규직 | 채용기간 : ~5월 18일 | 대졸 이상 (4년)


(주)대농구조안전연구소

토목기사(자격보유필수) 모집 (흙막이옹벽/사면 등 지반 설계 업무 | 정규직 | 채용기간 : 채용시 | 대졸(2,3년제) 이상


(주)케이지아이

흙막이 계측관리 | 정규직 | 채용기간 : ~5월 29일 | 고졸


피앤피엔지니어링(주)

토목(지반부)설계 엔지니어/연구개발 | 정규직 | 채용기간 : ~5월 12일 | 대졸(2,3년제) 이상


(주)천마기술단

지반부 경력 직원 모집 | 정규직 | 채용기간 : 채용시 | 대졸 이상 (4년)


(주)지오비전

토목설계(가시설,토질)/지하안전평가/지반(지질)조사 기술직 | 정규직 | 채용기간 : ~5월 23일 | 무관


(주)해인엔지니어링

토질 및 기초분야 설계 경력자 채용 신입/경력 | 정규직 | 채용기간 : ~5월 22일 | 대졸 이상 (4년)


주식회사 다우

상반기 지반부 경력직 | 정규직 | 채용기간 : 채용시  | 대졸(2,3년제) 이상


덴버코리아이엔씨(주)

건설업 지반분야 설계직 | 정규직 | 채용기간 : ~6월 8일 | 대졸(2,3년제) 이상


(주)퍼즐기초

[퍼즐공사부] 건축/토목 | 정규직 | 채용기간 : ~5월 28일 | 무관


(주)다음기술단

안전진단 (구조,지반,수리)해석 기술지원 신입/경력직 | 정규직 | 채용기간 : 채용시 | 대졸 이상 (4년)


(주)희송지오텍

지질 및 지반조사, 물리탐사 정규직 채용 | 정규직 | 채용기간 : ~5월 10일 | 대졸 이상 (4년)


(주)이피에스엔지니어링

지반(토질 및 기초) 기술직 채용 | 정규직 | 채용기간 : ~6월 21일 | 대졸 이상 (4년)


대호디엔씨(주)

토목공무 | 정규직 | 채용기간 : 채용시 | 무관


(주)드림이엔디

지반부 경력 | 정규직 | 채용기간 : ~5월 16일 | 대졸 이상 (4년)


(주)에스앤피이엔씨

부대토목, 가시설 분야 신입/경력사원 | 정규직 | 채용기간 : ~5월 15일 | 무관


(주)대진이엔지

지반사업부(지하영향평가 가시설설계 안정성검토) | 정규직 | 채용기간 : ~5월 31일 | 대졸(2,3년제) 이상


(주)성지엔지니어링

지질, 지반, 지하수 분야 신입/경력직 | 정규직 | 채용기간 : ~6월 2일 | 대졸(2,3년제) 이상


한국지반엔지니어링(주)

토목 계측부 신입 | 정규직 | 채용기간 : ~5월 25일 | 고졸


(주)지암컨설턴트

지반조사, 지질조사 보고서 작성 신입 | 정규직 | 채용기간 : 상시 | 대졸(2,3년제) 이상


(주)다산이엔지

토목설계분야(토질및기초)경력사원 | 정규직 | 채용기간 : ~5월 18일 | 무관





회원동정



2024년 4월 신규가입자

12729, 강지수, 종신회원, 고려대학교 GEOWAVE 대학원생

12730, 곽다은, 종신회원, 건국대학교 지반물리탐사연구실 석사과정

12731, 김민관, 정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가건설기준센터 박사후연구원

12732, 김상우, 종신회원,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2733, 김영주, 정회원, (주)송도 지질부 소장

12734, 김영호, 정회원, (주)도건이엔씨 설계부 상무

12735, 김정규, 정회원, 전남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연구교수

12736, 김준성, 종신회원, (주)고려E&C 기술부 대표

12737, 김진균, 정회원, (주)한양 김포북변4 재개발정비사업 책임매니저

12738, 김형균, 정회원, 대교컨설턴트 지반사업부 부장

12739, 김호종, 종신회원, 고려대학교 터널지반시스템연구실 석사과정

12740, 노성욱, 정회원, 한국도로공사 스마트건설사업단 대리

12741, 류재구, 정회원, (주)한울이엔씨 대표이사

12742, 문영호, 종신회원, 부산항만공사 건설부 부장

12743, 박성준, 정회원, 한국도로공사 스마트건설사업단 책임연구원

12744, 박준용, 정회원, GS건설㈜ 인프라기술설계팀 책임

12745, 박지민, 종신회원, 연세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2746, 박진우, 종신회원, 아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석사과정

12747, 박현태, 종신회원,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과 석사과정

12748, 방성택, 정회원, 일진건설산업㈜ 실행팀 부장

12749, 방형석, 종신회원, ㈜신화피에스이엔씨 부회장

12750, 배재명, 종신회원, (주)지반솔루션 지반사업부 부사장

12751, 성   훈, 종신회원, ㈜신화피에스이앤씨 전무이사

12752, 송   훈, 종신회원, 부산항만공사 건설계획실 실장

12753, 양승훈, 종신회원, 고려대학교 터널지반시스템연구실 대학원생

12754, 양예림, 종신회원, 고려대학교 터널지반시스템연구실 대학원생

12755, 이강돈, 정회원, 남광토건 토목사업부 상무

12756, 이승준, 정회원, 한국도로공사 스마트건설사업단 차장

12757, 이용세, 종신회원, 고려대학교 지반공학연구실 석사과정

12758, 이유현, 정회원, 한국도로공사 스마트건설사업단 대리

12759, 이은상, 정회원, 가천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석사과정

12760, 이준아, 정회원, 인천대학교 지반공학연구실 석사과정

12761, 임동우, 정회원, 건국대학교 지반물리탐사연구실 석사과정

12762, 임유빈, 정회원, 쌍용건설㈜ 광주도시철도2호선 (2단계)14공구건설공사 부장

12763, 진현우, 정회원, (주)창광이앤씨 기술연구소장

12764, 최창면, 종신회원, 지에스이앤씨㈜ 지반설계부 전무이사

12765, 황선호, 정회원, 건국대학교 사회환경플랜트공학부 석사과정

총 37명(정회원 20명/종신회원 17명)


학생회원

111219, 김무건, 학생회원, 명지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111220, 김윤진, 학생회원, 명지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111221, 박채원, 학생회원, 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111222, 손현기, 학생회원, 부경대학교 토목공학과

111223, 이현복, 학생회원, 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111224, 임진우, 학생회원, 명지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승급회원(학생회원 → 종신회원)

12766, 최지원, 종신회원, ㈜삼영기술 지반터널부 사원


특별회원

1급_(주)신화피에스이앤씨



alt




안녕하십니까. 유독 길었던 추위가 드디어 끝나고 만개한 꽃향기와 봄내음을 제대로 즐겨보나 싶었는데, 어느덧 여름이 다가옴을 느끼는 요즘입니다. 모든 지반공학회 회원님들의 가정과 일터에 봄날의 향기로움과 더불어 치열한 열정이 함께 하기를 기원합니다. 


우리 한국지반공학회는 1984년도 창립 이래 2024년도에 40주년을 맞이하였습니다. ‘한국지반공학회 40년, 함께 내일을 향하여’ 라는 우리학회 40주년 슬로건에 발맞춰 우리 학회도 많은 활동들과 노력들을하고 있으며, 그러한 내용들이 우리 학회지의 지면을 통해 회원분들께 전달될 수 있도록 많은 분들이 노력해주시고 계십니다.  


이번호에는 3월에 개최된 우리 학회 봄 학술발표대회에 대한 소식과 더불어 다양한 위원회 활동 및 발표 세션에 대하여 소개드릴 수 있었습니다. 또한, 특별테마 기사를 통해 및 기술기사를 통해 고준위 방폐장에 대한 해외 사례 소개 및 매입말뚝의 주면지지력 산정에 대한 제언 및 고찰에 대한 제언을 실을 수 있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파견현장에서의 경험담과 젊은 지반공학자의 소감 등 다양한 소식을 전달해 드리고자 하였습니다. 이렇게 학술지에서는 학회의 운영 및 학술활동 뿐만 아니라, 지반 관련 각종 주제에대한 최신 트렌드 및 현장에서의 경험 등 다채로운 내용을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많은 회원분들께서 학회지에 보다 큰 관심을 가져주셔서 투고자와 편집위원회의 노력이 회원 여러분들에게 더욱 더 닿아가길 기원합니다. 앞으로도 알찬 원고와 소식들로 회원분들의 사랑을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연초에는 ‘벌써 2024년이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어느덧 2024년도 중반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연초에 야심차게 세웠던 계획이나 초심을 한번쯤은 둘러보고 점검해야하는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각자의 현업에서 달려오면서 놓치고 있었던 것이 없는지 주변을 둘러보고, 빠르게 지나가는 봄철의 따스함을 잠깐이라도 즐기시는 여유를 가지고 5월을 맞이하는 건 어떨까요? 따듯한 봄날의 햇살이 지반공학회 회원 여러분들께 깃들길 기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김석중 

편집위원회 간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본부 수석연구원


alt
소식통' 다른 기사 보기
prev
next
SNS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