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반공학회 제41회 정기총회 및 봄학술발표회
2025년 3월 27일 (목) ~ 3월 28일 (금) / 김대중컨벤션센터

2025년도 제41회 정기총회 수상자
김수일 기념상 학술 - 박준범(서울대학교) / 기술 - 강인규(브니엘컨설턴트)
임병조 기념상 장일한(아주대학교)
공로상 백승철(국립경국대학교)
특별상 오세붕(영남대학교) / 차경렬 / 박두희(한양대학교) / 정경식(두정컨설턴트)
학술상 추현욱(한양대학교) / 윤희정(홍익대학교)
기술상 배명호(경도기술) / 오명주(GH이앤씨) / 최성근(나우지오컨설턴트)
학회장상 김종찬(국립부경대학교) / 오명학(한국해양과학기술원) / 강재모(한국건설기술연구원)
김재홍(동신대학교) / 김병민(울산과학기술원) / 최창호(한국건설기술연구원)
김영석(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문논문상 윤형구(대전대학교)
영문논문상 변용훈(경북대학교)
젊은지반공학인논문상 홍원택(가천대학교)
2025년 봄학술발표회 학생 우수논문 수상자
지반 해석을 위한 ChatGPT 기반 유한요소법(FEM) 모델링
김태구, 김현수, 이유진, 윤태섭(연세대학교)
YOLO를 이용한 물리적 실험의 기록된 동적 이미지 분석
한승재, 한세희, 추연욱(공주대학교), 김정은(인하대학교), 윤수식(고려대학교)
지열 에너지벽 시스템에서 화강풍화토-콘크리트 경계면의 열-역학적 특성
류주원, 응우옌콩한, 김영상(전남대학교)
수치해석을 활용한 압축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동적 거동 특성 분석
조성인, 나선홍(인하대학교)
바이오폴리머와 탄산염 침전 복합 처리 흙의 표면 침식 거동
이동천, 김가현, 박수혁, 장일한(아주대학교)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를 활용한 지반하부 공동 탐지 분석 방법
장병수, 최원우, 윤형구(대전대학교)
소수화 처리된 사면의 강우시 무한사면 안정성 평가
윤성민(강원대학교), 김병수, 박성완(단국대학교), 김재현(강원대학교)
반복 동결-융해 과정에서 바이오폴리머 혼합토의 탄성파 변화 분석
편해경, 이승현, 김상엽(건국대학교)
제방 다짐 평가: 현장 및 실내 실험의 종합적 비교
오경준, 유영근, 이종섭(고려대학교)
포화도에 따른 실트의 전기전도도
이용세(고려대학교), 이현수(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샴페인 캠퍼스), 이종섭(고려대학교)
[우수 포스터]
터널 뒷채움 재료의 배합 조건에 따른 물리적 특성 분석
김태영, 김지환, 정관우, 차경민(국립순천대학교), 류희환, 조선아, 이해진(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정성훈(국립순천대학교)
불포화토의 전기비저항 및 열전도도 측정을 통한 신뢰성 해석
김다민, 강정구(광주대학교), 김영상(전남대학교), 강경오(광주대학교)
PCM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의 잠열 특성에 대한 실험 및 수치해석 연구
우현재, 고규현(국립금오공과대학교)
2025 한국지반공학회 봄 학술발표회 후기

윤 태 섭
연세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교수
학술전담이사
(taesup@yonsei.ac.kr)

지난 2025년 3월 27일(목)부터 28일(금)까지,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2025 한국지반공학회 제41회 정기총회 및 봄 학술발표회』가 성황리에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학술대회는 “지속가능성과 혁신, 그리고 융합을 향한 지반공학의 도전”이라는 비전 아래, 최신 연구성과와 기술을 공유하고 다양한 세대의 전문가들이 교류하는 장으로 마련되었습니다.

이번 대회는 제41회 정기총회 및 학회상 시상식을 비롯해 초청강연, 임병조 기념상 특강, 전문세션, 학생세션, 포스터세션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습니다. 특히 올해는 새로운 회장단과 집행부의 첫걸음을 알리는 뜻깊은 시점이기도 하여, 많은 기대와 응원의 분위기 속에서 진행되었습니다.
행사 첫날은 김영욱 회장님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정준호 국회의원과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의 축사로 학회의 위상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총회에서는 20대 집행부를 이끈 김영욱 회장님의 소회를 듣고, 앞으로 2년간 학회를 이끌어갈 21대 황영철 회장님 및 집행부를 회원에게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어서 김수일 기념상 수상자인 박준범 교수(서울대), 임병조 기념상 수상자인 장일한 교수(아주대)에 대한 시상 및 학술상을 비롯한 다수의 학회상이 수여되었습니다.
이어진 초청강연 1에서는 김영상 교수(전남대)가 ‘넷-제로 사회를 향한 지반공학적 연구’를 주제로, 지열냉난방시스템과 에너지 지반구조물 관련 최신 연구 성과를 공유하였습니다. 기후위기와 에너지 효율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기술적으로 풀어가는 지반공학의 역할이 강조되며, 많은 참석자들의 깊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중식 이후 이어진 임병조 기념상 특강에서는 장일한 교수(아주대)가 ‘지속가능한 지반공학을 위한 바이오폴리머 기반 흙 처리 기술’을 주제로 발표하였습니다. 기존 시멘트 기반의 지반보강 방식이 가진 환경적 부담을 넘어서는 대체기술로서 바이오폴리머의 가능성과 실제 적용 사례들이 소개되며, 친환경 지반공학의 방향성을 제시하였습니다.
또한 초청강연 2로는 한진태 박사(한국건설기술연구원)가 ‘AI 기반 지반 지진위험도 평가’ 연구를 발표하여, 포항 지진 사례를 기반으로 한 AI 모델의 실용성과 향후 자동화 내진설계 시스템으로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었습니다.
각종 전문세션에서는 에너지플랜트, 해안항만, 지반조사, 지반역학, 지진위험도, AI융합 등 폭넓은 주제들이 다뤄졌으며, 특히 학생세션에서는 미래의 지반공학자들이 참신한 연구 주제와 열정적인 발표로 주목을 받았습니다. ChatGPT 기반 모델링, 기계학습을 통한 예측, 바이오소재 응용 등 신기술과 융합연구가 활발히 논의되었고, 다학제적 접근의 필요성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틀간의 일정 동안 약 30여 개 세션, 200편이 넘는 구두 및 포스터 발표가 이어졌으며, 국내외 전문가, 연구자, 대학생 등 500명에 이르는 참가자가 함께하였습니다. 이번 학술발표회를 통해 한국지반공학회는 지반공학의 미래를 향한 새로운 비전과 의지를 다시 한번 확인하였으며, 지속가능한 기술 개발과 융합연구의 확대, 그리고 차세대 연구자들의 성장 가능성을 함께 그려볼 수 있는 뜻깊은 시간이었습니다.
후원해주신 쌀화환은 초량1동 행정복지센터와 사단복지법인 원봉공회 사랑의 빨간 밥차에 기탁했습니다. 학생세션에서 우수한 발표를 한 10편의 논문과 우수 포스터 3편을 선정하였습니다.
끝으로 바쁜 일정 속에서도 발표와 토론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신 모든 참가자 여러분과 행사 준비에 노고를 아끼지 않으신 사무직 직원 여러분, 언제나 학술대회를 위해 아낌없는 지원을 해주시는 회원사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우리 학회가 더 큰 도약을 이루는 원동력이 되기를 바랍니다.
2025 봄학술발표회 세션별 후기
[에너지플랜트기술위원회] 지반공학을 활용한 고준위방폐물 처분 연구 현황
좌장 : 윤석 책임연구원(한국원자력연구원)

에너지플랜트기술위원회에서는 ‘지반공학을 활용한 고준위폐기물 처분 연구 현황’이라는 주제로 총 4편의 논문이 발표되었습니다. 첫 번째로 한국원자력연구원의 김정태 회원께서 ‘완충재 내 기체돌파현상 모사를 위한 수치모델 개발’에 관하여 발표해 주었습니다. 고온의 처분 환경에서 완충재 내 수분의 증발로 인한 기체돌파현상을 구현할 수 있는 수치모델에 대한 소개를 해 주었습니다. 두 번째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이기준 회원께서 ‘첨가제 특성이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심층 처분장 완충재의 열-수리-역학적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발표해 주었습니다. 처분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완충재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고기능 완충재 연구 현황에 대해 소개해 주었습니다. 세 번째로 서울시립대학교 김경호 회원께서 ‘초음파 속도를 활용한 고기능 벤토나이트 완충재 품질 평가’라는 주제에 관해 발표하였으며, 완충재의 성능이 향상된 고기능 완충재를 실제 처분장에 적용하기 위한 품질평가 기법과 관련한 실험적 결과를 소개해 주었습니다. 마지막으로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차요한 회원께서는 ‘벤토나이트-규사 혼합 뒤채움재의 팽윤압 특성 및 유효 건조밀도 범위’에 대해 발표하면서 완충재 외에 뒤채움재에 대한 성능 특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주었습니다. 많은 회원님들께서 에너지플랜트기술위원회에 참석해 주셨으며, 각 발표별로 활발한 질의응답이 이루어졌습니다. 본 후기를 빌려 바쁘신 와중에도 훌륭한 발표를 해주신 발표자분들과 본 세션에 참석해주신 회원님들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해안·항만기술위원회] 준설 효율과 항만설계기준 개정 해설 및 적용
좌장 : 홍기권 교수(한라대학교)

해안항만기술위원회에서는 ‘준설 효율과 항만설계기준 개정 해설 및 적용’이라는 주제로 전문가 발표와 패널 토론으로 전문세션을 운영하였다. 최근 준설매립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고,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개정이 2025년에 예정되어 있어 본 세션에서는 3편의 관련 논문 발표 후, 전문가 패널의 심도 있는 토론이 진행되었다.먼저, 김포대학교의 양태선 교수는 ‘펌프준설 공사의 설계반영시 준설효율 특성’을 주제로 펌프준설 공사에서 경질점토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하여 준설효율에 대한 국내외 품셈을 살펴보고 실제 펌프준설 공사 시 문제점과 준설효율에 관한 연구를 발표하였다. 또한 ‘항만 설계기준의 지반공학 분야 개정 내용’을 주제로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의 개정 내용 중, 항만 분야에서 주로 적용되고 있는 연약지반개량공법의 설계를 포함한 지반공학 분야의 신뢰성 설계기법이 적용된 개정 내용을 소개하였다. 항도엔지니어링의 구본효 부사장은 ‘항만 설계기준(내진분야) 개정내용의 적용’이라는 주제로 항만시설물의 성능기반 설계를 위한 내진성능 평가 시 구조물 규모 및 형태에 따른 합리적인 설계 방안에 대하여 발표하였다. 마지막으로 목포해양대학교 장용채 교수와 한국항만기술단 김경모 부사장이 패널로 나서 발표자 및 참석자들과 함께 발표된 연구 및 설계기준 개정 내용의 개선 방향에 대한 열띤 토론을 벌이며 주어진 세션운영 시간을 초과하기도 하였다. 바쁘신 와중에도 성공적인 세션운영을 위해 참석해주신 발표자, 패널 및 청중들께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지반진동기술위원회]
좌장 : 추연욱 교수(공주대학교)

지반진동기술위원회에서는 “최신 지반진동분야 기술동향”을 주제로 총 네 분의 초청발표를 중심으로 세션을 구성하였습니다. 먼저 지반진동기술위원장인 추연욱(국립공주대학교)의 위원회 소개와 2025년 주요 활동계획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고 전문가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지반진동 세션에서는 지진 재해 대응 기술의 정밀화와 실용화를 목표로 한 다양한 연구가 발표되었습니다. 최신 기술이 적용된 발표들이 이어지며 지반진동 분야의 연구 트렌드와 발전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리였습니다. 첫 발표를 맡은 오준수 박사과정(창원대)은「지진 관측 자료 기반 실시간 시추공-지표면 증폭 보정 모델 개발」을 통해 전국 평균 증폭 계수 모델을 제시하며, 실시간 지진강도 추정의 정확도 향상 가능성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러한 시도는 향후 조기경보 시스템 고도화에 실질적 기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았습니다. 이후 「불확실성 일관된 전단파속도(VS) 주상도 평가를 위한 표면파 탐사의 최신 기법 소개」이라는 주제로 조영규 교수(경북대)가 발표를 진행했습니다. 본 발표에서는 MASW와 MAM을 결합한 탐사 기법을 소개하며, 심부 지반 특성까지 정밀하게 반영 가능한 통계 기반 기법의 실용성을 제시했습니다. 세 번째 발표는「원자력발전소 내진설계를 위한 성능기반 부지고유 지반운동 예비 평가」라는 주제로 하정곤 박사(KAERI)가 진행하였습니다. 본 발표에서 ASCE 기준을 활용한 부지 고유 지반응답 산정 결과를 공유하며, 성능기반 설계로의 전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마지막으로 황병윤 박사과정(서울대)은「1g 진동대 모형실험을 통한 건축물 지하벽체에 작용하는 지진토압 분석」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습니다. 본 발표를 통해 구조물 높이와 기초 조건에 따른 SSI 효과의 정량적 결과를 제시하였습니다. 이번 지반공학회 봄학술발표회 지반진동 기술위원회 세션은 지반진동 연구가 정밀도와 현실 적용을 동시에 추구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지진신호의 실시간 보정, 신뢰성 있는 계측, 성능기반 설계 등은 향후 지진 대응과 구조물 안전성 확보의 핵심이 될 것이며, 학술과 실무의 연계를 강화하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았습니다. 지반공학회 봄학술발표회 마지막날에는 2024년 개정된 KDS 17 10 00「내진설계 일반」액상화 평가 기준 개정에 따른 실무지침서 편찬을 위한 지반진동위원회 운영위원회 회의가 있었습니다. 본 자리에서 액상화 실무지침서 집필 방향 및 일정을 조율하였으며, 연내에 실무자와 학생을 대상으로한 액상화 평가 계속교육을 실시하기로 협의하였습니다. 향후 본 기획이 액상화평가에 대한 실무자의 이해도를 증진시키고, 현장 활용도를 높일 것으로 입을 모았습니다.
[지반역학및불포화지반기술위원회] 불포화지반의 역학적/수리학적 특성 연구
좌장 : 김병수 교수(단국대학교)

지반역학및불포화지반 기술위원회는 “불포화지반의 역학적/수리학적 특성 연구”라는 주제로 전문세션을 개최하였다. 강연자와 발표제목은 다음과 같다.
1. 강우시 Top-down 시공방법에 따른 판넬식옹벽의 불포화 지반 안정성분석 (동신대 김재홍 교수)
2. 사질토의 입도 분포가 박막형 압전 센서를 이용한 사질토 지반 내부 토압 측정의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 우상인 교수)
3. 불포화 사질토의 동적 변형 거동에 관한 수치 해석적 연구 (단국대 박현수 박사)
4. 직접수치해석을 활용한 미생물 기반 개량토의 수리특성 변화 관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양엄지 박사)
첫 번째 논문은 인동신대 김재홍 교수가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 화물자동차 공영차고지에 설치된 판넬식 옹벽을 대상으로 시공방식(Top-down, Bottom-up)에 따른 강우조건 별 안전율의 변화를 시간에 따라 비교·분석결과와 강우침투와 연계하여 수치해석 결과를 근거로한 합리적인 시공방법을 제안하고자 했다. 두 번째 논문은 인천대 우상인 교수가 기초의 지지력, 횡방향 토압과 같은 많은 지반공학적 문제에서 지반 내부에 작용하는 응력을 최근에 개발된 얇고 유연한 박막형 압전 센서를 활용하여, 흙의 입도 분포가 사질토 지반 내부 토압 측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결과를 발표했다. 세 번째 발표는 단국대 박현수 박사가 개별 요소 해석(DEM)을 통하여 불포화 사질토의 거동에 대한 구현과 이를 바탕으로 포화도와 응력 변화에 따른 사질토의 동적 변형 특성에 대한 해석 결과를 발표하였다. 네 번째 발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양엄지 박사가 미생물 기반 탄산염 침전(MICP)의 주입 방식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3차원 X-ray CT 영상 및 직접수치해석을 활용하여 MICP 처리 후 사질토의 간극스케일 구조적/물성 변화의 분석 결과에 대해 발표하였다. 본 전문세션에서는 관련분야 전문가들과 학생들의 참여로 ‘불포화지반의 역학적/수리학적 특성’의 주제에 대해 포괄적인 논의가 활발히 이뤄질 수 있었다. 특히 이번 전문세션에서는 현장 옹벽 시공 공법, 횡토압 측정을 위한 박막형 압전 센서, DEM해석을 이용한 불포화 사질토의 동적 변형 거동, 개별 요소 토 지반의 융해 거동 전산 해석기법, 공기 주입에 의해 유도된 부분 포화 사질토 지반의 동적 거동, 미생물 기반 탄산염 침전(MICP)의 주입에 대한 3차원 X-ray CT 영상 및 직접수치해석에 대해 활발한 의견교류의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끝으로, 세션 개최를 위해 노력해 주신 기술위원회 운영위원님들과 더불어 세션장에 참여해 주신 많은 분들께도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댐·제방기술위원회] 미래기후대응 댐제방 혁신기술
좌장 : 임정열 연구소장(K-water연구원)

2025년 한국지반공학회 봄학술발표회는 전문위원회 중심의 전문세션으로 운영되었다. 댐·제방기술위원회는 “미래 기후대응 댐제방 혁신기술” 이라는 주제로 총 6편의 논문 발표를 준비하였다. 첫 번째 발표 논문은 “스마트 모니터링과 수치해석 연계 고도화를 통한 댐 안전성 종합분석 연구”라는 주제로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의 이종욱 박사가 발표하였다. 실시간 댐 안전성 분석 시스템과 BIM 모델(Digital Twin)을 연계하는 스마트 댐 안전성 종합분석 연구를 소개하였다. 두 번째 논문은 “이종센서 활용 수자원시설 영향구간 지형변화에 대한 3차원 공간정보 분석에 대한 연구”로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정동규 박사가 발표하였다. 수중 ROV 및 USV를 활용하여 수중 지형의 분석을 위해서 상세한 공간정보 구축, 데이터 활용 및 시각화에 대한 내용을 상세하게 소개하였다. 세 번째 논문은 “거석이 포함된 토석류가 중력식 사방댐의 충격하중에 미치는 영향”으로 강릉원주대학교 김범준 교수가 발표하였다. 자연사면 붕괴로 인하여 토석류 발생 시, 거석으로 인한 충격 피해가 막대하다. 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거석이 포함된 토석류에 대한 모형실험을 수행하고, 토석류의 흐름분석, 충격하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네 번째 발표는 “3D SPH 모델링을 이용한 토석류 원통형 대책구조물에 대한 충격력 수치연구”로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임환희 박사가 발표하였다. 산사태에 대한 실대형 실험을 실시하여 원통형 대책구조물에 대한 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실규모 토석류 실험결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수치모델을 이용하여 신뢰할 수 있는 토석류 충격 특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다섯 번째 발표는 “기후위기 대응 노후 댐 시설의 기반시설 자산관리체계 개발 방안”을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김남룡 박사가 발표하였다. 수자원시설에 대한 자산관리체계 개발에 대한 필요성, 연구방향 및 필요한 주요사항에 대해서 전체적인 현황을 소개하였고, 댐에서 요구되는 서비스수준 정의 및 향후 활용방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보 시설물 지진계 설치 가이드라인 개발 기초 연구”에 대해서 경남대학교 하익수 교수가 발표하였다. 보 시설물에 대한 지진계 설치 및 운영 현황 분석 및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보 시설물 지진계 설치 기준 정의 및 가이드라인 제시를 위한 방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였다.본 세션에서는 미래기후대응을 위한 댐제방 기술발전을 위한 혁신기술을 소개하는 자리였으며, 타 분야와 협력을 통한 기술개발 사례, 기술 실용화 및 정책제안을 할 수 있는 방안 등을 공유하였다. 댐·제방 전문세션 운영을 통하여 많은 지반공학 연구자들에게 댐·제방 관련 연구개발을 소개하고, 배움과 소통의 기회를 제공하는 자리가 되었다.
[지반조사기술위원회]
좌장 : 홍원택 교수(가천대학교)

지반조사기술위원회 세션에서는 기술위원회 부위원장인 가천대학교 홍원택 교수가 좌장을 맡아 ‘지반조사기술’ 전반에 대한 포괄적 주제로 총 6편의 논문에 대한 발표가 있었다. 본 전문세션 첫 번째 발표는 창원대학교 라? 리날 칸티 연구원이 ‘주파수 영역 유한차분법에 기반한 지표 투과 레이더 자료의 다변수 완전 파형 역산’을 주제로 발표하였으며, 이어 ‘지반 특성 평가를 위한 초소형 배열 상시미동 탐사 기법의 국내 적용성 검토’(한양대학교 김종원 석사과정 연구원), ‘서울 지역 대규모 지반조사 데이터셋을 활용한 동적지반특성 연구’(서울연구원 이영석 연구원), ‘실내시험을 이용한 리그린이 혼합된 지반의 특성 분석 연구’(경일대학교 손수원 교수), ‘크로스홀 토모그래피를 활용한 싱가포르 지반조사 사례연구’(건국대학교 구태서 교수), ‘자동화 해머 타격 시스템의 적용을 위한 동적 콘 관입실험과의 비교적 연구’(건국대학교 김상엽 교수)를 주제로 한 발표가 진행되었다. 각 발표 후에는 심도 있는 질의응답 및 토론이 이어져 유사 연구분야 및 산업분야에 종사하는 청중들과 상수공생이 기회가 되었으리라 기대되며, 각 발표 주제에 대한 전문가들의 통찰력은 청중으로 참여한 젊은 지반공학인 및 미래의 연구자, 공학자들에게 깊은 영감을 줄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리라 기대된다.
[신뢰성기반한계상태설계법연구회-한국도로공사도로교통연구원 공동특별세션]노후 인프라 구조물의 재사용성 평가
좌장 : 김현기 교수(국민대학교)

신뢰성기반 한계상태 설계법 연구회(위원장: 국민대 김현기 교수)와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은 “노후 인프라 구조물의 재사용성 평가”라는 주제로 공동 특별 세션을 진행하였습니다. 우리나라의 교량이나 도로, 터널 등 주요 교통 인프라 구조물들이 1970년대에서 1990년대 사이에 대부분 건설되어 적게는 30년에서 많게는 50년 이상 사용하며 그간 환경적 노출, 재료의 노화, 증가하는 하중 요구 등으로 인해 교통 인프라의 노후화 및 구조물의 열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지속 가능한 유지보수 및 보강 전략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여러 대책이 제시되고 있는데, 전면 개축이 아니라 기존 교통 인프라의 일부 구성 요소를 재사용할 수 있게 되면 공시기간 단축, 재정적 부담 감소, 환경 영향 최소화 등 여러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에 본 특별 세션에서는 여러 최신 기술들을 이용하여 노후 교통 인프라 구조물의 부분적 재사용성 평가에의 적용 사례를 소개하고, 노후 교통 인프라 유지관리의 최적화와 장기적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실질적인 평가 가이드라인 설정 방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날 세션에서는 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정경자 박사, 국민대 김현기 교수, 동국대 김한샘 교수, 건양대 이규환 교수가 차례로 발제 발표를 하였습니다. 정경자 박사는 현재 한국 도로공사에 진행하고 있는 고속도로 대수선 추진 현황과 고속도로 노후 교량의 하부구조 재사용을 위한 평가 계획 등을 소개하였고, 김현기 교수는 논산소재 노후교량에 대해 실시한 교량 하부구조의 구조적 내구성 평가 조사 과정과 결과 및 시사점을 발표하였습니다. 김한샘 교수는 고속도로 노후비탈면의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기술의 적용에 대한 연구 내용을 발표하였고, 이규환 교수는 노후 인프라 구조물의 부분적 재사용에 대한 여러 고려사항들을 포렌식 조사기법의 관점에서 소개하였습니다. 발제에 이어 진행된 디스커션 시간을 통해 발제자와 참석자들 간의 심도있는 논의의 시간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특히 최근들어 지반공학 관련 노후 인프라 구조물 및 공사현장에서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싱크홀, 지반침하, 산사태, 옹벽 붕괴 등의 여러 사고 및 재난들에 대해 우리 학회가 해당 분야의 국내 최고수준 전문가 집단으로서 그 위치에 어울리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원인 분석과 재발 방지를 위한 기술적 대책을 우리 사회에 제시, 제공하고 있는지에 대한 자성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매우 인상적이었습니다.
[일반세션1] 기초 및 지반조사
좌장 : 구태서 교수(건국대학교)

본 세션은 지반공학회 2025 봄학술발표회 주요 프로그램들이 진행된 3월 27일(목요일) 오후 첫 일반세션(1)으로 진행되었으며, 세 명의 발표자가 세션 주제인 “기초 및 지반조사”와 연관된 흥미롭고 심도 있는 연구 결과를 소개하였다. 점심 식사 후 진행된 첫 번째 오후 일반세션임에도 불구하고, 관련 연구를 수행하는 학계, 유관 연구기관, 산업체 관계자들이 다수 참석하여 활발히 참여하였다.첫 번째 발표는 “대구경 모노 파일 기초의 측면 거동에 대한 연구”라는 주제로 국립군산대학교 사디크 삼셔 박사가 발표를 진행하였다. 3차원 유한요소해석(3D FEA)을 통해 모노 파일 직경을 조절하여 상대 강성을 변화시키고, 이에 따른 구조 거동의 유연-강체 전이가 수평 변형 거동, 토압 분포, 전단응력 발생 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상대 강성이 이러한 거동 특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며, 강성 모노파일은 연성 모노파일과 뚜렷이 다른 상호작용 양상을 보임을 증명하였다. 두 번째 순서로는 GS건설의 최영석 책임연구원이 “동적콘관입시험기를 이용한 얕은 기초의 지지력 평가”라는 주제로 발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협소한 공간에서 얕은 기초의 지지력을 평가하기 위해 동적콘관입시험(DCP)의 활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플레이트 하중 시험과 DCP 결과 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확인하였으며, 특히 중간~조밀 상태의 풍화토 조건에서 DCP 시험이 유효한 대체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현장 조건에서 간편하고 유용한 지지력 평가 방법으로 DCP 시험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 세 번째 발표는 “대구지역 공내 전단시험을 이용한 전단강도 평가 사례연구”라는 주제로 영남대학교 김영주 연구원이 발표하였다.「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시행 이후, 대구 지역을 중심으로 시행된 공내 전단시험의 결과를 기존의 직접 전단시험 및 표준관입시험 결과와 비교하여, 지반 안정성 평가에 대한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퇴적층과 풍화토층 등 토사층에서 공내 전단강도는 기존 시험 결과와 대체로 유사하거나 높은 값을 보여 상호 일관성이 확인되었으며, 풍화암층에서도 표준관입시험과 유사한 수준의 강도 특성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공내 전단시험이 실제 현장에서의 지반 특성을 반영한 유효한 평가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본 세션에서는 기초 및 지반조사 분야의 실무에 적용 가능한 흥미로운 연구들이 공유되었고, 활발한 질의응답을 통해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유익한 통찰도 얻을 수 있었다. 발표자들과 자리를 함께해 주신 지반공학회 회원 여러분께 다시 한번 깊이 감사드린다.
[일반세션2] 지반IT융합
좌장 : 이창호 교수(전남대학교)

지반 IT 융합 세션에서는 총 5 편의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발표한 주제는 아래와 같습니다.
- GA와 LSTM을 활용한 가설 흙막이 벽체 시스템의 지능형 자동설계
- 굴착현장 계측자료를 활용한 역해석 기법 적용성 연구
- GPR A-scan 데이터와 면적산정법을 활용한 자갈 궤도의 파울링 검출
- 데이터가 제한된 지반공학 환경에서의 딥러닝 활용방안 연구
- 고속도로 건설사업 대상 지반 BIM 모델 시범 구축을 통한 활용성 분석
지반 IT 융합 세션은 약 50명에 가까운 청중이 참여하여 80분의 세션 시간 동안 발표자와 청중 간의 열띤 질의와 응답 및 토론이 이루어져 성황을 이루었습니다. 특히 최근에 다양한 지반공학분야에서 활용성이 검토되고 있는 Sensing 기술, 자동화 기술 및 Machine Learning 기술 등 최신 기술의 발전 방향에 대하여 공부하고 토의하는 시간이었으며, 향후 기술개발에 따라 지반공학 분야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합니다.
[일반세션3] 지반굴착 및 진동
좌장 : 이준규 교수(서울시립대학교)

지반굴착 및 진동 세션에서는 총 2편의 논문발표가 있었습니다. 각 발표마다 30분이 할애되어 연구내용의 자세한 소개와 함께 충분한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습니다.첫 번째 발표자인 김상윤 박사는 역해석 프로그램을 활용한 지반거동 예측 사례를 발표하였습니다. 상용 유한요소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지반굴착에 따른 흙막이벽 배면지반의 강도정수를 추정하는 기계학습 방법과 그의 적용사례를 소개하였습니다. 두 번째 발표자인 이용국 박사는 유효응력해석을 이용하여 포항 지진 액상화 평가에 대하여 발표하였습니다. 포항 지진시 분사현상이 발생한 2개의 부지에 대해 세 가지 간극수압 모델을 적용하여 얻은 액상화 평가 결과를 설명하였습니다.학술발표회의 두 번째날의 이른 시간에도 성심껏 발표해 주신 발표자분들과 경청해 주신 많은 회원들께 감사드립니다.
[학생세션1] 지반IT융합
좌장 : 원종묵 교수(울산과학기술원)

2025년 봄 광주에서 개최된 봄 학술대회 지반IT융합 학생세션에는 총 6개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먼저 경희대학교 최우영 학생이 “PCD와 SPHARM 기반 SVM을 이용한 도상 자갈 교체에 대한 정량적 평가”에 대해 발표하였고 대표적인 머신러닝 알고리즘인 SVM을 이용한 3D 자갈형상의 복잡성 평가방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다음은 연세대학교의 김태구 학생이 “지반 해석을 위한 ChatGPT 기반 유한요소법 (FEM) 모델링”에 대해 발표하였고 수리-역학 상호작용을 고려한 압밀 문제를 ChatGPT를 통하여 해결하는 방안에 대하여 발표하였다. 다음은 국민대학교 한성욱 학생이 “LLM 기반의 공간변동성을 가진 연약지반 비배수전단강도 추정”에 대하여 발표하였고 남해 해성점토 지반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비배수전단강도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다음은 국민대학교 오준호 학생이 “재해 발생 위치의 디지털 인식을 위한 U-Net 모델의 적용”에 대한 발표를 통하여 산사태 재해 발생 위험도 평가 예측 방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다음은 홍익대학교 김지훈 학생이 “ConvLSTM 네트워크 기반 시계열 예측 알고리즘을 활용한 얕은 굴착 시 흙막이벽체의 강성 거동 예측”에 대하여 발표하였고 흙막이 벽체의 강성과 연성거동을 머신러닝을 통하여 예측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경희대학교 유지연 학생이 “흙막이 벽체 변위 예측을 위한 물리기반신경망(PINNs)의 적용”에 대하여 발표하였고 보의 거동을 해석하는 방정식과 PINN을 기반하여 흙막이 벽체 변위를 예측하는 방법론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세션은 위와 같은 흥미로운 주제들이 발표되어 많은 청중들이 세션에 참석하였고 다양한 IT 주제에서 학생들의 열정적인 연구가 수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였다. 본 좌장 역시 생각해보지 못했던 여러가지 주제에 대하여 공부하였고 다양한 머신러닝 알고리즘이 지반공학은 다양한 문제에 적용가능한 것을 확인해 볼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이었다고 생각된다.
[학생세션2] 지반진동Ⅰ
좌장 : 정성훈 교수(국립순천대학교)

본 학생 세션에서는 지반 진동 분야 관련 연구 주제로 총 6편의 논문 구두 발표가 진행되었습니다. 첫 번째 발표는 “YOLO를 이용한 물리적 실험의 기록된 동적 이미지 분석”을 주제로, 공주대학교 한승재 학생이 발표하였으며, 촬영된 동적 이미지를 YOLOv5로 분석하여 동적 거동 특성을 도출하였습니다. 두 번째 발표는 “2017년 포항 지진 사례를 통한 지형 효과와 입사각에 의한 지진파 증폭 특성”을 주제로, 울산과학기술원 안성노 학생이 발표하였고, 수치해석을 통해 지형 효과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과 지반 운동 입사각에 따른 지진파 증폭 계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습니다. 세 번째 발표는 “지반 증폭 현상을 고려한 GIS 기반 지진 유발 산사태 위험도 평가”를 주제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지규찬 학생이 발표하였으며, 동적 사면 안정 해석 결과를 지반 인자에 따라 분석하였습니다. 네 번째 발표는 “확률론적 지반 응답 해석을 위한 전단파 속도 주상도 무작위화”를 주제로, 한양대학교 장은석 학생이 발표하였고, 지층 두께와 전단파 속도 주상도 무작위화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및 분석하였습니다. 다섯 번째 발표는 “시험 방법에 따른 전단파 속도 변화와 기반암 조건의 중요성”을 주제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차연진 학생이 발표하였으며, 현장 탄성파 탐사와 실내 FFRC 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지반 응답 해석을 수행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액상화 평가를 위한 분기별 지하수위 변동성과 공간 보간 연구”를 주제로, 단국대학교 박성혁 학생이 발표하였고, 관측정 및 시추 데이터를 분기별로 구분하여 지하수위 변동성을 공간 보간 기법으로 비교·분석하였습니다. 발표 시간을 잘 준수하고 성실하게 질의응답에 응해준 발표자들과, 적극적으로 질문해 주신 청중들 덕분에 학회 첫 번째 세션을 무사히 마칠 수 있었습니다. 세션에 참석해 주신 모든 분들께 다시 한번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학생세션3] 재해대책
좌장 : 김도현 교수(국립한밭대학교)

본 학생세션에서는 재해대책과 관련된 연구주제로 총 6편의 발표가 진행되었다. 첫 번째 발표는 “네일과 결합된 복합 토목 섬유의 보강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라는 제목으로 아주대학교 이휘재 학생이 진행하였다. 네일과 결합된 토목 섬유의 보강 효과에 대한 수치해석적 접근법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실험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여 신뢰도가 높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두 번째 발표는 강릉원주대학교 이준서 학생이 “2023년 강릉 산불 피해 지역의 산사태 위험도 분석”에 관한 발표를 진행하였다. 본 발표는 산불 발생 후 해당 지역의 산사태 위험도를 다양한 인자들을 고려하여 분석한 것으로 접근법 및 결과가 매우 흥미로웠다. 세 번째 발표는 부산대학교 원조현 학생이 진행한 “울산 해안지반 특성을 고려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 링 앵커 기초 효율성 분석”으로, 석션 케이슨 및 중력식 앵커와 비교해 링 앵커가 갖는 성능과 효율성 측면에서의 우수성을 규명하였다. 네 번째 발표는 가천대학교 김현석 학생이 “3차원 지하역사 구조물에서의 인원 혼잡도를 고려한 최적의 추가 대피로 제안”이라는 제목으로 발표를 진행하였다. 수치해석적 접근법을 활용하여 지하역사와 관련된 다양한 영향인자들을 고려하면서 지하역사 내 여러 케이스를 가정하여 최적인 대피로를 제안한 재미있는 발표를 진행하였다. 다섯 번째 발표는 강릉원주대학교 이지훈 학생의 발표로 “지하수와 계절 지중 온도 변화를 통한 도시 열섬 효과 분석” 연구를 통해 도시 규모에 따른 계절 지중 온도 변화 거동을 분석하고 열섬 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 여섯 번째는 전남대학교 류주원 학생이 “지열 에너지벽 시스템에서 화강풍화토-콘크리트 경계면의 열-역학적 특성”이라는 연구를 세립분 함량과 온도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의 전단 강도 변화를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본 세션을 통해 학생들이 진행하는 연구의 높은 수준과 이에 대한 깊은 이해가 바탕이 된 뛰어난 발표 실력을 확인할 수 있었고, 향후 이 학생들의 연구가 얼마나 발전하고 학문적으로 기여를 하게 될지 기대가 많이 되기도 하였다.
[학생세션4] 지반진동Ⅱ
좌장 : 변용훈 교수(경북대학교)

2025년 봄학술발표회 학생세션 4 ‘지반진동 2’에서는 총 7편의 학생 논문발표가 진행되었다. 본 세션은 실험적 연구, 수치해석, 예측모델 개발 등 다양한 주제를 다뤄 지반진동 분야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첫 번째 발표에서는 인하대학교 조성인 석사과정 학생이 수치해석을 통해 압축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동적 거동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소개하였다. 두 번째로는 충북대학교 이대원 박사과정 학생이 전단파 속도를 활용하여 구속압 변화에 따른 해저지반의 동적 거동 특성을 심도 있게 평가한 내용을 발표하였다. 세 번째 발표에서는 한양대학교 이동연 석박통합과정 학생이 암반 부지에 대한 수치적 상관성 모델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민감도 분석 결과를 공유하였다. 네 번째 발표에서는 가천대학교 이유성 석사과정 학생이 국내 심층처분장에 대한 장기 리스크 관리 모델 개발을 시도 및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한양대학교 김해원 석사과정 학생이 기계학습 기법을 활용한 국내 전단파속도 예측 모델 개발 결과를 소개하였다. 이어서, 충북대학교 이의찬 석사과정 학생이 다양한 구속압 조건에서 해저지반의 액상화 유효인자를 분석한 내용을 발표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천대학교 전지윤 석사과정 학생이 지진에 의한 철도 지반 구조물의 물류 손실 피해에 대해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발표하며 세션을 마무리하였다. 이번 세션에는 다수의 발표가 포함되어 있어 각 논문에 대한 질의응답 시간을 충분히 갖지 못한 점은 다소 아쉬웠지만, 학생들 간의 활발한 질문뿐만 아니라 교수님들과 연구원들의 다양한 의견이 공유되어 매우 뜻깊은 시간이 되었다. 이번 세션에서 보여준 발표자들의 다양한 연구 접근 방식은 향후 지반진동 분야의 연구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계기가 되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학생세션5] 지반환경
좌장 : 양엄지 박사(한국건설기술연구원)

본 세션에서는 총 7개의 발표가 진행되었으며, 기존 지반개량 분야가 다양한 친환경 기술을 통해 기술적 패러다임의 변화를 맞이하고 있음을 실감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바이오폴리머, 탄산염 침전, 요소 가수분해 반응 등 식물 유래 성분이나 생체모사 기반의 기법들이 실제 현장 적용을 목표로 점차 구체화되고 있다는 점이 인상 깊었습니다.임상훈 학생과 권찬조 학생은 Cr2+ 이온 등의 금속 양이온을 결합한 바이오폴리머 성분 변화가 바이오폴리머 처리토의 역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으며, 김정훈 학생은 탄산염 침전 기반의 지반개량 시 발생하는 암모니아 가스 배출 문제를 해결하고자 비뇨기계 결정 형성을 모사한 새로운 침전 기법을 소개하였습니다. 김가현 학생은 효소기반 탄산염 침전과 바이오폴리머 기법을 융합하여 각 방법의 단점을 극복하려는 시도를 소개하였고, 이를 벤더 엘리먼트 시험을 통해 강성을 측정함으로써 정량적으로 평가하였습니다. 이동천 학생은 김가현 학생과 함께 지반의 표면 침식 완화를 목표로, 복합기법을 적용한 실험적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곽준혁 학생은 세립토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바이오폴리머 적용 연구를 소개하였고, 이 과정에서 세립토의 이탈량을 정량화하기 위해 탁도 측정 기법을 활용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박형빈 학생은 쉴드 TBM 터널링 시 여굴 충진을 위한 바이오폴리머 기반 뒤채움 그라우트 재료의 개발을 발표하였습니다.발표자들의 진지한 연구와 열정적인 발표 이후에는 청중들과의 의미 있는 질의응답이 이어졌고, 이를 통해 각 연구 주제가 자연과 공존하는 지속 가능한 지반공학 기술로 발전할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본 세션은 기술적 깊이와 실용적 가치를 동시에 느낄 수 있었던 학술교류의 장이었다고 생각됩니다.
[학생세션6] 지반조사Ⅰ
좌장 : 장준봉 교수(동아대학교)

봄학술발표회의 학생세션6은 지반조사를 주제로 6명 학생들이 발표를 하였다. 현장시험과 시험결과에 대한 자료 분석 등에 대한 발전된 방법 등을 소개하는 자리가 되었다. 한국원자력원구원 서환우 박사는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박사후과정으로 연구를 진행 중이지만, 초록을 낸 시기가 박사과정이어서 이번 세션에 참여를 하였다. HVSR과 지리공간 정보를 활용한 한반도 동남부 지역에서의 암반깊이 추정에 대해서 발표를 해주었다. 경희대학교 서일현 학생은 InSAR 활용 포항지진 지반 변형 분석에 대해지반액사화지수법(LPI)를 기준으로 침하 경향에 대한 연구 결과를 공유해 주었다. 국립한밭대학교 박용빈 학생은 탄성파 시험 결과를 활용하여 랜덤 포레스트 회귀 모델을 활용한 대한민국 전역의 VS30예측과 지도 시각화에 대해서 발표를 해주었다. 한양대학교 최준헌 학생은 다중채널 표면파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유한요소법을 사용하고 표면파 탐사 수치모델를 개발하여 이에 관련된 다양한 레일리파를 고려한 다중채널 표면파 탐사법의 수치해석적 연구에 대해서 발표하였다. 대전대학교 장병수 학생은 실험을 통하여 얻어진 적외선 이미지를 활용하여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를 활용한 지반하부 공동탐지 분석 방법에 대한 연구를 공유해 주었다. 가천대학교 이은상 학생은 암반의 절리에 대한 모사를 하고 지하투과레이더를 통해 탐사하는 실내실험을 실시하여 얻은 결과를 암반 절리면 조사를 위한 비파괴 탐사의 활용방안으로 결과를 보여 주었다. 학생들은 지반조사에 관련된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고도화시키거나 비파괴 탐사 방법에 대해서 좋은 연구 성과를 발표를 해주었고 세션에 참여한 연구자들은 질의응답으로 많은 관심을 보여 주었다. 지반조사는 지반의 물성치에 대한 정확성를 높이고 설계 및 시공에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앞으로도 학생 참여자들의 발전된 연구성과를 기대하게 된다.
[학생세션7] 지반역학 및 불포화Ⅰ
좌장 : 김대현 교수(수원대학교)

2025년 3월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한국지반공학회 봄학술대회에서는 ‘지반역학 및 불포화지반’을 주제로 한 학생세션이 진행되었습니다. 최근 보기 드물게, 이 세션에서 발표된 다섯 개의 연구는 모두 실험을 기반으로 수행되었습니다.한국과학기술원(박세진 발표)은 연마재 워터젯을 이용한 암반 천공의 굴착 성능과 유량의 관계를 실험적으로 밝혔고, 강원대학교와 단국대학교(윤성민 발표)는 극단적 기후 하에서의 사면 안정화 전략을 제안하고자 소수화 처리된 사면의 강우 시 안정성을 평가하였습니다. 한양대학교(한희림 발표)는 반복하중 조건에서 사질토의 입자 형태가 정지토압계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고려대학교와 울산과학기술원(이주호 발표)은 수리적 기울기증가가 모래-점토 혼합토의 세립토 이탈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습니다. 또한, 고려대학교(강지수 발표)는 응력 이방성 상태에서 센서 위치와 경계면 마찰을 고려한 전단파 속도와 유효응력 관계의 개선 모델을 제안했습니다. 이 연구들은 모두 주요 지반공학적 문제들에 대한 실험적 접근을 통해 해결책을 모색하는 데 큰 기여를 했습니다. 대회 이튿 날, 이른 시간 진행되었음에도 많은 관심과 참여 속에서 진행된 학생들의 발표와 청중들과의 활발한 질의응답은 지반공학 커뮤니티에 좋은 에너지를 제공했으며, 실험 연구와 방법론의 중요성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학생세션9] 지반조사Ⅱ
좌장 : 고규현 교수(국립금오공과대학교)

본 학생세션에서는 지반조사와 관련한 연구주제로 총 6편의 논문 구두발표가 진행되었다. 첫 번째 논문은 인천대학교의 이준아 석사과정생이 “해상연약지반 탐사를 위한 자중관입식 다중물리콘 시험기 개발”이라는 주제로 발표하였으며, 경제적이고 재현성이 높은 자중관입식 다중물리콘 시험기가 높은 신뢰도를 바탕으로 해상 연약지반조사에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두 번째 논문은 건국대학교의 황선호 석사과정생이 “도심지 교통 잡음을 활용한 발전된 비파괴 기반암 탐사: 교차상관 탄성파 간섭법 소개”라는 주제로 발표하였다. 교차상관 탄성파 간섭을 통해 도출된 전단파 속도 프로파일은 시추 주상도와 근접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추후 효율적인 지반탐사에 활용 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주었다. 세 번째 발표는 고려대 유영근 박사수료생이 “전단파 속도를 이용한 성토층의 다짐도 평가방법”에 대해 발표하였는데, 개선된 실내 압밀 실험으로부터 상대다짐도에 대한 전단파 속도를 획득하는 방법론을 소개하였다. 네 번째 발표자는 건국대학교의 임동우 석사과정생이었으며, “토양-암반 경계면 탐지를 위한 완전 파형 역산 기법의 적용성 연구”에 대해 발표하였다. 완전 파형 역산 기법을 사용한 시뮬레이션 연구를 통해 제안된 기법의 효용성에 대해 논리적으로 입증하였다. 다섯 번째 발표는 한양대학교의 김소영 석사과정생이 “강성-파쇄성 입자 혼합물의 정지토압계수(K0)”라는 주제로 학술발표를 진행하였다. 본 발표를 통해 다양한 입자 크기비와 WPBA 함량비를 고려하여 응력에 따른 정지토압계수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마지막 발표는 고려대학교의 오경준 석사과정생이 “제방 다짐 평가: 현장 및 실내 실험의 종합적 비교”라는 연구결과를 공유하였다. 기존 시험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다짐 평가 장비를 소개하였고, 각 다짐도에 따른 실험적 검증을 바탕으로 실무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시험법을 소개하였다. 본 세션에 참여한 모든 발표자들이 수행한 연구결과를 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정리하였고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태도로 발표를 수행하였다. 향후 지반조사 분야에서 우수한 연구결과들이 지속적으로 발표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되며 더욱 왕성하고 발전된 학생세션을 거듭날 것으로 기대된다.
[학생세션10] 지반역학 및 불포화Ⅱ
좌장 : 나선홍 교수(인하대학교)

본 학생세션에서는 지반역학 및 불포화지반 관련 연구주제로 총 6편의 논문 구두 발표가 진행되었다. 먼저 국립순천대학교 박지민 학생은 “생물학적 영감을 받은 표면과 모래 사이 반복 전단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라는 제목으로 기존의 직접전단시험과는 다른 전단시험기구를 개발해, 해당 전단 거동에서 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고 이를 통해 기초 및 지반 구조물의 거동 분석에 활용하기 위한 기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한경국립대학교 윤한규 학생은 “초기 입도분포가 다짐에 따른 화강풍화토 입자파쇄에 미치는 영향 평가”를 제목으로 입도가 다른 화강풍화토 시료에 대한 다짐 시험을 수행고, 파쇄되는 입자의 양 및 모양을 분석하였다. 인천대학교 박채원 학생은 “물리적 모델과 데이터에 기반한 입자성 혼합토의 투수계수 예측”이라는 주제로 원형 또는 구의 형태로 가정한 입자로 구성된 혼합토에 대한 물리 모델을 제시하고, 크기 및 간극 유체 종류에 따른 다양한 조건에 대한 실내 시험을 바탕으로 한 투수 계수를 예측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고려대학교 이용세 학생은 “포화도에 따른 실트의 전기전도도”라는 제목으로 폐광산 지역에 대한 실트질 지반에 대한 전기전도도를 측정해 이를 바탕으로 해당 지반에 대한 간극비를 추정하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한국과학기술원 최동형 학생은 “입상토의 입도분포 변화가 미소 변형 전단 특성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주제로 미소 변형 전단 거동을 평가하기 위해 역기전력의 영향을 무시할 수 있는 장비를 개발한 공진주 시험기를 소개하고, 이를 입도분포가 다른 지반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해 미소 변형 전단 특성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단국대학교 한영웅 학생은 “소수화 처리된 철강 수재슬래그의 수수성 및 함수특성 평가”라는 제목으로 철강 수재슬래그를 지반공학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실내실험 수행 및 거동 평가 내용을 소개하였다. 각 학생별로 10여분의 발표를 진행하고 및 약 5분에 걸친 질의응답이 이루어졌다. 봄 학술대회의 마지막 세션이었지만, 끝까지 연구 성과를 훌륭하게 발표해준 발표자들과 자리를 지킨 청중들 덕분에 해당 세션이 유익한 시간으로 마무리 되었다.
국제학술회의 소식
International Conference & Symposium
대륙별 학회 (Date : Day-Month-Year)
참고 웹사이트 : https://www.issmge.org/events
2025
아메리카(북·남미)
Fourth Pan-American Conference on Unsaturated Soils
- Date: June 22-25, 2025
- Venue: Canada, Ottawa
- Website: https://www.panam-unsat2025.ca/
- E-mail: info@karma-link.ca
3rd International Workshop on Landslides in Sensitive Clays
- Date: September 28-October 02, 2025
- Venue: Quebec City, Canada
- Website: http://www.iwlsc2025.ca
- E-mail: secretariat@iwlsc2025.ca
DFI 50th Anniversary Conference on Deep Foundations
- Date: October 20-23, 2025
- Venue: Nashville, United States
- Website: http://www.dfi.org
- E-mail: tengler@dfi.org
유럽
2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Geotest Sites(ISGTS)
- Date: June 5-6, 2025
- Venue: Finland,Tampere
- Website: https://events.tuni.fi/isgts/
- E-mail: marco.dignazio@tuni.fi
5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Frontiers in Offshore Geotechnics(ISFOG)
- Date: June 9-13, 2025
- Venue: Nantes, France
- Website: https://isfog2025.univ-gustave-eiffel.fr/
- E-mail: s_bretelle@hotmail.com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nvironmental Geotechnology, Recycled Waste Materials, and Sustainable Engineering
- Date: June 11-14, 2025
- Venue: Vigo, Spain
- Website: https://egrwse2025.webs.uvigo.es/
- E-mail: egrwse2025@uvigo.ga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nergy Geotechics 2025
- Date: June 17-20, 2025
- Venue: Paris, France
- Website: https://icegt25.sciencesconf.org/
- E-mail: Jean-Michel.pereira@enpc.fr
Fif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eotechnical Engineering-Iraq(5ICGE-Iraq) and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ngineering Science and Energy(3ICESE)
- Date: July 01-03, 2025
- Venue: Saint-Petersburg, Russia
- Website: https://icge.tech/
- E-mail: mahdi_karkush@coeng.uobaghdad.edu.iq
Geotechnical Engineering Education GEE 2025
- Date: July 02-04, 2025
- Venue: Nancy, France
- Website: https://gee2025.sciencesconf.org/
- E-mail: gee2025@sciencesconf.org
9th International Symposium for Geotechnical Safety and Risk
- Date: August 24-27, 2025
- Venue: Oslo, Norway
- Website: https://www.isgsr2025.com/
- E-mail: ISGSR-2025@ngi.no
8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Pressuremeters(ISP8)
- Date: September 02-05, 2025
- Venue: Luxembourg, Luxembourg
- Website: https://isp8-pressio2025.com/
- E-mail: frikha_wissem@yahoo.fr
XXI Technical Dam Control International Conference
- Date: September 02-05, 2025
- Venue: Krakow, Poland
- Website: http://www.tkz.is.pw.edu.pl
- E-mail: tkz.ibs@pw.edu.pl
29th European Young Geotechnical Engineers Conference
- Date: September 9-12, 2025
- Venue: Croatia, Rijeka
- Website: https://eygec2025.uniri.hr/
- E-mail: eygec2025@gradri.uniri.hr
Third Workshop on the Future of Machine Learning in Geotechnics
- Date: October 15-17, 2025
- Venue: Florence, Italy
- Website: http://www.fomlig2025.com
- E-mail: fomlig2025@aimgroup.eu
Geotechniekdag 2025-National Geotechnical Conference of the Netherlands
- Date: November 11-11, 2025
- Venue: Netherlands
- E-mail: geotechniekdag@kivi.nl
- Website: https://kivi.nl/communities/vakafdelingen/geotechniek/geotechniekdag/geotechniekdag-2025
아시아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s in Structural and Geotechnical Engineering
- Date: April 14-17, 2025
- Venue: Hurghada, Egypt
- Website: https://icasge.conferences.ekb.eg /
- E-mail: icasge@unv.tanta.edu.eg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IS and Geoinformation Zoning for Disaster Mitigation(GIZ)
- Date: August 28-30, 2025
- Venue: Almaty, Kazakhstan
- Website: https://giz2025.org/
- E-mail: aabisheva012@gmail.com
7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Transportation Soil Engineering in Cold Regions
- Date: September 17-20, 2025
- Venue: Incheon, Korea
- Website: https://www.transoilcold2025.org/
- E-mail: kgs@transoilcold2025.org
Geotech Asia 2025
- Date: October 07-10, 2025
- Venue: Goa, India
- Website: https://www.geotechasia.org/
- E-mail: info@geotechasia.org
5th AsRTC6 “Urban GeoEngineering” Symposium
- Date: October 23-24, 2025
- Venue: Taipei, Chinese Taipei
- Website: https://www.asrtc6urbangeoengineering2025.com/index.html
- E-mail: geogroup@asrtc6urbangeoengineering2025.com
1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eotechnical Engineering & 8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Natural Hazards
- Date: December 04-05, 2025
- Venue: Lahore, Pakistan
- Website: http://www.17icge-8isg.com
- E-mail: tmasood267@yahoo.com
아프리카
2nd Southern African Geotechnical Conference
- Date: May 28-30, 2025
- Venue: Durban, South Africa
- Website: https://www.sagc2025.co.za/
- E-mail: info@selahproductions.co.za2026
유럽
15th International Conference "Modern Building Materials, Structures and Techniques"
- Date: May 12-15, 2026
- Venue: Lithuania, Vilnius
- E-mail: mbmst@vilniustech.lt
- Website: https://www.rilem.net/agenda/15th-international-conference-modern-building-materials-structures-and-techniques-1650
8th International Young Geotechnical Engineers Conference
- Date: June 11-14, 2026
- Venue: Graz, Austria
- Website: https://iygec2026.tugraz.at
- E-mail: iygec2026@tugraz.at
2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Geotechnical Engineering
- Date: June 14-19, 2026
- Venue: Vienna, Austria
- Website: https://www.icsmge2026.org/en/
- E-mail: helmut.schweiger@tugraz.a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s and Innovations in Soft Soil Engineering 2026
- Date: August 24-26, 2026
- Venue: Delft, Netherlands
- Website: TBA
- E-mail: s.muraro@tudelft.nl
CREST 2026
- Date: September 7-8, 2026
- Venue: United Kingdom, Cambridge
- Website: https://engage-events.ifm.eng.cam.ac.uk/IC-CREST2026
Four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Geotechnical Engineering for the Preservation of Monuments and Historic Sites
- Date: September 16-18, 2026
- Venue: Athens, Greece
- Website: https://tc301-athens.com
- E-mail: secretary@tc301-athens.com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Technology in Geo-Engineering
- Date: October 13-16, 2026
- Venue: Oslo, Norway
- Website: will be updated later
- E-mail: georg.erharter@ngi.no
아시아
2026 SOUTHEAST ASIAN GEOTECHNICAL CONFERENCE
- Date: January 28-30, 2026
- Venue: Philippines, Taguig
- Website: https://pssmge.org/
- E-mail: seagc.agssea@2026@gmail.com
Pan Mediterranean Geotechnical Engineering Conference
- Date: March 25-28, 2026
- Venue: Beirut, Lebanon
- Website: http://pmgec-leb.com/
- E-mail: contact@pmgec-leb.com
12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Field Monitoring in Geomechanics 2026
- Date: August 06-10, 2026
- Venue: Indore, India
- Website: https://isfmg2026.com/
- E-mail: convener@isfmg2026.com
오세아니아
Landslide Geo-Education and Risk(LaGER) 2026 - JTC1 & JTC3 workshop
- Date: April 28-May 01, 2026
- Venue: Queenstown, New Zealand
- Website: http://landsliderisk.nz/
- E-mail: ross.roberts@gmail.com
해외매거진 소개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ume 151, Issue 4 (April 2025) / https://ascelibrary.org/toc/jggefk/151/4

목차
Technical Papers
Axial and Circumferential Behavior of Rock-Socketed FRP-SSC Composite Piles Monitored by Distributed Optical Fiber Sensors
Numan Malik, Wen-Bo Chen, Pei-Chen Wu, Ze-Jian Chen, and Jian-Hua Yin
Hydraulic Fracturing and Self-Healing Behavior in Compacted Bentonite: Insights from Visualization Experiments
Kun-Peng Li, Yong-Gui Chen, Yu-Cheng Li, Wei-Min Ye, and Qiong Wang
Load Transfer Mechanism Variations of Bored Piles in Collapsible Loess Subjected to Water Infiltration
Yunlong Liu, Yingao Zhao, Jingwei Zhang, Bantayehu Uba Uge, Zibo Du, and Wen Nie
Stress-Based CPTu Cyclic Liquefaction Triggering Procedures: Improvements from a State Parameter Approach
Vicente San Martin, Gonzalo Montalva, and Fernando Schnaid
Shake-Table Test Study of Dynamic Response of Soil-Pile Interaction System in Seasonally Frozen Soil Regions
Xiyin Zhang, Xuhao Lv, Zihan Qin, Senhu Zuo, Wanping Wang, Qian Luo, and Li Wang
Penetration Lengths of Agar Gum and Gellan Gum Used for Injection Grouting into Porous Media at Different Pressures
Minyatul Falihah, Seokgu Gang, Jae-Eun Ryou, Won-Taek Hong, and Jongwon Jung
Robust Geotechnical Design of Piles Incorporating System Reliability
Zening Zhao, Wei Duan, Guojun Cai, Limin Zhang, Haifeng Zou, and Songyu Liu
Threshold of Cyclic Phenomena
Vedran Pavli´c and Tomislav Ivsi´c
Seismic Active Earth Pressure of Granular Soils Considering Inhomogeneous Wave Velocities under Harmonic Excitation
G. Gowtham and Jagdish Prasad Sahoo
An Improved CRR-Vs1 Characterization Model for Sand-Like Gravelly Soils Validated by Dynamic Centrifuge Tests
Peng Xia, Yan-Guo Zhou, and Yun-Min Chen
Mechanical Response of Lightly Cemented Sands under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Principal Stress Axes
Marina Bellaver Corte, Erdin Ibraim, Lucas Festugato, Andrea Diambra, and Nilo Cesar Consoli
Estimation of Timing of Liquefaction Using Spectral Energy Ratio
Kil-Wan Ko, Robert E. Kayen, and Chukwuebuka C. Nweke
Performance of Various Geosynthetic-Reinforced Embankment and Foundation Systems Subjected to Reverse Fault Movement
Jung Chiang, Chun-Wei Wu, Kuo-Hsin Yang, Yuan-Chun Chung, and B. V. S. Viswanadham
Case Studies
Field Investigation of Deflection Characteristics and Control Strategies of a Short Floating Pile Adjacent to Deep Excavation
Gang Zheng, Jianyou Huang, Yu Diao, Yutao Yan, Chenlei Jiao, Lingzhu Zhang, Jianwei Jia, and Jun Peng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ume 151, Issue 5 (May 2025) / https://ascelibrary.org/toc/jggefk/151/5

목차
Technical Breakthrough Abstract
Géotechnique
Volume 75, Issue 3 (March 2025) / https://www.icevirtuallibrary.com/toc/jgeot/75/3

목차
Research Articles
Effects of vegetation growth on soil microstructure and hydro-mechanical behaviour
Alessandro Fraccica, Enrique Romero, Thierry Fourcaud
Coupled hydromechanical modelling of cone penetration in layered liquefiable soils
Katia Boschi, Marcos Arroyo, Lluis Monforte, Josep Maria Carbonell, Antonio Gens
A comprehensive numerical investigation of multi-scale particle shape effects on small-strain stiffness of sands
Jia-Yan Nie, Yifei Cui, Guodong Wang, Rui Wang, Ningning Zhang, Lei Zhang, Zhijun Wu
Hysteretic water-retention behaviour of unsaturated hydrophobised soils
Zheng Zhou, Ali Akbar Karimzadeh, Anthony Kwan Leung, Sum Yin Fok
An experimental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ageing of shaft friction on steel displacement piles in sand
Eduardo M. Bittar, Barry M. Lehane
Causes of the high friction angle of diatomaceous soil: microscale and nanoscale insights
Xianwei Zhang, Xinyu Liu, Gang Wang, Yiqing Xu, Haodong Gao
A micromechanical model for estimating the shear modulus and damping ratio of loose sands under low stresses: application to a Mars regolith simulant
Bernardo Caicedo, M. J. Chaparro, J. P. Castillo Betancourt, M. A. Cabrera, P. Delage, PH. LognonnE, B. Banerdt
A fracture-based discrete model for simulating creep in quartz sands
Jiangtao Lei, Marcos Arroyo, Matteo O. Ciantia, Ningning Zhang
Progressive internal erosion during triaxial shearing: an X-ray micro-computed tomography study
Zhangqi Xia, Jianfeng Wang, Zhiren Zhu, Wei Hu, Saoirse Tracy, Budi Zhao
A closed-form criterion to identify high-mobility flowslides
Yanni Chen, Giuseppe Buscarnera
Géotechnique
Volume 75, Issue 4 (April 2025) / https://www.icevirtuallibrary.com/toc/jgeot/75/4

목차
Research Articles
Reducing shallow foundation rotation due to reverse faulting using predefined shear planes
Mohammad Hassan Baziar, Mir Mahdi Rashedi, Alireza Saeedi Azizkandi
Cyclic liquefaction in transitional and non-transitional tailings
Abigail Cartwright, Matthew Coop, Li Wei, Andy Fourie
A microstructural insight into the compression behaviour of scaly clays
Matteo Pedrotti, Alessandro Tarantino, Antonio Annese, Federica Cotecchia, Claudia Vitone
Effects of embedded walls on tunnelling-induced sandy ground displacements: a numerical investigation
Jingmin Xu, Luorui Zheng, Geyang Song, Dingwen Zhang, Brian Sheil, Alec M. Marshall
Backward erosion piping in geotechnical infrastructure: a rate process perspective
Zhijie Wang, Caglar Oskay, Alessandro Fascetti
Experimental study on the influence of cyclic loading frequency on liquefaction characteristics of saturated sand
Chengshun Xu, Chong Yue, Xiuli Du, Ke Liang, Bing Wang, Guoxing Chen
Mechanised deep tunnel excavation in saturated clayey soils: a pre-design hydro-mechanically coupled method for the assessment of both spoil and face volume loss
Luca Flessati, Claudio Di Prisco
Dynamic stress analysis of rock joints under railway loading
Marlisio Oliveira Cecilio Jr, Buddhima Indraratna, Cholachat Rujikiatkamjorn, Rakesh Sai Malisetty
Load transfer mechanisms for capped and uncapped non-displacement piles above tunnels: a centrifuge modelling study
Chuanjin Tang, Andrea Franza, Jingmin Xu, Alec M. Marshall
Undrained three-dimensional behaviour of soft clay under horizontal one-way and vertical two-way cyclic loading
Hongxu Jin, Zhen Huang, Kang Yao, LI Shi, Yuanqiang Cai
How particle shape affects the critical state, triggering of instability and dilatancy of granular materials - results from a DEM study
Hoang Bao Khoi Nguyen, MD. Mizanur Rahman, Andy B. Fourie, Zenon Szypcio, Katarzyna Dołzyk-Szypcio
International Journal of Rock Mechanics and Mining Sciences
Volume 187 (March 2025) /
/ https://www.sciencedirect.com/journal/international-journal-of-rock-mechanics-and-mining-sciences/vol/187/suppl/C

목차
Research Articles
Automatic extrac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from complex fractures on rock surfaces via deep learning
Mingze Li, Ming Chen, Wenbo Lu, Peng Yan, Zhanzhi Tan
New insights into the continuous-discontinuous failure characteristics of granite under Brazilian splitting test conditions using acousto-optic-mechanical (AOM) method
Zhen Heng, Tao Xu, Heinz Konietzky, Wancheng Zhu, P.G. Ranjith
Predicting three-dimensional roughness of rock discontinuity based on limited outcrop information during tunnel construction
Qi Zhang, Yuechao Pei, Hehua Zhu, Xiaojun Li, Fenghe Guo, Yixin Shen
Phase-field simulation of CO2 fracturing crack propagation in thermo-poroelastic media
Changbao Jiang, Chen Jing, Hailiang Wang, Liang Wang, Liqiang Zhang
Tensile fracture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al fracturing mechanism of 2D blasting: Experimental investigation and theoretical modelling
Shan Guo, Manchao He, Quan Zhang, Yulong Shao, Chao Wang, Jianning Liu
Short communication
Stress-dependent permeability in sedimentary rocks: A fractal model based on poroelastic compressibilities
Santiago G. Solazzi, Guido Panizza, Dario G. Robledo, Esteban A. Domene, Emilio Camilion
International Journal of Rock Mechanics and Mining Sciences
Volume 188 (April 2025) /
/ https://www.sciencedirect.com/journal/international-journal-of-rock-mechanics-and-mining-sciences/vol/188/suppl/C

목차
Research Articles
Influence of thin spray-on layer (TSL) wrapping support on the spalling failure characteristics of sandstone
Shiming Wang, Yunfan Bai, Wentao Long, Qiuhong Wu, Chuanqi Li, Jian Zhou
Mesomechanical weakening mechanism of coal modified by nanofluids with disparately sized SiO2 nanoparticles
Quanle Zou, Tengfei Ma, Jinyan Liang, Bochao Xu, Qican Ran
A real-time rock mass class identification model of the tunnel face based on TBM tunneling and the corresponding muck characteristic parameters
Liu Huang, Qiuming Gong, Ju Wang, Hongsu Ma, Xiaoxiong Zhou, Hongjiao Song
Creating multidirectional fractures through particle jamming
Yusuke Mukuhira, Ryota Goto, Noriaki Watanabe, Kazumasa Sueyoshi, Kohei Takuma, Rongchang Zhang, Tongfei Tian, Vladimir Sokolovski, Makoto Naoi, Yuko Arai, Takaaki Tomai, Masaoki Uno, Takatoshi Ito
Experimental insights into coupled hydraulic, mechanical, and electrical behaviors of granite fractures: Implications for indirect estimation of crustal permeability changes
Takuya Ishibashi, Yusuke Yamaya, Hiroshi Asanuma
Crack aperture and hydraulic conductivity tensors for cracked crystalline rock masses
Masanobu Oda, Takato Takemura, Kenichiro Suzuki
Water retention behavior of a gas shale: Wettability-controlled water saturation and anisotropic hydromechanical response
Jinwoo Kim, Alessio Ferrari, Russell Ewy, Lyesse Laloui
Theoretical and numerical investigation of damage zones in deep tunnels within a layered rock mass under full-face blasting
Yu Lu, Ben-Guo He, Hong-Pu Li, Qi Li, Chong Ren
Simulation of time-dependent response of jointed rock masses using the 3D DEM-DFN modeling approach
Mingzheng Wang, Ming Cai
Heterogeneous mechanical and sorption characteristics induced interaction among different components in coal: Experiment and simulation
Farui Shi, Heping Xie, Minghui Li, Bozhi Deng, Delei Shang, Jun Lu
Tunnel face rock mass class identification based on multi-domain feature extraction and selection of TBM cutterhead vibration signals
Qisheng Tang, Qiuming Gong, Yangyang Liu, Mila Guli, Alemasi Bieke, Shaoqiang Liu
Influence of roughness and slip velocity on the evolution of frictional strength
Quan Gan, Xinyuan Zhang, Qiang Li, Jianye Chen, Fengshou Zhang, Zhen Zhong, Yunzhong Jia, Pengliang Yu, Mengke An, Derek Elsworth
Inferring fracture dilation and shear slip from surface deformation utilising trained surrogate models
Saeed Salimzadeh, Dane Kasperczyk, Mohammad Sayyafzadeh, Teeratorn Kadeethum
Quantifying the progressive development of breakouts initiated from pre-existing fractures: Implications for local stress heterogeneity
Shihuai Zhang, Lintong Jiang, Haimeng Shen, Xianghui Qin, Xingguang Zhao
Soils and Foundations
Volume 65, Issue 1 (February 2025)
/ https://www.sciencedirect.com/journal/soils-and-foundations/vol/65/issue/1

목차
Technical Paper
Mechanical properties and microscopic research of different types of bentonite in conjunction with cement and fine sand
Zheyuan Feng, Zhibo Zhang, Qiang Tang, Yu Zhou
Robust optimization of stabilizing piles for landslides composed of soil-rock mixtures
Yang Yu, Songlin Liu, Qing Lü
Seismic performance of bridge pier integrated by multiple steel pipes with directly-connected piles using soil-water coupled three-dimensional elasto-plastic finite element analysis
Muhammad Mahmood Ul Hassan, Koichi Isobe, Yasumasa Soga, Yasuo Sawamura, Hiroki Sugiyama, Masatsugu Shinohara
Effect of deep mixed column pattern on the performance of basal reinforced embankment resting on soft soil
Sujata Fulambarkar, Bappaditya Manna, J.T. Shahu
Resistance factors for design of square foundations on 3D cohesive soils against bearing capacity failure
Yongbo Gan, Yajun Li, Honghu Zhu, Bin Zhang
A mixed total Lagrangian-updated Lagrangian Smoothed Particle Hydrodynamics method for geomechanics simulations with discontinuities
Daniel S. Morikawa, Mitsuteru Asai
Prediction of hydraulic gradient for backward erosion piping in river levees considering flow regime and pipe geometry
Mitsu Okamura, Nene Kusube
Influence of the soil-structure interface on seepage characteristics in uniformly-grained soils: Microscopical insights from transparent soil experiments
Guo Yu, Ying Cui, Lei He, Yubo Li, Huaiping Feng
Special Issue on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arthquake Geotechnical Engineering
Mesoscopic mechanism behind the inherent reliquefaction resistance subjected to repeated earthquakes using centrifuge modelling and advanced digital image processing
Gowtham Padmanabhan, Bal Krishna Maheshwari, Kyohei Ueda, Ryosuke Uzuoka
Centrifuge model tests on suffusion-induced deterioration and its consequences in seismic response of levees
Akihiro Takahashi, Tamaki Inoue, Saki Yamagata, Kazuki Horikoshi
조영규
경북대학교
(youngkyu@knu.ac.kr)
논문집 개요 소개
논문집 개요 소개 | 2025년 4월 제 41권 2호
폐내화물을 포함한 산업 부산물 기반 저강도 유동화 채움재(CLSM)의 공학적 특성 평가
윤보영 (정회원, 고려대학교 미래건설환경융합연구소 연구교수)
고범준 (비회원, 전남대학교 토목공학과 학부연구생)
박경태 (비회원, 전남대학교 토목공학과 학부연구생)
이창호 (정회원, 전남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changho@jnu.ac.kr)
본 연구에서는 비회(Fly ash, FA) 기반 저강도 유동화 채움재(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 CLSM)의 골재로서 폐내화물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분쇄된 내화벽돌(Crushed refractory brick, CB)을 사용하였으며, CB와 FA의 배합비를 달리하며 CB의 수화반응 억제를 위해 제지산업의 부산물인 리그노설포네이트(Lignosulfonate, LS)를 첨가하여 CLSM을 제조하였고, 제령일에 따른 일축압축강도(qucs), 함수비, 부피변화율과 단위중량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CB함량이 증가할수록 유동성, qucs, 단위중량이 증가하였고, LS가 함유되면 더 높은 값을 갖는다. LS가 포함되지 않은 CLSM의 경우 적은 건조수축이 발생하였으며 특히 제령일 14일에서는 미비한 부피팽창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CB=25% 배합이 CLSM으로서 적절한 성능을 보이며, 추가적으로 LS없이 CB 함량 조절을 통해 CLSM의 부피변화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사질토 지반에서 부유식 해상풍력의 앵커성능 평가
이준호 (비회원, ㈜딥 앵커 솔루션즈 대표)
원조현 (비회원,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석사과정)
오태민 (정회원,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부교수, geotaemin@pusan.ac.kr)
Charles P. Aubeny (비회원, 텍사스 A&M 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교수)
Song Qin (비회원, 텍사스 A&M 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박사과정)
급격한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해상풍력은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에 필수적이다. 해상풍력 설치 부지의 수심이 증가함에 따라 기존의 고정식 기초 방식에서 부유식 앵커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부유식 해상풍력 기초는 점토에서 모래에 이르는 불균질한 지반에 시공된다. 이에 따라 지반 특성에 적합한 앵커의 선정 및 적용은 프로젝트의 비용 및 시공 기간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울산 해상 풍력 부지를 대상으로 사질토 지반에 적용 가능한 링 앵커(DERA), 석션 케이슨, 중력식 앵커로 나누어 설계를 수행하였다. 지반의 내부마찰각 및 관입깊이에 따라 해양기초의 효율성을 비교 분석하고 최적 설계값을 제시하였다. 또한 현장상황을 가정하여 앵커설치 및 운반효율성을 추가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해양기초에 필요 지지력 확보를 위해 요구되는 물리적 특성 추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중 기온 변동이 상시미동 HVSR 곡선에 미치는 영향 사례 연구
안지웅 (정회원, 국립경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석사과정)
김재현 (정회원, 강원대학교 토목공학과 조교수)
조형익 (정회원, 국립경국대학교 건설환경건축공학부 조교수, hicho@gknu.ac.kr)
연중 기온 변동이 상시미동 기반 수평-수직 스펙트럼 비율(horizontal-to-vertical spectral ratio, HVSR) 곡선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지진관측소에서 수집된 상시미동 관측자료와 기상 정보를 활용한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강원도 세 곳의 상시 지진관측소에서 매주 관측된 1시간 상시미동 관측자료의 HVSR 곡선의 정곡점 주파수와 최대 진폭 변화를 분석한 결과, 동결기간 HVSR 곡선의 정곡점 주파수와 최대 진폭은 비동결기간의 수치와는 다른 값으로 변동하는 경향을 보였다. 더불어 저수지 인근 관측소에서는 저수율 변동이 HVSR 곡선의 특성 변화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확인되었으며, 강수량을 고려한 사례 분석에서는 강우 시 정곡점 주파수와 최대 진폭이 증가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는 계절적 환경 변화, 특히 기온 변동에 따른 지반의 동결-해빙 과정이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므로, HVSR 기법을 활용한 지반 특성 평가 시 계절적 환경 변화를 고려한 보정 절차가 개발이 추가로 요구된다.
영문논문집 개요 소개
Investigating the role of geological strength index and susceptible zones in landslide triggering mechanisms from Chukyatan-Kumrat road, Dir Upper, Pakistan
Ihtisham Islam1,2, Waqas Ahmed1 and Salman Ahmed Khattak 3, 4, 5
1 National Centre of Excellence in Geology, University of Peshawar, Peshawar 25130, Pakistan
2 Department of Geology, Shaheed Benazir Bhutto University, Sheringal Dir Upper, Peshawar 18050, Pakistan
3 State Key Laboratory for Critical Mineral Research and Exploration, Institute of Geochemistry, Chinese Academy of Sciences, Guiyang 550081, China
4 University of Chinese Academy of Sciences, Beijing 100049, China
5 Department of Earth Sciences, The University of Haripur, Haripur 22620, KP, Pakistan
*Correspondence: salman@mail.gyig.ac.cn
This study presents a comprehensive investigation of landslide susceptibility along the 83.5-km Chukyatan-Kumrat road, Upper Dir, North Pakistan. Despite its critical role in transportation and tourism, the region faces recurrent landslides due to hydrometeorological hazards, posing significant threats to stability. Employing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his study integrates the geological strength index (GSI) calculated from joint analysis of bedrock and landslide susceptibility index (LSI) analysis to understand the complex interactions underlying landslide occurrences. The study area contains a variety of rock formations, including metavolcanic, andesite, metarhyolite, igneous rocks, volcanic limestones, granodiorites, and spotted slates, which are overlain by remnant soils. Utilizing the landslide susceptibility index (LSI) map developed via the frequency ratio technique, regions proximal to road cuts, fault lines, and mineralogically altered and sheared lithology are identified as highly susceptible to future sliding events. GSI and rock mass rating (RMR) analyses catego-rized jointed bed rocks into relatively stable (zones 1 and 2; GSI 66-59, RMR classes II and III) and sheared and altered (zones 3 and 4; GSI 37-15, RMR class IV) segments, highlighting their differing susceptibilities. These zones have a moderately to highly weathered, slicken-sided jointed structure that allows rainwater and snow to infiltrate. The alteration mechanism of minerals such as chlorite, biotite, amphibole and alkali feldspar, as well as the influence of freeze-thaw cycles and precipitation on the pores and joints of bedrock, further weaken the rock, and there is a serious risk of landslide.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natural disaster mitigation and preparedness measures in the Chukyatan-Kumrat region.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sights for mapping landslide vulnerability in similar geological settings.
Soil improvement in Qom City under the influence of montmorillonite nanoclay
Ali Madadi1, Hamid Reza Saba1**, Mahmoud Reza Shahverdi1 and Reza Irani1
1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Tafresh University, Tafresh 39518-79611, Iran
*Correspondence: hr.saba@tafreshu.ac.ir
Improving problematic soils using economical and appropriate methods is a major focus in geotechnical research. Recently, nanoparticles such as nanoclay have gained attention as a cost-effective and eco-friendly solution for enhancing soil quality. Nanoclay’s high specific surface area and ion exchange capacity make it economically viable, while its environmental friendliness comes from its derivation from bentonite minerals. This case study aims to improve a local sandy soil with low shear strength in an earthquake-prone region south of Qom City, Iran. The study uses nanoclay stabilization and compares its effectiveness on improving the local soil under both static and dynamic loading conditions, providing a novel approach. Thus, a series of direct shear and simple shear tests were performed to accomplish this specified task. After adding nanoclay to the soil, the sandy soil pores were filled with a cohesive mixture, increasing its agglomeration, which ultimately led to the following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incorporating nanoclay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ohesion (c) value by an average of 12 times and raised the internal friction angle (Φ) by 15% compared to the untreated soil. Furthermore, the shear modulus (G) increased 1.4 times on average, while the damping ratio (D) decreased by 25% relative to the original soil. Overall, the use of montmorillonite nanoclay proved to be highly effective in enhancing the strength of non-cohesive sandy soils, especially under static loading. Additionally, the method of stabilizing soil with nanoclay was found to be economical for improving its strength in both static and dynamic conditions.
Pullout and oblique pullout resistance of enlarged base piles in geogrid reinforced sand
K. V. S. B. Raju1 and V. Lakshmi 1*
1 Department of CivilEngineering, UVCE, Bangalore, Karnataka, India
*Correspondence: lachuvenkatesh6760@gmail.com
In the present investigation an attempt is made to study the axial and oblique pull-out capacity of monopile and belled pile embedded in geogrid reinforced sand beds by conducting tests on model piles. A model tank of size 1.2mX0.75mX1.5 m is used to study the behaviour of an aluminium model pile under axial and oblique pull-out loads in geogrid reinforced sand bed of relative density 30%. A compara-tive study was made between monopile and belled piles by varying parameters such as embedment ratios (L/Ds) of 5, 7.5, and 10 respectively and diameter ratios (Db/Ds) of 1.5 & 2 with bell angles of 30°, 45°, and 60° under axial and oblique inclina-tion angle of 30˚& 45˚.The use of the optimum size of the geogrid reinforcement placed at the bottom of the short pile and at a spacing of 4.5Ds from top in case of intermediate and long pile significantly enhanced the pullout and oblique pullout capacities of both monopile and belled piles. In the case of a monopile, the pull-out capacity increases with an increase in the load inclination angle from 0˚ to 45°, whereas in the case of the belled pile, the pullout capacity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load inclination angle. A non-dimensional parameter called the Uplift Improve-ment Ratio was evaluated, an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efficiency of the geogrid reinforcement was independent of the load inclination, bell angle, Db/Ds ratio, and L/Ds ratio when the optimum size of the geogrid was placed at optimum position of the belled pile founda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obtained breakout factor increases with an increase in the L/Ds ratio and load inclination angle but the influ-ence of the bell angle on the breakout factor was found to be marginal. The obtained values of the breakout factor were compared with the existing limit equilibrium theory, and it was found that the results of the breakout factor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Meyerhof and Adam theory for both unreinforced and geogrid-reinforced sand beds.
국내·외 신간도서 안내

비탈 지반 안정
최신 이론과 실무를 모두 담은 비탈지반 안정성 해석의 결정판!지반공학 분야에서 필수적으로 다루는 비탈지반의 안정성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중요이론과 실무를 종합한 책이 출간되었다. 이 책은 비탈지반 안정성을 해석하는 원리와 적용 방법에 대해 전통적인 해석 방법부터 최신 이론까지 전부 망라하여 폭넓게 다루었다.특히, 운동요소법과 극한해석 이론의 심도 있는 분석적용을 통해 비탈지반의 안정성을 보다 정밀하게 해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론적으로는 극한평형법, 극한해석 상한법, 극한해석 하한법을 다루었으며, 이들 이론들을 운동요소법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포괄한 통합 절편법의 적용방안을 제시하고 있다.이 책의 주요 특징은 통합 절편법에 최적화 방법을 접목하여 수치해석기법을 통해 정밀해석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어서 과거에 해결이 어려웠던 복잡한 지반 문제에 대해 새로운 해결책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또한, 한계상태 설계법을 적용한 유로코드 기준에 따른 비탈지반의 안정성 평가 방법을 제시하여, 실무자들이 한계상태 설계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다수의 예제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다.이 책은 비탈지반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데 필요한 기존의 및 새로운 기술적 지식을 담고 있으며, 최근 실무에 적용되기 시작한 한계상태 설계법 및 그 적용방법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지반공학 전문가들에게 필독 참고서가 될 것이다.
저자 : 이상덕 | 출판사 : (주)에이퍼브프레스 | 발행일 : 2024년 10월 15일 | 면수 : 316쪽(188*257) | 정가 : 30,000원
회원동정
2025년 4월 신규가입자
12850, 김명수, 정회원, ㈜에이스이엔지 지반설계본부 과장
12851, 김해원, 종신회원,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석사과정
12852, 김현래, 종신회원,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과 연구원
12853, 김현중, 정회원, 명지대학교 하이브리드구조실험센터 연구교수
12854, 박원일, 종신회원, ㈜동인개발 대표
12855, 유현우, 정회원, 한국교통대학교 철도시설융합학과 박사과정
12856, 이성규, 종신회원, 진솔건설주식회사 대표이사
12857, 이주호, 종신회원,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석사과정
12858, 이준표, 종신회원, ㈜대웅컨설턴트 부사장
12859, 정충모, 종신회원, 해림기술단 지반사업부 전무
12860, 최준헌, 종신회원, 한양대학교 지반시스템연구실 석사과정
12861, 권순구, 종신회원, ㈜해천 건설사업본부 부장
12862, 김수영, 정회원,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2863, 김영민, 정회원,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석사과정
12864, 김정연, 정회원, HL디앤아이한라 인프라영업팀 부장
12865, 김종언, 종신회원, 에이티엘피㈜ 대표이
12866, 김중호, 정회원, ㈜아주엔지니어링 토목사업부 팀장
12867, 박주성, 정회원, 인하대학교 스마트시티공학과 석사과정
12868, 신형주, 정회원, ㈜신성엔지니어링 지반사업본부 사원
12869, 안지웅, 정회원, 국립경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2870, 윤동근, 정회원,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석사과정
12871, 이명환, 종신회원,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
12872, 이유진, 정회원, ㈜태영건설 토목영업팀 부장
12873, 이주형, 정회원, HJ중공업 토목영업팀 차장
12874, 이준서, 정회원, 강릉원주대학교 스마트인프라방재학과 석사과정
12875, 이지훈, 정회원, 강릉원주대학교 스마트인프라방재학과 석사과정
12876, 전진우, 정회원,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석사과정
12877, 천범일, 정회원, ㈜한일엔지니어링 지반부 차장
12878, 최 봉, 종신회원, 계룡건설산업 토목부 차장
12879, 황제환, 정회원, 강원대학교 토목공학과 대학원생
총 30명(정회원 18명/종신회원 12명)
학생회원
111245, 김민정, 학생회원,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GEO-DP 지반방재 연구실 학부생
111246, 박준서, 학생회원, 명지대학교 건설환경공학전공 학부생
111247, 서동하, 학생회원, 명지대학교 건설환경공학 학부연구생
111248, 이승현, 학생회원, 건국대학교 소방방재융합학과 학부생
111249, 이원형, 학생회원, 명지대학교 건설환경전공 학부연구생
111250, 임진석, 학생회원, 명지대학교 지반공학연구실 연구원
111251, 장동진, 학생회원, 건국대학교 소방방재융합학과 학부생
승급회원(학생회원 → 정회원)
12880, 길성진, 정회원, 명지대학교 토목환경공학 석사과정
12881, 김무건, 정회원, 명지대학교 지반공학연구실 석사과정
12882, 김윤진, 정회원, 명지대학교 지반공학연구실 석사과정
12883, 임진우, 정회원, 명지대학교 지반공학연구실 석사과정

21대 지반공학회 학회지의 첫 호가 마무리되었습니다. 신임 회장님의 ‘권두언’, 정경환 교수님의 ‘특별 테마’, 한국도로공사 및 (주)건일과 롯데건설에서 투고해 주신 두 편의 ‘기술 기사’, 2025년 김수일 기념상 및 임병조 기념상 수상자 분들의 소감과 KGS-HKGES 워크샵 참가후기로 이루어진 네 편의 ‘흙, 돌 그리고 나’, 원종묵 교수님의 ‘젊은지반공학자’, 그리고 2025년 봄학술발표회 후기 등 그 어느 때보다 다채롭고 풍성한 기사로 21대 첫 호를 시작할 수 있었습니다. 원고를 보내주신 회원 여러분과 이번 호를 담당한 편집위에게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이번 호를 기점으로, 학회지가 전통적으로 수행해 온 정보 공유 기능에 더해, 회원 간 소통 기능을 강화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새로운 지면으로 ‘Q&A’ 코너를 마련하였습니다. Q&A를 통해 학회지가 회원들 간 지식과 경험을 나누는 소통 창구로 거듭나기를 기대합니다. 아울러 ‘여행스케치’ 코너를 통해 회원들이 작성한 다양한 여행 경험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많은 투고 및 관심 부탁드립니다. 또한 이번 호에는 포함되지 않았으나, '학생기자단' 지면을 새로 신설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학생 회원들의 시선으로 바라본 지반공학 이야기를 소개할 예정입니다.
학회지의 원고는 회원 여러분이 함께 만들어갑니다. 앞으로도 유용하고 흥미로운 기사로 회원들과 소통하는 학회지가 되기를 소망합니다. 유익한 정보나 즐거운 소식이 있다면 언제든 학회지를 통해 공유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곽동엽
21대 편집위원회 위원장
한양대학교 에리카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