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한국지반공학회 가을학술발표회를 마치고
지난 9월 19일(금),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개최된 2025년 한국지반공학회 가을학술발표회가 회원 여러분의 높은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 속에 성공적으로 막을 내렸습니다. 총 410여 명의 회원이 등록하고, 14개 전문 세션을 비롯한 다양한 프로그램에서 130편이 넘는 연구 성과가 발표되는 등, 지반공학계의 학문적 열기와 활발한 교류를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바쁜 일정에도 귀한 시간을 내어 자리를 빛내주신 모든 회원 여러분과, 행사를 준비하고 지원해주신 관계자 및 회원사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이번 학술발표회는 지반공학의 학문적 진보를 넘어, 우리 학회가 우리 사회의 당면 과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기여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표명한 자리였다는 점에서 특히 의미가 깊습니다. 최근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는 지반 침하 및 재난 발생 문제의 시의성을 반영하여, 재난 대응 TF 세션을 새롭게 신설하고 지반 재난에 대한 전문적인 논의를 심도 있게 진행하였습니다. 이는 지반공학이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함을 학술적으로 천명한 중요한 발걸음이었습니다.학회의 국제적 위상 제고를 위한 노력도 결실을 맺었습니다. 이번 발표회에서는 우리 학회 국제 학술지인 IJGE(International Journal of Geo-Engineering)의 발전을 기념하여 신설된 IJGE-Springer Award의 첫 번째 수상자가 발표되었습니다. 이는 연구자들의 국제적 학술 활동을 고무하고 학술지의 질적 성장을 견인할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입니다. 아울러, 초청 강연을 통해 지반공학의 최신 연구 성과와 기술 동향을 심도 있게 공유하였습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장인성 박사의 스마트 해양장비 적용 동향 발표, 미국 조지아 공과대학 Carlos Santamarina 교수의 교통 인프라의 다중 물리적 반복 하중에 따른 지반 손상 연구에 대한 발표, 그리고 충북대학교 정종원 교수의 친환경 주입형 그라우팅 기술 소개 발표는 참석자들에게 깊은 학술적 통찰을 제공했습니다.
초청 강연 외에도 지반-IT 융합, 신뢰성기반 한계상태 설계법, 터널 및 암반 지질 등 다양한 전문 세션에서 학문적 깊이와 실무적 적용 가능성을 동시에 갖춘 활발한 토론이 이어졌습니다. 또한, 학생 세션에서의 참신하고 도전적인 연구 발표는 지반공학의 밝은 미래를 확인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이번 학술발표회는 학문 교류뿐만 아니라 회원들 간의 친목을 다지는 중요한 교류의 장으로서, 학계와 산업계가 상생하며 지반공학의 발전을 모색하는 선순환적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이번 발표회에서 논의된 첨단 연구 성과와 재난 대응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가 지반 안전의 미래를 선도하는 학문 공동체로써 한국지반공학회가 나아갈 길을 보여준 의미 있는 시간이 되었기를 기원합니다. 2026년 봄학술발표회는 서울에서 개최됩니다. 회원 여러분들의 변함없는 관심과 활발한 학술 활동을 부탁드리며, 앞으로도 저희 학회는 더욱 더 발전해 나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5년 가을학술발표회 세션별 후기
[지반IT융합&지반굴착 기술위원회] 도심지 굴착과 스마트 기술
좌장: 김태식 교수(홍익대학교)
2025년 가을학술발표회는 지반IT융합기술위원회와 지반굴착기술위원회가 공동으로 “도심지 굴착과 스마트 기술”이라는 주제로 전문세션을 개최하였다. 강연자와 발표제목은 아래와 같다.
1. GIS를 이용한 서울시 지하시설물의 공간적 특성 분석(서울기술연구원 박민철)
2. 서울시 지반침하 추정을 위한 3차원 지반특성지도 연구(정택규 서울대학교)
3. PLAXIS3D API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모델러 GSM 프로그램 개발(최창면 ㈜지에스이앤씨)
4. 도심지 굴착에서 다중센서 무인이동체를 활용한 스마트 지반침하 모니터링(정영훈 경희대학교)
5. 컴퓨터 비전을 활용한 깊은 굴착 현장 주변 침하 모니터링 기법(김태식 홍익대학교)
6. 고속도로 지반시설물의 BIM 기반 유지관리 체계 구축 방향(김경석 한국도로공사)
7. 보강토옹벽 붕괴원인 및 현장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고명상 명동엔지니어링)
도심지 굴착과 관련하여 다양한 문제들이 야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세션의 발표 내용을 1) 서울시와 같은 큰 규모에서 바라보는 연구내용, 2) 굴착에서 발생하는 현실적인 문제를 바라보는 연구내용, 3) 첨단 기술을 이용한 접근 방법 등으로 구성하였다. 더불어, 문제가 발생한 사례의 원인을 짚어보는 내용과 유지관리에 대한 내용까지 포괄적으로 다루었다.
이번 가을 학술발표회에서 두 기술위원회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전문세션을 통해 굴착과 관련한 다양한 지반공학 문제에 대해서 새로운 내용과 심도 깊은 내용을 이야기하는 시간을 보낼 수 있었다. 세션 개최를 위해 노력해주신 지반굴착 기술위원회 김정훈 위원장님, 학술발표 위원님들과 기술위 간사님, 발표자분들께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더불어, 자리를 가득 메워 주신 많은 분들께도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한국도로공사&터널, 암반·지질 기술위원회] 스마트기술 기반 도로 터널·비탈면 안정성 평가 및 모니터링
좌장: 정지희 책임연구원, 이강현 수석연구원(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한국도로공사, 터널기술위원회, 암반지질기술위원회가 합동으로 진행한 전문세션에서는 ‘스마트기술 기반 도로 터널·비탈면 안정성 평가 및 모니터링’ 주제로 총 5편의 논문이 발표되었습니다.
첫 번째 논문은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황범식 책임연구원이 GIS를 활용한 비탈면 붕괴 인자 분석 및 시각화 기법을 주제로 발표하였습니다. 비탈면 위험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인자들에 대한 GIS 기반 평가 방법을 제시하고, 시범 적용한 사례를 소개했습니다. 두 번째 논문은 한국도로공사 박정관 차장이 드론-LiDAR 기반 고속도로 비탈면 토석류 위험지역 조사 및 대책수립이라는 주제로, LiDAR 장착 드론을 활용하여 토석류 위험지역을 조사하고 대책시설을 설치한 사례를 소개했습니다. 세 번째 논문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박병석 수석연구원이 비탈면 모니터링 과거, 현재, 미래라는 주제로, 복합계측을 통한 비탈면 계측을 소개하였으며 향후 AI 기반 붕괴 예측 시스템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제언을 했습니다. 네 번째 논문은 고려대학교 황병현 박사과정이 친환경 첨가제 잔탄검의 토압식 쉴드 TBM 쏘일 컨디셔닝 적용성 평가를 주제로 발표하였으며, 기존 폴리머의 잔탄검 대체 가능성을 검토 사례를 소개했습니다. 다섯 번째 논문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철희 박사후 연구원이 터널 손상 시각화를 위한 영상-LiDAR 융합 3D 모델링 기법에 대해 발표하였습니다. LiDAR-영상 Fusion 3차원 모델을 활용한 터널 손상의 시계열 변화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하였습니다.
터널 및 암반지질 분야에서 최신 스마트 기술 적용 사례에 관한 내용들로 구성되어, 약 50명이라는 많은 인원이 참석하였으며 질의응답도 활발하게 진행되었습니다. 본업으로 바쁘신 와중에 시간을 내어 좋은 발표를 해주신 발표자분들에게 다시 한번 감사한 마음을 전하고 싶습니다.
[신뢰성기반한계상태설계법연구회&디지털위원회] 지반공학 산업 내 인공지능 활용 및 디지털 전환
좌장: 김현기 교수(국민대학교), 권태혁 교수(KAIST)
신뢰성기반 한계상태 설계법 연구회와 디지털 위원회는 이번 가을 학술발표회에서 '지반공학 산업 내 인공지능 활용 및 디지털 전환' 이란 주제로 위원회 전문세션을 운영하였습니다.
본 세션에서는 최근 지반공학 분야의 최대 화두인 디지털 기술과 인공지능(AI)의 활용 방안을 심도 깊게 논의하며 이론과 실제 적용의 균형을 맞추고자 하였습니다. 본 세션에는 총 4편의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지반공학분야에서 2편의 발표, 지반공학 외의 분야에서 2편의 발표로 구성하였고, 다양한 연구자들이 인공지능과 디지털 전환이 지반공학을 포함한 일반적 공학 분야에 가져올 혁신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첫 번째 발표는 한진태 선임연구위원(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액상화 발생가능 지수의 AI 모델링: 지반응답해석 데이터 적용 사례'였습니다. 다음으로 외부 초청강연자로써 KAIST 기계공학과의 유승화 교수가 '극히 제한된 데이터로부터 물성식을 규명하기 위한 물리정보 신경망 기반 초탄성 구성모델 발견'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이어서 심승보 수석연구원(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생성형 AI를 활용한 터널 균열 탐지의 도메인 적응 자가 지도 학습법'에 대해 발표하며 터널 안전 관리에 AI를 접목하는 기술을 보여주었습니다. 마지막으로 구조물 진단 분야의 윤형철 교수(충북대학교)가 '인공지능을 활용한 보도수교의 구조물 건전성 모니터링 기술 개발'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습니다.
위의 발표들을 통하여 공학 분야가 직면한 여러 난제들을 디지털 기술과 AI를 통해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실질적인 예시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기존의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접근을 시도하고, 이를 통해 안전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또한, 발표 이후 이어진 질의응답 시간은 발표자와 청중 간의 열띤 토론으로 이어져 세션의 깊이를 더했습니다.
발표 시간을 엄수하고자 하였으나, 각 연구의 중요성과 깊이 있는 토론의 필요성으로 인해 예정된 시간보다 다소 지연되었습니다. 이는 각 발표가 가진 학문적 중요성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늦은 시간까지 좋은 발표를 해준 발표자들과 열정적으로 경청하며 토론에 참여해주신 모든 청중들에게 다시 한번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참고로 내년 8월에는 ‘Future of Machine Learning on Geomechanics 2026’ 국제 학술대회(홈페이지 주소: www.fomlig2026.com)가 동국대학교에서 열릴 예정입니다. 해당 학회에서는 지반공학분야에서의 인공지능과 데이터 공학, 자동화, 로보틱스 등 첨단 기술의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여러 연구 및 활용사례가 발표될 예정이니 많은 국내 지반공학자들의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지역발전특별위원회] 지역별 현안 및 지역위원회 발전을 위한 제안
좌장: 송기일 교수(인하대학교)
이번 한국지반공학회 가을학술발표회 지역발전특별위원회 전문세션은 처음으로 열린 전문세션으로 각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지역발전특별위원회 회원이 한자리에 모여 소통할 수 있는 귀중한 시간이었다. 세션은 황영철 회장님의 모두발언으로 시작되었으며, 이어 각 지역 현안과 관련한 다양한 주제의 발표가 진행되었다.
경북대학교 조영규 교수님은 “동절기 상시미동 HVSR 곡선의 변화 특성 분석”을, 인하대학교 나선홍 교수님은 “국소 화학평형 기반 C-H-M 연계 프레임워크를 통한 지반 내 파괴 거동분석”을 주제로 발표하였다. 또한 인천대학교 박정희 교수님은 “해저연약지반조사를 위한 다중물리 콘 관입시험기”, 한국원자력연구원 이득환 박사님은 “온도 조건에 따른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팽윤압 변화 현상”, 강원대학교 김재현 교수님은 “소수화 처리된 사면에서 극한강우시 침투특성 평가”를 발표하였다. 특히 나선홍 교수님의 발표는 많은 질문과 토론을 이끌어내며 큰 관심을 모았다.
세션의 마무리는 미래혁신부회장이신 오세붕 교수님께서 발표자들에 대한 감사 인사와 함께 각 지역발전특별위원회 위원장을 소개하시며 진행되었다. 이번 학술발표회가 인천 송도에서 열리면서, 인천지역발전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제가 좌장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번 세션은 각 지역 현안과 관련한 기술 발전을 공유하고, 우리나라 지반공학 분야의 최고 권위자이신 교수님들과 연구자들의 연구 성과를 직접 들을 수 있는 값진 시간이었다. 예상보다 많은 회원들이 참여하여 풍성한 배움과 교류의 장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재난대응TF] 지반재해 대응 기술과 정책
좌장: 윤희정 교수(홍익대학교)
이번 가을 학술발표대회에서 오후 4시부터 5시 20분까지 80분간 “재난안전 TF” 전문세션이 진행되었습니다. 늦은 시간이라 참석자가 적을까 우려했으나, 황영철 회장님을 비롯한 많은 회원분들께서 끝까지 자리를 지켜주셔서 큰 힘이 되었습니다.
세션은 총 다섯 분의 발표로 구성되었습니다. 먼저 윤찬영 교수님은 실규모 실험을 통해 토석류와 대책 구조물 간의 상호작용을 정밀하게 분석한 결과를 공유해 주셨습니다. 큰 인명 피해를 일으켰던 우면산 산사태가 발생한 지 어느덧 14년이 지났는데, 지금은 과연 안전한가라는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 발표였습니다. 이어 권태혁 교수님께서는 인공위성과 항공 드론을 활용한 산사태 조사 기법을 소개하시며 원격탐사의 가능성을 잘 보여주었습니다. 특히 InSAR의 성공적 적용을 위해서 식생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에 공감이 갔습니다.
안재훈 교수님은 부산에서 발생한 사고 사례를 중심으로 지반함몰의 원인과 사례를 체계적으로 정리해 주셨습니다. 사고가 발생하는 실질적인 원인은 생각보다 사소한 것에 있다는 것을 알려준 뜻깊은 발표였습니다. 남부현 교수님께서는 InSAR 기법을 적용한 도심지 지반침하 사례 연구를 발표하시며 원격탐사의 실제 활용성을 강조하셨습니다. InSAR가 광역 지역 침하 탐지에 매우 유용한 기술이라는 점에서 더 큰 사회적 투자가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박민철 박사님께서는 서울시의 지하안전 확보를 위한 첨단기술 적용과 정책 방향에 대해 발표하시며 연구와 행정이 만나는 접점을 잘 보여주셨습니다. 서울시에 지하안전과가 신설되면서 어떠한 정책이 만들어지고 실현될지 궁금증과 기대가 남았습니다.
각 발표는 서로 다른 시각과 방법론을 다루고 있었지만 “지반재난을 어떻게 예측·분석·대응할 것인가”라는 큰 주제 아래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늦은 시간이었음에도 청중들의 집중력이 더욱 빛났고, 질의응답도 활발히 이어져 세션의 의미가 더욱 깊어졌습니다. 비록 좌장의 실수로 시간이 다소 초과되는 불상사가 있었으나, 회원분들의 양해 덕분에 끝까지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발표를 맡아주신 발표자분들, 그리고 끝까지 함께 해주신 모든 참석자분들게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일반세션1] 지반조사 및 지반굴착
좌장: 이준규 교수(서울시립대학교)
지반조사 및 지반굴착 세션에서는 총 2편의 논문발표가 있었습니다. 각 발표마다 30분이 할애되어 연구내용의 자세한 소개와 함께 충분한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습니다.
첫 번째 발표자인 한신인 박사는 쏘일시멘트-강재-콘크리트 합성벽체를 제안하고 이에 대한 현장시공 사례를 발표하였습니다. 다양한 단면 형태를 갖는 합성벽체의 차수성능을 설명하고 그 적용성을 평가하였습니다. 두 번째 발표자인 송아란 박사는 해상풍력단지 지반조사 전략을 초기단계에 중점을 두어 발표하였습니다. 국내에 적용할 수 있는 지반조사 방향과 범위를 유럽과 일본 등의 해외 풍력발전단지 지반조사 사례에 근거하여 제시하였습니다.
학술발표회의 첫 번째 날의 이른 시간에도 성심껏 발표해 주신 발표자분들과 경청해 주신 많은 회원들께 감사드립니다.
[학생세션1] 기초 및 연약지반
좌장: 정연종 박사(서울연구원)
2025년 한국지반공학회 가을학술발표회의 기초 및 연약지반 학생세션에서는 총 5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첫 번째로는 충남대학교 노유진 연구원이 "수직증축 리모델링 시 상부하중 형태에 따른 말뚝기초 거동 분석"에 대하여 발표하였고 Plaxis 3D를 통한 유한요소해석 결과를 소개하였다. 등분포하중뿐만 아니라 기둥하중, 벽체하중 등 실제 구조물의 하중 전달 메커니즘을 고려한 다양한 하중 모델링 방식을 적용하였으며, 기초판의 연성과 강성에 따른 말뚝의 침하량과 축력 변화를 상세히 분석하였다. 특히 보수적 설계를 위해서는 등분포하중 이외의 현실적인 하중 적용 방법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로는 한밭대학교 이푸른 연구원이 "인근 구조물 신설로 인한 지하구조물 침하 및 균열 발생 양상 사례 분석"에 대하여 발표하였고 실제 주거단지 지하주차장의 부등침하 및 인장균열 사례를 FLAC 수치해석으로 규명하였다. 인근 중학교 건설을 위한 성토하중이 지하주차장 변형의 원인임을 체계적으로 입증하였으며, 지반-구조물 상호작용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 결과를 공유하였다.
세 번째로는 군산대학교 김태언 연구원이 "반복삼축압축시험을 통한 토목섬유 보강재에 따른 액상화 분석"에 대하여 발표하였고 PET 직포 및 복합포로 보강된 세립분 함유 실트질 모래의 반복하중 거동을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보강재 종류와 상대밀도에 따른 액상화 저항성을 비교하였으며, 특히 복합포 보강 시 무보강 대비 최대 22배의 반복하중 저항성 향상 효과를 확인하여 지반 보강 공법의 실용성을 입증하였다.
네 번째로는 강릉원주대학교 이준서 연구원이 "해상 매립 점토의 자중압밀 구간 내 전단강도 특성 분석"에 대하여 발표하였고 실내 베인시험을 통해 함수비 76~220% 구간에서의 비배수 전단강도 특성을 분석하였다. 염분 보정을 고려한 회귀식을 도출하였으며 기존 경험식들과의 비교를 통해 국내 해양 준설토 특성을 반영한 현장 맞춤형 관계식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인하대학교 안우성 연구원이 "지하양수발전 기술동향 및 국내 수갱에 대한 적용성 평가"에 대하여 발표하였고 계량서지 분석을 통한 UPHES의 세계적 연구동향을 소개하였다. 국내 폐광 수갱을 대상으로 FLAC2D를 이용한 구조 안정성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급수-배수 과정에서의 주기적 하중 변화에 따른 수갱 기저부의 응력 및 변위 특성을 분석하여 국내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각 발표별로 활발한 질의응답이 이루어졌고 질의내용 역시 성공하게 설명하는 발표자와 청중들의 높은 관심 덕분에 성공적인 세션이 이루어졌다고 평가된다.
[학생세션2] 지반진동 및 터널
좌장: 김도현 교수(국립한밭대학교)
본 학생세션에서는 지반진동 및 터널을 주제로 총 5편의 발표가 진행되었다.
첫 번째 발표는 “고준위방사성 폐기물 심층 처분 시스템의 처분 용기 배치 방식에 따른 유한요소기반 동적 거동 연구”라는 제목으로 인하대학교 박주성 학생이 진행하였다.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심층 처분장 내 저장 용기의 다양한 배치에 따른 동적 거동 연구를 유한요소기반 수치해석으로 접근한 흥미로운 발표였다.
두 번째 발표는 서울대학교 황태훈 학생이 “표층 비액상화층이 얕은기초 건축물의 액상화 침하거동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제목으로 발표를 진행하였으며, 주로 실험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다만, 아직 각 실험 케이스가 적은 관계로 향후 기대가 더 큰 연구라는 생각이 들었다.
세 번째 발표는 울산과학기술원 전예찬 학생이 진행한 “수치해석 기반 펄스형 지진파에 대한 잔교식 안벽의 동적 거동 분석”으로, 원심모형시험과 2차원 유한요소 수치해석을 통해 얻은 결과를 중심으로 발표를 진행하였다. 해석 결과, 펄스형 지진파가 비펄스형 지진파에 비해 상부구조물의 최대 변위에 더 크게 영향을 준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수치해석 상 몇몇 가정 사항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개인적인 생각이 들었다.
네 번째 발표는 고려대학교 김현래 학생이 “슬러리 쉴드 TBM의 벤토나이트 슬러리 침투 거동 평가를 위한 실험적 연구”라는 제목으로 발표를 진행하였다. 본 발표에서는 슬러리 침투 거동 분석을 위해 실내 실험 장비를 구축한 후 유출수량과 간극수압을 측정하고, 다양한 슬러리 농도와 압력을 이용하여 유출수량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다섯 번째는 서울대학교 오승원 학생이 “트라이포드 석션버켓 기초 해상풍력터빈의 고유진동수에 대한 세굴 영향 분석”이라는 연구를 통해 서남해안에 설치된 트라이포드 석션버켓 기초 해상풍력터빈을 대상으로 3차원 수치해석 모델을 구축하고, 원심모형시험 결과를 활용하여 이를 검증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본 세션을 통해 학생들이 진행하는 연구의 높은 수준과 이에 대한 깊은 이해가 바탕이 된 뛰어난 발표 실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신들의 연구 내용 발표를 제한된 시간 안에 잘 마치고, 시간 관계상 넉넉하게 질의응답을 진행하지 못한 것을 이해해주신 회원님들의 양해에 모두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다.
[학생세션3] 사면안정 및 지반환경
좌장: 최현준 박사(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25년 가을학술발표회의 사면안정 및 지반환경 학생세션에서는 총 7개의 구두 발표가 진행되었다.
첫 번째 발표는 동국대학교 조수호 학생의 발표로, 국내 비탈면 붕괴 위험도 평가 기법을 개선하기 위한 GIS 응용 기술과 클러스터링 알고리즘 기반의 정량적 비탈면 안전성 평가 방안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 발표는 국립군산대학교 왕지엔빈 학생의 발표로, 새로운 앵커체 시스템을 제안하고, 모형 인발시험을 통해 보강재 설치에 따른 인발저항력 향상 효과를 분석하였다.
세 번째 발표는 동신대학교 김태완 학생의 발표로, 집중호우로 인한 토사 비탈면의 체적함수비 변화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표층붕괴와의 상관관계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얕은파괴 경보 기준을 제안하였다.
네 번째 발표는 강릉원주대학교 이지훈 학생의 발표로, 토석류의 입상 충돌 유동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소규모 실내 모형실험을 수행하고, 입자 혼합비율과 경사도에 따른 토사층의 침식 특성을 발표하였다.
다섯 번째 발표는 군산대학교 곽지휘 학생의 발표로, 토목섬유 튜브의 연결 방법을 소개하고, 제안된 토목섬유 튜브에 대한 현장 적용성 평가 결과를 고찰하였다.
여섯 번째 발표는 연세대학교 김현수 학생의 발표로, 상온·상압 조건에서 NaHCO3와 NaOH 혼합 수용액을 활용한 습식탄산화 실험을 통해 철강 슬래그의 CO2 흡수 특성을 평가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마지막 발표는 울산과학기술원 오세희 학생의 발표로, 실내시험을 통해 모래 입경과 이온농도에 따른 미세플라스틱의 모래지반 내 이동성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매 발표마다 활발한 질의응답이 이어지면서, 7명의 학생 연구자들이 각자의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토론하기에는 80분의 시간이 다소 짧게 느껴졌다. 연구방법과 결과를 논리적으로 발표하고 질의내용에 성실하게 답변해준 발표자들 덕분에 세션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세션이 끝날 때까지 발표장을 가득 매워주신 청중들께 다시 한 번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학생세션4] 지반조사Ⅰ
좌장: 홍원택 교수(가천대학교)
금년도 한국지반공학회 가을학술발표회는 2025년 9월 19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개최되었으며, ‘지반조사’를 주제로 하는 학생세션4는 당일 오후 2시 30분부터 오후 3시 50분까지 80분간 304호에서 진행되었다.
본 세션에서는 총 7인의 석·박사과정 학생들이 각자의 연구내용을 발표하였으며, 발표 후에는 청중들과의 심도 있는 질의응답 및 토론이 이어졌다. 본 세션의 첫 번째 순서로, 경북대학교 김홍주 학생이 ‘원위치 강성분석기를 활용한 회복탄성계수 예측 머신러닝 개발’을 주제로 발표하였으며, 이어 ‘TDR 기반 다양한 흙의 체적함수비 범용 산정 모델 개발’(한양대학교 최우석 학생), ‘시멘트성 구조물 배면 물질의 지하투과레이더 기반 조사’(가천대학교 이은상 학생), ‘공동 깊이에 따른 마이크 신호 분석’(고려대학교 박정언 학생), ‘국내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후보지의 덮개암 모사를 위한 인공암석 제작 및 물성 평가’(고려대학교 서준영 학생), ‘EOGO의 함량에 따른 메타카올린 지오폴리머 역학적 특성 연구’(경희대학교 이채원 학생), ‘토양-암반 경계면 예측을 위한 데이터 증강 프레임워크’(건국대학교 임동우 학생)를 주제로 한 발표가 진행되었다. 본 세션의 발표자들은 최근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지반공학적 문제 해결을 위한 현장시험장비 개발과 물리탐사기법의 적용방안 및 수치해석과 머신러닝 활용 등 매우 높은 수준의 연구내용을 다루었다.
본 세션에서 다루어진 다양한 연구분야의 발표들은 유사 연구분야의 청중 및 발표자에게 소중한 기회가 되었으리라 기대되며, 타 연구분야의 발표내용은 향후 융합연구 역량을 갖춘 학자로 거듭나기 위한 기회가 되었을 것이라 기대된다.
[학생세션5] 지반역학 및 불포화지반
좌장: 하성준 박사(한국원자력연구원)
2025년 한국지반공학회 가을학술발표회의 지반역학 및 불포화지반 학생세션에서는 총 여섯 명의 학생과 박사후연구원이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첫번째 발표에서는 고려대학교 권호준 학생이 동수경사가 점진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모래-점토 혼합토에서 세립토가 얼마나 이탈되는지 조사하기 위해 수행한 컬럼실험 결과를 소개하였습니다.
두번째로는 국립부경대학교의 차재호 학생이 토사-암반 계면의 전단 강도에 계면 거칠기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한 직접전단시험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세번째에서는 연세대학교의 이지영 박사후연구원이 수행한 원심모형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지하수위 변동이 전면지지 말뚝기초의 침하 및 하중 분담에 미치는 영향을 발표하였습니다.
네번째 발표에서는 경희대학교의 최우영 학생이 기존 방식보다 더 정확하고 일관성 있는 토립자 형상 라벨링을 위해 복소수 푸리에 기술자 기반의 자동 라벨링 기법을 제시하였습니다.
다섯번째로는 경희대학교의 노현수 학생이 삼축압축으로 발생한 시편의 변형을 3D 구조광학 스캐너로 정량화하고 분석하는 기법을 발표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고려대학교 이용세 학생은 압력판 추출 시험기로 수행한 실내실험을 통해 불포화토의 흡입 응력에 따른 전단 강성의 변화를 발표하였습니다. 여섯 발표의 연구 주제는 학생 세션에 걸맞게 도전적이었고 연구 방법론은 체계적이었으며, 그로부터 의미 있는 연구 결과들을 도출하였습니다. 또한, 질의를 통하여 유용한 피드백들이 여섯 연구자들에게 전달되었기에 추후 관련 학계 및 업계에 큰 기여를 할 것이라 기대합니다.
[학생세션6] 지반IT융합
좌장: 이석재 교수(국립군산대학교)
본 학생 세션에서는 지반IT융합을 주제로 총 6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첫번째로 경희대학교의 김주희 학생은 “압밀침하량 예측을 위한 물리정보신경망의 적용”을 주제로 발표하였으며, 1차원 압밀침하량 예측에 있어 물리정보신경망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두번째로 홍익대학교의 김새연 학생은 “PLAXIS 기반 수치해석 데이터와 ConvLSTM1D를 활용한 DCM 측방유동 예측 모델”에 대해 발표하였으며, DCM 지반의 장기적인 측방 변위를 공간적 패턴과 시간적 변화를 함께 학습할 수 있는 ConvLSTM 모델의 활용 방안을 고찰하였다.
세번째 발표자인 인하대학교의 김유진 학생은 “다변량 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지반 지반함몰 발생 예측 및 변수 영향 분석”을 주제로, 해당 연구에서 선정된 지반함몰 변수는 불균형 처리기법의 도입이 효과적이지 않으며, 더 다양한 변수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공유하였다.
네번째로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송병훈 학생은 “도로 및 교량 변형 모니터링을 위한 TS-InSAR”에 대해 발표하였으며, 도심지 기반시설의 장기적 안정성 확보를 위해 InSAR 기술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다섯번째로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차순일 학생은 “SBAS-InSAR를 이용한 공항의 활주로 및 정거장의 침하 분석”을 주제로 발표하였으며, 공항 내 침하 집중 구간을 SBAS-InSAR 기술을 통해 사전에 파악하고 유지관리 계획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최내령 학생은 “WT-SBAS-InSAR 분석을 활용한 싱크홀 모니터링”에 대한 발표를 진행하였으며, WT-SBAS-InSAR 기술이 도시 지반 재해 조기경보 기술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세션이 마지막 순서였음에도 각 발표마다 활발한 질의응답이 이어졌으며, 청중들의 높은 관심 속에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 이번 세션을 통해 지반공학 연구자가 데이터 과학 및 인공지능 기술 역량을 갖추는 것이 필수적임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이러한 융합 연구가 더욱 활발히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학생세션7] 지반조사Ⅱ
좌장: 김상엽 교수(건국대학교)
본 학생세션은 현장 지반조사 및 실내실험을 통한 흙의 특성 및 거동 평가 등과 관련한 연구주제로 총 6편의 구두 발표가 진행되었으며, 발표한 논문 리스트는 다음과 같다.
1. 경사 콘관입시험 기반 사질토 내부마찰각 평가 방법
2. 경이미지 기반 토립자 분석을 통한 사질토 상대밀도 추정
3. 경점토의 전기전도도 예측 개선을 위한 간극률 반응형 직렬-병렬 전도전도도 모델 개발
4. 콘관입 시험 자료를 이용한 광양점토의 변동자 평가
5. 지중차단 시스템을 위한 고압 및 염분 조건에서 점토의 압밀특성 평가
6. 온도에 따른 광안리 해수 포화 모래의 전기전착 거동 평가
본 세션은 이번 2025 가을 학술발표회의 마지막 세션 중 하나인 관계로 참여율이 다소 낮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발표자를 포함한 매우 많은 학생들과 청중들이 참석하였다. 박사 후 연구원, 박사과정, 석사과정이 다양한 발표를 수행하며 많은 의견들이 오갔으며, 학생들의 연구적 성과달성만큼이나 중요한 발표경험을 쌓는 좋은 기회였다고 생각된다. 또한, 많은 학부연구생들이 청중으로 참석하여 다양한 연구주제를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어 미래인재 양성에도 큰 도움이 되었을 것이라고 기대하며, 지난 학술발표회에 기획되었던 미래인재세션의 재시행 필요성을 느끼기도 하였다. 마지막까지 세션장에 남아 좋은 발표와 양질의 코멘트를 해준 발표자들과 청중들에게 다시 한 번 깊은 감사를 드린다.
2025년 가을학술발표회 우수논문 수상자
■ 우수 구두
1. 수직중축 리모델링 시 상부하중 형태에 따른 말뚝기초 거동 분석
노유진, 엄세나(충남대학교), 박종전(일신지질), 고준영(충남대학교)
2. 표층 비액상화층이 얕은기초 건축물의 액상화 침하 거동에 미치는 영향
황태훈, 김대영, 김태환, 김성렬(서울대학교)
3. 모래 입경과 이온농도에 따른 미세플라스틱의 모래지반 내 이동
오세희, 원종묵(울산과학기술원)
4. 공동 깊이에 따른 마이크 신호 분석
박정언, 호앙녹퀴, 강성훈, 이종섭(고려대학교)
5. 지하수위 변동에 따른 전면지지 말뚝기초의 침하 및 하중 분담 거동에 관한 연구
이지영, 남동건, 윤종혁, 아이잔 사구, 김명빈, 김민욱, 이준환(연세대학교)
6. 다변량 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기반 지반함몰 발생 예측 및 변수 영향 분석
김유진, 나선홍(인하대학교)
7. 점토의 전기전도도 예측 개선을 위한 간극률 반응형 직렬-병렬 전도전도도 모델 개발
김노을, 한희림, 최보성, 추현욱(한양대학교)
■ 우수 포스터
1. 전극 간격을 고려한 TDR 관입기 개발 연구
손동건, 이종섭(고려대학교), 변용훈(경북대학교)
2. 도심지 교차상관 탄성파 간섭법 적용을 위한 MUSIC 빔포밍 기반 인라인 소스 선택 기법 연구
황선호, 신창호, 구태서(건국대학교)
3. CubeSat 위성 영상 활용한 Digital Elevation Model(DEM) 생성
박상현(경희대학교), 신준우(국립금오공과대학교), 김용제(텍사스 대학 엘파소), 남부현(경희대학교)
4. 지하수 흐름 조건에서의 인공동결시스템의 윈도우 발생 임계조건 평가
양수웅, 고기은, 우석윤, 주민지, 고규현(국립금오공과대학교)
5. 준설매립지반의 유기물 함량에 따른 2차 압밀 특성
김유현, 송창호(국립부경대학교), 송훈, 문영호(부산항만공사), 김윤태(국립부경대학교)
국제학술회의 소식
International Conference & Symposium
대륙별 학회 (Date : Day-Month-Year)
참고 웹사이트 : https://www.issmge.org/events
2025
유럽
Geotechniekdag 2025-National Geotechnical Conference of the Netherlands
o Date: November 11-11, 2025
o Venue: Netherlands
o E-mail: geotechniekdag@kivi.nl
o Website: https://kivi.nl/communities/vakafdelingen/geotechniek/geotechniekdag/geotechniekdag-2025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easurement While Drilling(MWD'1)
o Date: December 09-11, 2025
o Venue: Netherlands
o Website: https://www.mwdconferences.com/
o E-mail: Jean.benoit@unh.edu
아시아
1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eotechnical Engineering & 8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Natural Hazards
o Date: December 04-05, 2025
o Venue: Lahore, Pakistan
o Website: http://www.17icge-8isg.com
o E-mail: tmasood267@yahoo.com
2026
아메리카(북·남미)
International Symposium on Tailings Deposits
o Date: March 11-13, 2026
o Venue: Mexico
o Website: https://2sisdj-hermosillo-2026.com.mx/
o E-mail: manicam@smig.org.mx
유럽
2nd International Scientific and Practical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Geotech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Intelligence on Guard of Mechanical Safety - GEOMOS26
o Date: March 17-20, 2026
o Venue: Moscow, Russia
o Website: https://geomos.rssmgfe.ru/en/
o E-mail: geomos@niiosp.ru
15th International Conference "Modern Building Materials, Structures and Techniques"
o Date: May 12-15, 2026
o Venue: Vilnius, Lithuaniao
?Website: https://www.rilem.net/agenda/15th-international-conference-modern-building-materials-structures-and-techniques-1650
o E-mail: mbmst@vilniustech.lt
8th International Young Geotechnical Engineers Conference
o Date: June 11-14, 2026
o Venue: Graz, Austria
o Website: https://iygec2026.tugraz.at
o E-mail: iygec2026@tugraz.at
2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Geotechnical Engineering
o Date: June 14-19, 2026
o Venue: Vienna, Austria
o Website: https://www.icsmge2026.org/en/
o E-mail: helmut.schweiger@tugraz.a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s and Innovations in Soft Soil Engineering 2026
o Date: August 24-26, 2026
o Venue: Delft, Netherlands
o Website: TBA
o E-mail: s.muraro@tudelft.nl
CREST 2026
o Date: September 7-8, 2026
o Venue: Cambridge, United Kingdom
o Website: https://engage-events.ifm.eng.cam.ac.uk/IC-CREST2026
Four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Geotechnical Engineering for the Preservation of Monuments and Historic Sites
o Date: September 16-18, 2026
o Venue: Athens, Greece
o Website: https://tc301-athens.com
o E-mail: secretary@tc301-athens.com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Technology in Geo-Engineering
o Date: October 13-16, 2026
o Venue: Graz, Austria
o Website: https://www.icitg2026.com/
o E-mail: georg.erharter@ngi.no
아시아
2026 SOUTHEAST ASIAN GEOTECHNICAL CONFERENCE
o Date: January 28-30, 2026
o Venue: Taguig, Philippines
o Website: https://pssmge.org/
o E-mail: seagc.agssea@2026@gmail.com
Pan Mediterranean Geotechnical Engineering Conference
o Date: March 25-28, 2026
o Venue: Beirut, Lebanon
o Website: http://pmgec-leb.com/
o E-mail: contact@pmgec-leb.com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eotechnics, Civil Engineering and Structures (CIGOS)
o Date: April 16-17, 2026
o Venue: Ho Chi Minh city, Vietnam
o Website: https://cigos2026.sciencesconf.org/
o E-mail: cigos@avseglobal.org
12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Field Monitoring in Geomechanics 2026
o Date: August 06-10, 2026
o Venue: Indore, India
o Website: https://isfmg2026.com/
o E-mail: convener@isfmg2026.co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eotechnical Engineering | ICGE-Colombo 2026
o Date: August 24-25, 2026
o Venue: Colombo, Sri Lanka
o Website: https://icgecolombo2026.org/
o E-mail: slgssecretariat@gmail.com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eotechnics for Sustainable Infrastructure Development
o Date: November 26-27, 2026
o Venue: Hanoi, Vietnam
o Website: https://geotechn.vn/
o E-mail: secretariat@geotechn.vn
오세아니아
Landslide Geo-Education and Risk(LaGER) 2026 - JTC1 & JTC3 workshop
o Date: April 28-May 01, 2026
o Venue: Queenstown, New Zealand
o Website: http://landsliderisk.nz/
o E-mail: ross.roberts@gmail.com
아프리카
10th African Young Geotechnical Engineers Conference
o Date: April 26-29, 2026
o Venue: Lagos, Nigeria
o Website: https://nige.org.ng
o E-mail: nsegeotechdiv@yahoo.co.uk
2027
아메리카(북·남미)
CPT'27: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ne Penetration Testing
o Date: May 12-14, 2027
o Venue: Vancouver, Canada
o Website: http://www.cpt27.org
o E-mail: kelly.cabal@conetec.com
유럽
11th European Conference on Numerical Methods in Geotechnical Engineering
o Date: September 21-24, 2027
o Venue: Graz, Austria
o Website: http://numge2027.tugraz.at
o E-mail: numge2027@tugraz.at
김상엽
건국대학교 소방방재융합학과 조교수
(sangyeob@kku.ac.kr )
해외매거진 소개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ume 151, Issue 10 (October 2025) / https://ascelibrary.org/toc/jggefk/151/10

목차
Technical Papers
Comparison of the Cyclic Liquefaction Susceptibility of Calcareous and Siliceous Sand: An Energy-Based Perspective
K. Pan, P. P. Li, B. Duan, L. H. Dai, Z. X. Yang and Y. Q. Cai
Critical State Loci of Superheavy Iron Ore Tailings from Sampling in Brumadinho Reservoir
Bruno G. Delgado, Antonio Viana da Fonseca, Rafael J. Bittar, Davide Besenzon, Fausto Molina-Gomez, Diana Cordeiro, Antonio Mendonça and Sara Rios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the Pullout Performance of Rock-Socketed Micropiles under Oblique Loads
Qinke Wang, Zhongbo Hu, Huini Chen, Baolong Zhu, Jian Zhang and Yanxin Yang
Investigating the Effect of Ice Formation and Thawing on Permanent Deformation of Railroad Ballast through Large-Scale Triaxial Cyclic Testing
Shihao Huang and Yu Qian
Experimental Observations of the Effect of MICP on the Deformation Mechanisms of a Layered Formation during Sand Production
Alexandra Clarà Saracho, Stuart K. Haigh, Toshiro Hata, Kenichi Soga, Ning-Jun Jiang and Koji Yamamoto
Physics-Informed Data-Driven Modeling of Unsaturated Soils under Thermo-Hydro-Mechanical Loading Conditions
Mohsen Ajdari, Farshid Vahedifard and Amin Amirlatifi
Strength and Morphology of Clayey Seabeds Subjected to Surface-Breaking Pipe Oscillations
Fauzan Sahdi, Zhechen Hou, Fraser Bransby, Phillip Watson and Christophe Gaudin
X-Ray Microtomography Measurements of Coevolving Particle Size and Shape
Yang Li, Shubjot Singh and Giuseppe Buscarnera
Modulus of Soil Slurry
Shengmin Luo, Angel Rodrigo Angulo Calderon, Ning Lu and William J. Likos
Dynamic Bounding Surface Viscoplasticity for Clays
Jian Li and Zhen-Yu Yin
Mechanical and Hydraulic Behavior of Composite Soils Containing Coral Gravel and Silt Matrix: Insights from the Revised Soil Classification System
Xinyu Liu, Xianwei Zhang, Lei Yan, Gang Wei and Sheng Song
Loosening Pressure in Unsaturated Ground: Shear Bands and Soil Arching
Xu Fang, Ying Cui and Mamoru Kikumoto
A Fractional-Order Two-Surface Plasticity Model for Thermal and Mechanical Cyclic Behaviors of Saturated Clays
Wei Cheng and Zhen-Yu Yin
Coarse-Grained Geomaterials Characterization Using the High-Frequency Electromagnetic Induction Technique
Weiling Cai, Cheng Zhu, John Schmalzel, Jim Kang, Benjamin Barrowes, Danney R. Glaser and Wade Lein
Pipe-Soil Interaction with Large Lateral Movement on Undrained Clay: An LDFE Analysis
Chunlei Li, Long Yu, Yuixa Hu and Xianjing Kong
Centrifuge Modeling of Integral Bridges with Varying Relative Stiffness of Soil and Structure
Douglas G. Morley, Gopal S. P. Madabhushi, Dennis Sakufiwa and Indrasenan N. Thusyanthan
Optimizing Magnitude Scaling Relationships in Simplified Liquefaction Triggering Procedures Using Ground Motion Intensity Measures
Yassein Keshty and Trevor J. Carey
Corrections
Erratum for “Modified NTH Method for Assessing Effective Friction Angle of Normally Consolidated and Overconsolidated Clays from Piezocone Tests”
Zhongkun Ouyang and Paul W. Mayne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ume 151, Issue 11 (November 2025) / https://ascelibrary.org/toc/jggefk/151/11

목차
Lecture
2024 Terzaghi Lecture: Soil Models in Prediction, Design, and Geotechnical Problem-Solving
Andrew J. Whittle
Technical Papers
Nano-Enhanced Electrokinetic Conditioning of Expansive Soils Using MgO Nanoparticles
Najibullah Zulfeqar, Ali Khosravi and Shiqiang Zou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Sand by Water Pressure during Sedimentation: The u-Sed Test
Lei Zhang and Roman D. Hryciw
Strength and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Sand-Rubber Mixtures under Torsional Shear Loadings
Shao-Heng He, Zhen-Yu Yin, Zhi Ding and Rui-Dong Li
Innovative Subsurface Compacted Rubble Rafts for Severe Liquefaction Remediation in Christchurch, New Zealand
Zhaodong Du, Si Xu and Robin Brightwell
Multiphysics Assessment of Mexico City Soils: Structure and Thixotropy
Hao-Biao Chen, Ming-Guang Li, Guang-Zai Chen, Fu-Quan Chen and Jin-Jian ChenCamilo Guerrero, J. Carlos Santamarina, Marcos Arroyo and Enrique Romero
Fluorescence Quenching-Based Optical Fiber Sensor for Monitoring Chloride Ion Concentration in Pore Solution of Soils
Honghan Dong, Sheng-Jie Wei, Liyun Ding, Wenjie Xu, Yun-Min Chen and Yu-Chao Li
Mechanics-Informed Machine Learning for Geospatial Modeling of Soil Liquefaction: Global and National Surrogate Models forSimulation and Near-Real-Time Response
Morgan D. Sanger, Mertcan Geyin and Brett W. Maurer
Simulation of Grain Fracture-Induced Pile Creep and Setup in Sands
Jiangtao Lei, Marcos Arroyo and Matteo Oryem Ciantia
Probabilistic Classification of Near-Surface Shallow-Water Sediments Using a Portable Free-Fall Penetrometer
Md Rejwanur Rahman, Adrian Rodriguez-Marek, Nina Stark, Grace Massey, Carl Friedrichs and Kelly M. Dorgan
Full-Scale Experimental Study on the Degradation of Pile-Supported Embankment due to Water Infiltration
Shun Liu, Xuecheng Bian, Yujun Cui and Yunmin Chen
Three-Dimensional Interaction of Twin Tunnels: Numerical Analysis of the Waterloo International Terminal Case Study
Matthew Stewart, Agustin Ruiz Lopez and Aikaterini Tsiampousi
Elastic-Viscoplastic Soil Constitutive Model for Simulation of Barrier Piles under Vehicle Crash Impact
Fatemeh Safari Honar, Negin Yousefpour, Nelson T. K. Lam, Jude S. Perera and Mehdi Pouragha
Investigation of Creep Behavior and Its Effect on Dilatancy of Rockfill Materials through Large-Scale Triaxial Testing
Mengcheng Liu and Shuang Shu
A Specialized Boundary Condition for Soil-Vegetation-Atmosphere Interaction in Embankments
Ehsan Badakhshan and Jean Vaunat
Corrosion Processes in Metals Buried in Sediments: Effects of Fines Content, Mineralogy, and Degree of Saturation
Gloria M. Castro, Junghee Park, Wonjun Cha, Abdelmounam Sherik and J. Carlos Santamarina
Mechanical Behavior of Biocarbonizing Reactive Magnesia-Stabilized Soft Soil: Strength Control and Prediction FrameworkBased on Effective Carbonate-to-Magnesia Ratio
Rui Wang, Chao-Sheng Tang, Xiao-Hua Pan, Zhi-Hao Dong and Xiancai Lu
Hysteresis at Low Relative Humidity on Vapor Sorption Isotherm of Na-Montmorillonite
Yijie Wang, Liming Hu, Zhen-Yu Yin, Pierre-Yves Hicher and Yandi Wu
Numerical Quantification of Shear Band-Induced Scale Effects in Physical Models
Dawei Xue and Giuseppe Buscarnera
Long-Term Cyclic Deformation of Soft Clay: Invariance Behavior and Its Application to Laterally Loaded Monopile Foundations
Hongxu Jin, Zhen Huang, Li Shi, Lin Guo and Yuanqiang Cai
Thermal Conductivity of Sand with Fines
Arjun Sivaprasad and Prasenjit Basu
Failure Mechanisms of Permafrost Bluff in Utqiagvik, Alaska
Lingyun Gou, Ming Xiao, Matthew Hallissey, Chanho Park, Mine Dogan, Dmitry Nicolsky, Anne Garland and Colby Wright
Investigation of the Combined Effects of Surface Roughness, Gradation, Mineralogy, and Effective Stress on the Large-Displacement Behavior of Sand-Structure Interfaces
Sanchari Mondal, Mahdi M. Disfani, Ryan Beemer and Alejandro Martinez
A New Robustness Measure for Design Optimization of Earthen Levees in the Face of Flooding Hazards
Lei Wang, Liang Zhang and Yuxin Yuan
Machine Learning-Based Settlement Models for Shallow-Founded Structures on Interbedded Liquefiable Sites ConsideringDense Granular Columns
Caroline Bessette, Shideh Dashti, Abbie B. Liel and Yu-Wei Hwang
Technical Notes
Model for the Prediction of the Strain-Softening Stress-Strain Relationship for Unsaturated Soils Associated with Large ShearDeformation
Xiuhan Yang and Sai K. Vanapalli
Hydromechanical and Electromagnetic Properties of Xanthan Gum-Treated Kaolin
Partha Narayan Mishra, Harshal Verma, Satyam Tiwari, Sebastian Quintero Olaya, Thierry Bore, Zicheng Zhao and Sarat Kumar Das
Corrections
Erratum for “Automatic Interpretation of Downhole Seismic Geophysical Data Accounting for Uncertainty and MeasurementError”
Timo Zheng, Roisin Buckley and Eky Febrianto
Géotechnique
Volume 75, Issue 8 (August 2025) / Volume 75 Issue 8 | Géotechnique | Emerald Publishing

목차
Research Articles
Behaviour of sand under the constant shear drained stress path: the role of finesAvailable to Purchase
Quanyang Dong;Jun Yang
Progressive development of soil arching and deformations in two- and three-dimensional trapdoor testsAvailable to Purchase
Rui Rui;Yu Yang;Jie Han;Suzanne Van Eekelen;Zirui Mu;Mohamed Elabd;Yu-qiu Ye
Instability of iron ore tailings-geotextile interface: a direct simple shear studyAvailable to Purchase
Ali Lashkari;Saeed Khademian;Ahmad Feilinejad;Piltan Tabatabaie Shourijeh;Aliyeh Afzali-Nejad
Re-examination and analysis of test data on consolidation of soft soils exhibiting creep with different thicknessesAvailable toPurchase
Pei-Chen Wu;Ze-Jian Chen;Jian-Hua Yin;Yoichi Watabe;Ding-Bao Song;Peng-Lin LiAbstract
An extended kinematic hardening constitutive model to include unsaturated behaviour for the prediction of soildeteriorationAvailable to Purchase
Lluis Monforte;Mohamed Rouainia;Peter R. Helm;Abdallah Najdi;Stephanie Glendinning
Time-lapsed in situ monitoring of mechanical property in deep soil mixing with surface waveAvailable to Purchase
Yanlong Niu;Siau Chen Chian;Yunyue Elita Li
Particle crushability’s role in liquefaction: insights from Mayotte submarine slopesAvailable to Purchase
Marco Terzariol;Nabil Sultan;Sebastien Garziglia;Stephan J. Jorry;Gwenael Jouet
Thermo-mechanical behaviour of peats under one-dimensional compressionAvailable to Purchase
Taishi Kochi;Satoshi Nishimura;Nobutaka Yamazoe
Experimental observations from cyclic cone penetrometer testing in clayAvailable to Purchase
Senthen Amuthan Mani;Conleth O’loughlin;Britta Bienen;M. Fraser Bransby
Discussion
Pore changes in an illitic clay during one-dimensional compressionFree
Yanhao Zheng;Béatrice A. Baudet;Pierre Delage;Jean-Michel Pereira;Peter Sammonds;Prithvendra Singh;Devendra Narain Singh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Volume 62, 2025 / https://cdnsciencepub.com/toc/cgj/62

목차
Research Articles
Interpretation considerations for field study of axial stresses/forces in driven H-piles due to construction activities for fillplacement
Sepehr Chalajour and James A. Blatz
Kinematic response of floating single piles in saturated and nearly-saturated soil to P-waves
Changjie Zheng, George Kouretzis, and Xuanming Ding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mechanical behavior of natural soft clay by true triaxial tests
Wenbo Xie, Guanlin Ye, Qi Zhang, Wenxuan Zhu, and Feng Zhang
Evolution of structure and anisotropic shear stiffness of compacted loess during compression
Bao-Lin Dai, Chao Zhou, Qing-Yi Mu, and Jian-Bin Peng
Experimental study on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NPR anchored rock under kilometer-deep buried high geostressconditions
Chengyu Miao, Lei Wang, Li Cui, Ming Jiang, Xiaoming Sun, and Shuo Liu
Estimating thaw settlement of coarse-grained permafrost sediments
Zakieh Mohammadi and Jocelyn L. Hayley
Assessing water position through distributed temperature sensing using Rayleigh-based optical frequency-domainreflectometry: a laboratory feasibility study
Ashis Acharya, Daiki Tanimura, Chao Zhang, Fumihiko Ito, Toshihiro Sakaki, Mitsuru Komatsu, Issei Doi, and Tetsuya Kogure
Damage assessment of ring nets in flexible barriers subjected to consecutive rockfall impacts
Liping Guo, Siming He, Zhixiang Yu, and Yuntao Jin
Centrifuge modeling of backfill consolidation in soil-bentonite cutoff walls
Honghan Dong, Zhengkai Wang, Zizhuang Yan, Yun-Min Chen, Yu-Chao Li, and Guan-nian Chen
A simplified method for predicting load-displacement curve with pipeline upward movement
Hui Zeng, Xing-Tao Lin, and Xiangsheng Chen
Investigation on evolution law of frozen wall thickness in artificial ground freezing under seepage conditions
Kai-Qi Li, Zhen-Yu Yin, Yin-Fu Jin, and Yong Liu
Effect of water pressure on time-dependent permeability characteristics of sand conditioned with foam and bentonite slurry
Shuying Wang, Fanlin Ling, Qinxin Hu, Tongming Qu, and Junlong Shang
Seawater impact on permeability of compacted bentonite-sand mixtures: role of montmorillonite content and its interlayer cations
Yasutaka Watanabe, Shingo Yokoyama, Misato Shimbashi, Yoichi Yamamoto, and Takahiro Goto
Diaphragm wall lateral movement in deep excavations in Bangkok clays: impacts and influencing factors
Thayanan Boonyarak, Aye Yadana Aung, Viroon Kamchoom, and Zaw Zaw Aye
3D large deformation modeling of the 2020 Gjerdrum quick clay landslide
Quoc-Anh Tran, Agnete Rogstad, Ivan Depina, Fabricio Fernandez, Gebray Habtu Alene, Gustav Grimstad, and Steinar Nordal
Three-dimensional tunnel face stability using a new heterogeneous dynamic filter cake
Qiujing Pan, Chuantan Hou, Hao Xiong, and Zihan Yang
Development and use of axial load test databases for analysis and design of soft rock sockets
Xiaoyong Ye, Chong Tang, Kok-Kwang Phoon, and Jinbo Chen
Large deformation analysis of intermittent pile penetration into dense sand incorporating a state-dependent Mohr-Coulombmodel
R.R. Ye, Z.Y. Huang, Z.X. Yang, N. Guo, R.J. Jardine, and S. Fu
Model for the prediction of residual shear strength of unsaturated soils
Xiuhan Yang and Sai K. Vanapalli
Wide-suction-range hysteretic water retention behaviour of compacted soils amended by decomposing hydrochar
Huan Dong, Anthony Kwan Leung, and Rui Chen
A three-dimensional study of vegetation management on cut slopes
Aikaterini Tsiampousi
An improved small-scale test setup for assessing backward erosion piping
Sina Ramezanifouladi and Jean Côté
Physical model case study: treatment effect of soft ground by vacuum preloading combined with liquid bag pressurization method
Shuangxi Feng, Daorun Xing, Huayang Lei, Rui Jia, Jiankai Li, Coffi Edgard Codjia, and Yilin Bao
Reflection coefficient of a natural sodium bentonite in aqueous mixed electrolyte solutions: positive and negative anomalousosmosis
Nicolo Guarena, Andrea Dominijanni, and Mario Manassero
Stability study of coal pillars due to induced stress-driven spalling during development and mechanised depillaring at differentdepths of cover
Abhishek Kumar Singh, Sahendra Ram, Ashok Kumar, Petr Waclawik, and Radovan Kukutsch
Performances of a large-scale deep excavation with multi-support types and zoned excavation technique in Shanghai soft soil
Yingjie Jing, Lin Li, Jingpei Li, and Haohua Chen
Experimental comparison of foam flow and gas flow in municipal solid waste
Jie Hu, Xiaobing Xu, Meng Meng, and Wenjie Xu
An upper-bound solution for ground collapse induced by shallow rectangular cavity in unsaturated soils
Xiaojiao Li, Rui Chen, Liping Huang, Bo Pu, and Pei Tai
Quantifying reinforcement of forested (Cunninghamia lanceolata) slopes with different gradients based on in-situ pulloutexperiments
Bingli Hu, Lijun Su, Yiding Bao, and Qijun Xie
Design stability charts for construction procedure of basement walls using staged bermed excavation: a parametric study
Miguel Cano, José Luis Pastor, Adrian Riquelme, and Roberto Tomas
Undrained cavity expansion-contraction analysis in CASM and its application for pressuremeter tests
Guo-Yao Li, Pin-Qiang Mo, He Yang, Hai-Sui Yu, and Yong-Jun Qin
Measurement of true tensile strength from Brazilian tensile strength laboratory tests
Timothy R.M. Packulak, Jennifer J. Day, Mark R. McDonald, Anya C. Jacksteit, and Mark S. Diederichs
Factors influencing suffusion-induced delayed displacement of river bridge piers
Yoshihiro Nishio and Kenji Watanabe
Enhanced resistance to desiccation cracking of polymer-bentonite mixtures: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underlyingmechanisms
Sepideh Taheri and Abbas El-Zein
A novel consolidation analysis framework: universal function approximators regularized by physical principles
Pin Zhang, Brian Sheil, Mark Girolami, Kentaro Yaji, and Zhen-Yu Yin
Influence of stress history on thermal conductivity of saturated fine-grained soils
Arjun Sivaprasad and Prasenjit Basu
Long-term performance of textured HDPE geomembranes in municipal solid waste landfills
R. Kerry Rowe, M.M. Ali, and M.S. Morsy
Geostress-associated settlements of a raft-foundation building due to shield tunnelling in soft ground
Tianqi Zhang, Zhenkun Li, Ruikun Wang, Gang Zheng, Huayang Lei, and Qi Fan
Flow failure assessment for dams and embankments
Timothy D. Stark, Hyunil Jung, and Jiale Lin
Inversion of short-term precursor of acoustic emission in uniaxial compression based on SOM neural network
Jie Sun, Dongqiao Liu, Lei Zhang, Binghao Cao, Manchao He, and Yuanyuan Yang
Improvement of a hypoplastic model for sand under undrained loading conditions
Dong Liao, Xunjian Hu, Shun Wang, and Chao Zhou
Coal-derived char for durability improvement of cement stabilized soil under freeze-thaw, wet-dry, and sulfate attack
Hua Yu, Priyanka Joshi, Chooikim Lau, and Kam Ng
Development and performance of an adaptive adfreeze pile
James M. Oswell and Ron Coutts
Centrifuge modeling of end-bearing slender energy pile performance under temperature cycles
Long Chen, Yifan Hu, Zi Ye, Yang Zhou, Gangqiang Kong, and Yonghui Chen
A novel constitutive law of confined grouted rock bolt under pull-out load based on a fully nonlinear bond-slip model
Yingchun Li, Haiyang Tian, and Danqi Li
The infiltration characteristics of expansive soil subjected to drying-wetting cycles under surcharge
Zhiao Gao, Lingwei Kong, Shuangjiao Wang, Gang Wang, and Junbiao Yan
Development of a novel empirical approach to control overbreak, surface quality, and slope angle of benches following blasting
Sina Soltanalinejad and Hassan Moomivand
Strength improvement of high organic dredged soil by solidification/oxidization synergistic method
Xingxing He, Yong Wan, Yijun Chen, Xun Tan, Shiquan Wang, Xiaoli Liu, and Qiang Xue
Prediction of the hydraulic conductivity function for unsaturated soils over the entire suction range
Yan Li, Xiaokun Hou, Tonglu Li, Sai K. Vanapalli, and Ping Li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of granular soils: a review of influencing factors and prediction models towards an investigationframework through multiscale characters
Tairu Chen, Wenbin Fei, and Guillermo A. Narsilio
International Journal of Rock Mechanics and Mining Sciences
Volume 194 (October 2025) / https://www.sciencedirect.com/journal/international-journal-of-rock-mechanics-and-mining-sciences/vol/194/suppl/C

목차
Research Articles
Equivalent gas aperture of rock fracture: Theoretical model and experimental validation
Yaoyao Zhao, Zhihong Zhao, Yunzhe Jin
3D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concave open pit slope in rock with Hoek-Brown strength criterion
Shilin Jia, Fei Zhang, Jian Ji, Zheming Zhang, Jie Xu
Impact of gas adsorption on coal relative permeability: a laboratory study
Tiancheng Zhang, Jimmy Xuekai Li, Yiran Zhu, Victor Rudolph, Zhongwei Chen
Cryogenic strengthening effects on sandstone from 20 °C to -120 °C: Influence of initial water saturation and temperature
Guanglei Zhang, Shiji Wang, Wenze Song, Yuliang Zhang, ... Guowei Ma
Influence of free surface width on blasting damage in open stope mining in narrow vein orebodies
Shian Zhang, Xiuzhi Shi, Xianyang Qiu, Chengxing Zong, Zhi Yu
Influence of 3D forced water-based working fluid imbibition on dynamic responses of deep anisotropic shale reservoir
Yide Guo, Linqi Huang, Xibing Li
Dynamic direct tensile behaviours of small-scale marble under sub-zero temperatures and high strain rate loading
Kai Liu, Tingting Wang, Gaofeng Zhao
Non-destructive, fast and intelligent identification of coal and gangue via spatial-spectral fusion of hyperspectral images
Zhenhao Xu, Shan Li, Peng Lin, Qianji Li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mechanical behaviors and shear fracture mechanisms of rough jointed sandstone under conventional triaxial compression
Sheng-Qi Yang, Ming-Hui Cao, Rui Yong, Shi-Gui Du, ... P.G. Ranjith
Mechanical performance analysis of fully grouted bolts considering yield and hardening characteristics
Akang Li, Hua Cheng, Zhongwen Yue, Chuanxin Rong, ... Jian Lin
Controls of lithological heterogeneity on self-sealing behavior of propped fractures in Marcellus shale
Zeynal Abiddin Erguler, Derek Elsworth
Data assimilation-based inversion of rock rheological parameters in fault zones: A case study from a hydropower site in southwest China
Changhao Lyu, Weiya Xu, Yaolai Liu, Wei Huang, ... Timon Rabczuk
A new modified maximum principal stress criterion for predicting rock fracture toughness under mixed-mode I/III loading
Kun Zheng, Linjian Ma, Haifeng Liu
CO2 phase fluctuation-induced topological damage enhances shale strength
Changliang Wu, Hongjian Zhu, Yiwen Ju, Zongquan Hu, ... Jianchao Cai
Digital tunnel geometry model (DTGM): A multimodal data fusion framework for rock mass feature quantification
Haoran Xu, Shibin Tang
Dynamic mode III fracture behaviors in shale: Unraveling the controlling role of bedding structures through experimental characterization and theoretical insights
Zelin Yan, Jidong Jin, Jianxiang Wang, Mingdong Wei, ... Yi Liu
Representative elementary volume-enabled quality evaluation for complex structural rock masses: From the analytical perspective of the connectivity-controlled non-persistent fracture networks
Yongqiang Liu, Jianping Chen, Jiewei Zhan
Integrating time of exposure into quantitative evolving rockfall hazard assessment for open-pit mining
F. Bahootoroody, A. Giacomini, K. Thoeni, D.E. Guccione, ... M. Jaboyedoff
Bayesian inversion of microseismic moment tensors with 3D velocity models and characteristic waveforms
Zhonghao Luo, Xueyi Shang, Yi Wang, Jingnan Sun, Yuanyuan Pu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ree-dimensional Hoek-Brown strength criteria: Properties, applicability, and parameter reliability
Chenlong Su, Hehua Zhu, Wuqiang Cai, Lianyang Zhang, ... Zhi Zheng
Investigation of physical mechanisms behind full-scale engineered barrier systems through coupled thermal-hydraulic-mechanical (THM) simulations
Chia-Wei Kuo, Wan-Jung Kuo, Chung-Yi Lin
A line-to-volume contact algorithm for modeling the complex bond-slip behavior of grouted bolts in rock mass
Huangcheng Fang, Weijian Liang, Zhen-Yu Yin, Dingli Zhang, Qian Fang
Quantifying the effects of laminae on mechanical and damage characteristic of shale: Numerical investigation on digital rock models
Dingdian Yan, Luanxiao Zhao, Minghui Lu, Yonghao Zhang, ... Fengshou Zhang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the dynamic shear characteristics of wet joints
Shijie Xie, Jianchun Li, Shanyong Wang, Xing Li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Novel rigid block modelling approach for support design in underground mining, enabling new avenues for improved safety and efficiency
Thierry Lavoie, Erik Eberhardt, Véronique Boivin, Paul Germain, Jean-François Dorion
Rock-breaking characteristics and mechanisms of self-rotating self-excited oscillating water jets
Zhaolong Ge, Xiangjie Liu, Zhe Zhou, Di Zhang, Xu Zhang
Response of a large, low-porosity rock sample to hydromechanical loading
Pouyan Asem, Emmanuel Detournay, Vaughan Voller, Joseph F. Labuz
Evaluating shale reservoir fracability using triaxial hydraulic fracturing tests
Wuhao Guo, Yintong Guo, Xinao Zhang, Hao Qin, ... Chunhe Yang
Physics-guided multimodal deep learning reveals determinants of rock brittleness across scales
Qing Du, Xiaoju Kuang, Jiancheng Huang, Jincheng Liang, ... Shijiao Yang
Thermomechanical analysis of leak-off test in salt formations: Axisymmetric multilayer modeling for vertical wells
Themisson dos Santos Vasconcelos, Joao Paulo Lima Santos, Eduardo Toledo Lima Junior
Dynamic and static investigation of water-conducting fracture zone in weakly cemented strata of western China: Field-monitoring-based study
Dongding Li, Wenping Li, Jingzhong Zhu, Yuru Yang, ... Wei Kuo
Fracture Displacement Basis Function (FDBF) method for efficient geomechanical calculations of fractured rock
Giulia Conti, Stephan K. Matthai, Patrick Jenny
Effect of multiscale interface roughness on shear behavior of backfill-rock specimen
Wenkai Ru, Diyuan Li, Zhenyu Han, Hao Gong, Jinyin Ma
Closed-form solution and reliability analysis of deep lined tunnel behavior in anisotropic viscoelastic rock
Nam-Hung Tran, Duc-Phi Do, Minh-Ngoc Vu
An explicit 3D numerical manifold method with potential-based contact force for rock mass system
Junfeng Li, Yongtao Yang, Shuilin Wang
Mohr-Coulomb strength and FDEM parameter determination of weathered granite via optimized neural network and deep learning
Tong Ye, Chunshun Zhang, Zhuang Chen, Congying Li
Assessing the contribution of mineral composition to meso-macro progressive failure in granite under thermo-hydro-mechanical (THM) conditions: Inspiration for hydraulic fracturing in Enhanced Geothermal Systems (EGS)
Mengyi Li, Mengli Li, Fengshou Zhang, Zhijun Wu, ... Xiufeng Zhang
Automated bidirectional search for key blocks on complex high-steep slopes using spatial loops formed by intersections of discontinuities
Shengyuan Song, Han Xiao, Baotian Li, Mingyu Zhao, ... Jilin Li
Micro-mechanism of mechanical hysteresis of crystalline rock: Insights from time-integrated X-ray computed tomography and digital volume correlation
Qinxin Hu, Alice Macente, Shangtong Yang, Zoe K. Shipton, ... Junlong Shang
Analytical solutions of non-circular deep tunnels incorporating thermal stresses: from analytical solutions to its application in shape optimization
Huaning Wang, Ertai Wang, Fei Song, Wuyang Wang, Alfonso Rodriguez-Dono
SPH-based modelling of the entire rock caving process: insights into failure mechanisms
Vinh T. Le, Tien V. Nguyen, Murat Karakus, Giang D. Nguyen, Ha H. Bui
The novel learnable physics engines for interpretable elastoplastic models of geomaterials based on the message passing neural network
Xiao-Ping Zhou, Kai Feng
A predictive model for coal permeability evolution under thermal-mechanical-chemical coupling effects
Wu Gao, Wenjie Xu, Jianhang Shi, Zhigang Li, Yunmin Chen
Grain size effects on hydro-seismo-mechanical responses of granite during laboratory hydraulic fracturing
Xin Zhang, Guangyao Si, Yinlin Ji, Anye Cao, Changbin Wang
Determination of mine-wide in-situ stress using numerical back analysis: a case study of Jwaneng mine
Mingzheng Wang, Ming Cai, Sean Maloney, Michael Dunn
Machine learning-based data mining of reservoir landslide triggering mechanisms and failure time prediction for displacement sudden state
Shaoqiang Meng, Zhenming Shi, Gang Li, Michel Jaboyedoff, Thomas Glade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y on rock breaking characteristics of TBM disc cutter under coupled static-dynamic loading
Zenghui Liu, Shouwu Su, Shiguang Zhao, Yanlong Zheng
Automatic extraction of rock discontinuity orientations from 3D point clouds via an adaptive clustering and surface fitting approach
Mingming Ren, Jie Hu, Di Peng, Yuxiang Ding, Manchao He
New insights into tunnel spalling from scale model and element testing
Doandy Yonathan Wibisono, Marte Gutierrez
Physical model study of rock scour in unlined rock spillways
Michael F. George, Nicholas Sitar
Permeability enhancement of reservoir rocks loaded by repeated low-amplitude stress waves
Zheng Wang, Geli Zhao, Yachen Xie, Bangbiao Wu, Kaiwen Xia
A Bayesian reliability methodology for rock structures considering uncertainties in random field characteristics with limited data of rock properties
Akshay Kumar, Gaurav Tiwari
Acoustic emission source localization in complex rock structures using sparse-grid fast path tracing method
Jiong Wei, Jingren Zhou, Fuqiang Gao, Jinfu Lou, Tianhong Yang
Soils and Foundations
Volume 65, Issue 5 (September 2025) / https://www.sciencedirect.com/journal/soils-and-foundations/vol/65/issue/5

목차
Technical Paper
Characteristics and modelling of coral sand particle breakage under principal stress axis rotation
Zhangqing Xuan, Yanyan Cai, Jin Yu, Peng Xue
Laboratory experiments on small-scale freezing sampling method for sand
Pei-Chen Hsieh, Takashi Kiyota, Toshihiko Katagiri, Masataka Shiga, ... Ryohei Kobayashi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y on helical piles in aeolian sand: bearing behavior and design methods
Yongping Li, Songzhao Qu, Jing Bai, Dongming Yang, ... Zhe Zhang
An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research on shield screw conveyor discharging efficiency in moderately weathered mudstone strata and its influence on clogging
Bin Zhuo, Yong Fang, Liupan Dou, Xuedan Liu, ... Xiongyu Hu
Seismic bearing capacity of strip footing above cavities in rock masses
Yao Xiao, Qiuyan Lin, Wenyue Fang, Rui Zhang
In-situ investigation on installation mechanisms of pre-bored grouted planted piles in deep and thick sand layers
Jingwei Zhang, Zhencai Luo, Yunlong Liu, Bowen Zheng, ... Jin Kong
Experimental and numerical simulation for shear failure mechanism of silty clay-structure interface
Boxin Wang, Zihao Wang, Wen Zhang, Jingjing Pan, ... Qing Wang
Slaking mechanisms of a mudstone and prediction of its number-size distribution considering shape evolution
Danxi Sun, Hailong Wang, Hideo Komine, Guojun Cai, ... Daichi Ito
Technical Report
Study on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natural levees by field surveys: Case study of the Kokai River, Japan
Wenyue Zhang, Mai Tabuchi, Tomotaka Yoshikawa, Akihiro Takahashi
Special Issue on th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Resources for Environmentally Sustainable TechnologiesBioremediation for seleno-oxyanions in tunnel-excavated muck using selenate-reducing bacterium Stutzerimonas stutzeri NT-I
Osamu Otsuka, Mitsuo Yamashita
Liquefaction response of reclaimed soils from effective stress analysis
Riwaj Dhakal, Misko Cubrinovski
Seismic performance of an existing anchored quay wall in the Ravenna port (Italy)
Pierluigi Alesiani, Paolo Ruggeri, Viviene M.E. Fruzzetti, Giuseppe Scarpelli
Soils and Foundations
Volume 65, Issue 6 (December 2025) / https://www.sciencedirect.com/journal/soils-and-foundations/vol/65/issue/6

목차
Technical Paper
Upcycling rice husk biowaste to improve cement-based peat soil stabilization
Zhiliang Wang, Jiangpeng Cai, Miao Li, Linfang Shen
Triaxial mechanical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of Tianjin clay stabilized with fly ash-based geopolymer
Rui Jia, Zhenxing Chu
Investigation on the lateral performance of new piles in sand sites containing existing piles and shallow cement-treated backfill
Hongjiang Li, Tianyuan Wu, Songyu Liu, Liyuan Tong, ... Wenyuan Liu
Shear wave velocity based prediction of CaCO3 content and UCS in MICP-treated soils with different particle sizes
Yuhang Zeng, Hui Xu, Yubin Zheng, Hao Zheng, Ping Chen
Special Issue on the 3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Risk Assessment and
Sustainable Stability Design of Slopes - ISRSS-Sendai 2022
Dynamic analysis of wave propagation due to pile installation using numerical simulations
Maliha Tasnim Tilat, Sascha Henke
Geostatistical-learning-based site-optimum 3D integration of borehole logs and geophysical data in urban area in South Korea
Joung-Woo Han, Mingi Kim, Han-Saem Kim, Taek-Kyu Chung, Choong-Ki Chung
Enhanced microstructural analysis of black cotton soil stabilized through rice husk ash integration
Ankur Abhishek, Anasua GuhaRay, Toshiro Hata
김상엽
건국대학교 소방방재융합학과 조교수
(sangyeob@kku.ac.kr )
논문집 개요 소개
논문집 개요 소개 | 2025년 10월 제 41권 5호
PVA를 혼합한 제강슬래그의 강도증가 경향 및 항만개선에 대한 적용성 조사
오다테 유야(비회원, 일본 히로시마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석사과정)
하타 토시로(비회원, 일본 히로시마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교수)
백원진(정회원,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교수, bwj215@jnu.ac.kr)
장치운(비회원,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박사과정)
정지훈(비회원,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박사과정)
주윤하(비회원,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박사과정)
최근, 항만공사를 위한 매립재로 제강슬래그 혼합토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강슬래그 혼합토의 초기강도증진과 해양투기시의 탁도제어 및 양생기간의 단축을 목적으로 합성수지인 PVA를 병용했을 때의 강도증진경향 및 항만정비시의 적용성을 실내실험을 통해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슬래그와 PVA의 함량을 달리하여 베인 전단 시험과 일축 압축 시험을 수행하여 최적의 배합을 결정하였다. 다음으로, 공극률을 계산하고, SEM 분석을 통해 강도 변화에 기여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항만 건설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탁도 시험과 해수 노출 시험을 수행하여 PVA로 처리된 철강 슬래그 점토의 실제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양생기간을 달리한 일축압축시험결과, PVA를 사용하면 접착 특성으로 인해 초기 강도가 증가했지만, 시편 내 공극 증가와 수화 반응 억제로 인해 경화가 진행됨에 따라 강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PVA를 병용사용함으로써 해수노출시의 부정적인 요소는 보이지 않았으며, 혼합토의 양생직후 탁도제어효과와 해수 환경하에서 장기적인 내구성이 확인되어 항만 정비시의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음벽 기초의 안정성 및 마이크로파일 보강효과
최성욱(정회원, 대진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박사)
김영민(정회원, 대진대학교 스마트시티건설융합공학과 박사과정)
이강일(정회원, 대진대학교 스마트건설환경공학과 교수, kilee@daejin.ac.kr)
본 연구는 방음벽 기초가 설치되는 사면의 앞굽 경사에 따른 기초의 안정성을 수치해석을 통해 분석하고,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 조건에서 마이크로파일의 보강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강도감소법을 이용한 사면안정 해석 결과, 앞굽 경사가 1:1.5(약 33.3°)를 초과할 경우 기초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았으며, 이에 마이크로파일을 설치하여 파일 설치 길이(L)에 따른 기초의 침하 및 수평변위 저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파일 설치 길이에 따른 변위 감소율은 L/D ≤ 30 범위 내에서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경제적 측면을 고려할 때 15 ≤ L/D ≤ 30이 적정한 보강 길이로 판단된다.
물리적 모델과 데이터에 기반한 해저지반 투수계수 예측
박채원(정회원, 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학석사과정)
박정희(정회원, 인천대학교 도시환경공학부 조교수, junghee.park@inu.ac.kr)
기후 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해저 에너지 지반 구조물에 대한 개발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해저 지반의 공학적 물성치를 정확히 예측하고 평가하는 것은 신뢰할 수 있는 설계 정수를 제공하며, 성공적인 해저지반 구조물 프로젝트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저지반에 널리 분포하며 일반적인 흙보다 훨씬 낮은 비중을 가지는 다이아톰을 포함한 지반 조건이 유체의 흐름에 미치는 영향을 데이터에 기반한 물리적 모델과 실내실험을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첫번째로, 다이아톰 슬러리의 점성을 고려한 입자의 삼상관계 분석을 통해 유체의 흐름을 결정하는 다이아톰 함량 예측을 이론적으로 접근하였다. 두번째로, 모래-다이아톰 혼합 시료를 다양한 다이아톰 무게비에 따라 준비 후 실내 투수계수 시험을 수행하였다. 세번째로, 본 연구에서 얻은 실험결과와 방대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안된 투수계수 예측 모델을 비교하여 비표면적 관점에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다이아톰 함량에 따른 투수계수 변화는 세가지 경향을 보여주었다: (i) 모래의 간극을 다이아톰이 채움으로써 일어나는 투수계수의 급격한 감소 구간, (ii) 다이아톰에 의하여 형성되는 간극의 크기가 지배적인 전이 구간, (iii) 다이아톰의 입자 표면을 따라 발생하는 동적 전단저항력 증가 구간.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 입자 표면을 가지는 다이아톰이 해저지반의 유체 흐름에 미치는 영향을 비표면적 SS (i.e., drag force)과 간극비 e (i.e., pore size) 관점에서 분석하고 주어진 입자의 기본 물성치를 이용하여 단순화된 이론식을 통해 투수계수를 예측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해상연약지반 탐사를 위한 수압보상형 자중관입식 다중물리 콘 관입시험기 개발
이준아(정회원, 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석사과정)
박정희(정회원, 인천대학교 도시환경공학과 조교수, junghee.park@inu.ac.kr)
해저공간에 대한 발전가능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해저 지반구조물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해저지반조사 방법들의 한계점을 개선하기 위해 수압보상형 자중관입식 다중물리 콘 관입시험기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새로운 콘 관입시험기는 콘 팁 모듈과 주면마찰력 로드셀을 구조적으로 분리한 설계를 통해 선단저항력과 주면마찰력을 독립적으로 측정한다. 특히, 수압보상형 선단부 콘 팁 모듈은 해수면 수심에 따라 증가하는 정수압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선단저항력을 평가하도록 설계되었다. 콘 시험기 내부에 가속도계를 설치하여 콘 관입경사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콘 관입시험기의 현장 적용성 평가를 위해 점토 - 모래 혼합시료를 조성하여 콘 자중에 의한 관입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선단저항력은 콘 관입에 따라 뚜렷하게 구분되는 3가지 경향을 보여주었고 선단저항력은 모래 비중이 높은 시료에서 더 크게 나타났으며, 혼합시료의 불균질성을 보여주었다. 주면마찰력은 매우 연약한 시료 조건으로 인해 거의 0으로 나타났다. 측정된 가속도계 데이터는 콘 관입경사를 판단하기 위해 매우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배수/비배수 분석 및 향후 목표로 하는 해저지반 천층부의 비압밀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수압보상형 자중관입식 다중물리 콘 관입시험기는 2cm/sec 이상의 관입속도에 독립적이며 잔류유효응력에 의해 결정되는 해저 연약지반의 강도특성을 효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세립분 함량에 따른 성토재료의 장기압축침하 거동 분석
이승준(정회원,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석사과정)
방태완(정회원,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통합과정)
도종남(정회원,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지하안전평가센터 수석연구원)
조완제(정회원,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교수, jei0421@dankook.ac.kr)
지중구조물 상부 성토 및 뒤채움 지반은 외부 하중을 전달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구조물과 상호작용하여 안정성 및 성능 확보에 기여한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생하는 지반의 Creep 침하는 구조물의 변형, 균열 발생 등 안정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 사례가 지속적으로 보고됨에 따라 지반 장기거동 특성 및 그 영향에 대한 공학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사례 및 Creep 메커니즘 분석을 통해 하중과 세립분 함량을 주요 영향 인자로 파악하고, 실제 성토재료를 대상으로 대형 압축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실험 결과를 토대로 주요 장기 침하 예측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재하 하중 및 시료 내 세립분 함량 증가는 Creep 변형을 증가시켰으며, 특히 고하중 및 세립분 25% 조건의 경우 전체 변형의 약 40% 정도가 Creep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조건에서는 사질토의 침하 예측 방법 간 편차가 크게 발생하였고, 일부는 경험적 예측 범위(1.1%)를 초과하는 장기 변형 가능성도 확인되었다. 이는 현행 기준을 충족하는 사질토 재료의 경우에도 고성토 조건 등에서 허용 한계 이상의 침하 발생 가능성을 나타내며, 장기 침하에 대한 안정성 확보를 위해 설계 기준의 적정성 검토 및 보다 엄격한 관리 기준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모형 토조 시험을 이용한 모세관 방벽 시스템의 침투 특성
고준연(정회원,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공학석사)
박현수(정회원, ㈜금호건설 기술연구소 매니저)
김영민(정회원,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석사과정)
김병수(정회원,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부교수)
박성완(정회원,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교수, spark@dankook.ac.kr)
모세관 방벽 시스템(Capillary Barrier System, CBS)은 토목 및 지반공학 분야에서 강우 침투를 제어하고 토양 구조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모형 토조 시험과 침투 해석을 통해 CBS의 침투 특성을 평가하였다. 경사 및 세립토층 두께가 CBS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임을 확인하였으며, CBS를 통하여 비탈면의 강우 침투를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강우 강도가 증가할수록 CBS의 성능이 다소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CBS 설계 및 최적화를 위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였으며, 실제 비탈면에 강우 침투 방지 시스템으로서 CBS 적용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원심모형실험을 활용한 지하굴착시 배면지반 거동평가
김재현(정회원, 강원대학교 토목공학과 부교수)
박종전(정회원, 일신지질 서울지사 지사장, 공학박사)
고준영(정회원. 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부교수, 공학박사)
이지승(비회원, 국토안전관리원 선임연구원)
이철주(정회원, 강원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문준식(정회원, 경북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j.moon@knu.ac.kr)
지하공간 개발의 수요 증가로 인해 지하 굴착공사가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굴착 중에 발생하는 배면지반의 침하 및 변형이 주요한 공학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지반 굴착시 배면지반에 변형을 유발하는 영향범위는 일반적으로 이론 및 경험적 추정방법에 의존하고 있으나, 현장지반과 지지구조체 조건에 따라 영향범위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어 이에 대한 정량적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굴착시 배면지반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해 원심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원심모형실험 중 단계굴착 모사가 가능한 실험시스템을 구축하고, 굴착과정에서 발생하는 지반거동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지반조건(모래, 풍화암)과 지지구조체 형식(앵커, 버팀보)에 따른 배면지반 영향범위를 산정하였다. 실험 결과, 영향범위에 대한 이론 및 경험적 추정방법과 실험결과가 특정 조건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굴착시 영향범위를 추정하고 지하안전법에 따른 계측계획 수립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소수화 처리된 주문진 표준사의 소수성 및 역학적 거동 특성 평가
한영웅(정회원,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석사과정)
김진형(정회원,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석사과정)
김재현(정회원, 강원대학교 건축토목환경공학부 부교수)
박성완(정회원,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교수)
김병수(정회원,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부교수, bs.kim@dankook.ac.kr)
국내의 사면 붕괴는 대부분 집중호우 시기에 발생한다. 본 연구는 강우 침투로 인한 사면 안정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공법으로, 소수성 지반재료를 차수층으로 적용할 때의 공학적 특성을 평가했다. 소수성 주문진사는 소수성 평가를 위한 Water infiltration head(WIH) 시험에서 WIH = 10.24 cmH2O, Water drop penetration time(WDPT) 시험에서 3,600초 이상의 침투 저항, 그리고 접촉각 측정 시험에서 134.6°를 나타냈다. 또한 소수성 주문진사의 역학적 특성 파악을 위해 직접전단시험을 실시하여 친수성과 소수성 재료의 내부마찰각이 각각 40.3°과 32.3°가 얻어졌고 약 20% 감소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러한 소수성 재료의 차수 성능 증가와 전단강도 저하 특성은 향후 소수성 차수층의 공학적 적용 시, 국부적인 강도 감소와 사면 전체의 강우 침투 차단 효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안정성 평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수치해석을 통한 말뚝지지 전면기초의 설계 영향인자 분석
양치영(정회원, 대진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박사과정)
정기창(정회원, 대진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박사과정)
이강일(정회원, 대진대학교 스마트건설환경공학과 교수, kilee@daejin.ac.kr)
본 연구는 말뚝지지 전면기초의 거동 특성에 미치는 설계 인자별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설계인자별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현장 계측과 수치해석(PLAXIS 3D)을 병행하여 말뚝지지 전면기초의 하중-침하 거동과 하중 분담 특성을 검토하였다. 특히 말뚝 직경, 기초 폭 및 두께, 말뚝 재료, 근입 조건 등 주요 변수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였다. 해석 결과, 기초 폭 및 두께의 증가는 침하 안정성 확보에 유리하며, 0.7~0.8m 직경의 말뚝이 구조적 효율성과 시공성 측면에서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관말뚝은 PHC 말뚝 대비 우수한 하중 분담 성능을 보였으며, 암반 근입 조건이 토사 근입 조건보다 침하량이 적고 하중 분담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양한 수위 변화에 대한 하천제방의 장기적인 안정성 분석
김재홍(정회원, 동신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부교수)
남 건(정회원, 광양만경제자유구역청 지역개발국장)
김법정(정회원, 동신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박사과정)
김태완(정회원, 동신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박사과정, kyoug222@naver.com)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강우에 대응하기 위하여 하천제방의 유지관리 및 보강공법은 지속적인 공학적 문제이다. 이러한 기술의 고도화를 위하여 저수지 및 하천제방과 같은 시설물을 대상으로 다양한 파괴유형을 고려한 해석이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수위급강하(Drawdown)로 인해 붕괴가 발생한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의 하천제방을 대상으로 수위 변화에 따른 제체의 거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제방의 월류 및 홍수위에서의 수위급강하와 같은 극한 수위 변화를 대상으로 불포화 침투해석과 사면안정해석을 연계하여 시간에 따른 안전율 변화를 분석하였다. 국내 대부분 하천제방 현장 붕괴에 대한 조치는 재발생의 예방 차원에서 보강 설계가 주로 수행되며, 장기적인 안정성은 충분히 고려되지 않고 있다. 장기적인 제체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비탈면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에 대한 보완뿐만 아니라 제체 내부로의 침투수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추가적인 보강대책이 함께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느슨한 사질토지반 액상화 저항특성 및 친환경 보강재(GeoCem) 연구
전 욱(정회원, 충북대학교 토목공학과 박사과정)
이의찬(정회원, 충북대학교 토목공학과 석사과정)
정종원(정회원, 충북대학교 토목공학부 교수, jjung@chungbuk.ac.kr)
국내 주요 도심지의 지표 부근은 대부분 느슨한 매립층 및 퇴적층으로 구성되어 있어 액상화(Liquefaction) 발생 가능성이 크다. 액상화 피해 대책으로 주로 적용되고 있는 시멘트계 보강공법은 이산화탄소(CO2) 발생 및 온실가스 증가로 기후변화를 가속하며, 지하수 및 토양 오염을 유발하므로 시멘트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보강재료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포항 모래와 시멘트 보강 모래를 대상으로 반복전단시험을 실시하여 액상화 저항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으며, 기존에 사용되어온 시멘트보다 경제적이면서 친환경적이고 액상화 저항특성이 우수한 친환경 보강재료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친환경 보강재료는 지반보강 시 시멘트 대신 사용되어 시멘트 사용량을 최소화하고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임으로써 탄소중립에 기여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딥러닝 기반 동재하시험 자료를 활용한 PHC 매입말뚝의 연직지지력 예측
김규선(정회원, 삼성물산㈜ 건설부문 기반기술팀 프로, kyusun@empas.com)
본 연구에서는 SDA 공법으로 시공된 PHC 매입말뚝의 연직지지력을 주면마찰력과 선단지지력으로 분리하여 예측하는 다중출력 회귀 딥러닝 모델을 개발하였다. 국내 다양한 조건에서 수집된 2,457개의 동재하시험 데이터셋을 딥러닝 학습에 이용하였으며, 말뚝제원, 지반조건, 항타조건, 시공조건 등의 8개 입력변수와 주면마찰력, 선단지지력, 총지지력의 3개 출력변수로 모델을 구성하였다. 학습된 딥러닝 모델의 정확도는 각각 주면마찰력 R2=0.786, 선단지지력 R2=0.740, 총지지력 R2=0.825로 나타났으며, 출력변수에 대한 입력변수의 영향성 분석결과, 주면마찰력은 경과시간과 말뚝길이, 선단지지력은 경과시간과 말뚝직경, 총지지력은 말뚝직경과 경과시간이 주요 영향인자로 파악되었다. 복잡한 거동을 나타내는 매입말뚝의 지지력 특성을 효율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딥러닝 모델은 현장 시공관리자가 목표 품질수준에 부합하는 항타조건 및 시험시기를 간편하게 예측하여, 효과적인 매입말뚝 시공 및 품질관리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판단된다.
미세플라스틱 혼입률에 따른 지반의 전단거동
윤현수(정회원, 경상국립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박사과정)
윤성규(정회원, 경상국립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공학박사)
강기천(정회원, 경상국립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부교수, gkang@gnu.ac.kr)
최근 미세플라스틱에 의한 환경오염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으며, 해양에서는 해양생물의 체내 축적과 먹이사슬 전이, 토양에서는 농경지와 매립지에서의 장기 잔류, 대기에서는 부유 및 장거리 확산 등 다양한 형태의 오염이 보고되고 있다. 미세플라스틱은 크기 약 5mm 이하의 작은 플라스틱 입자로 공기, 물, 흙 등 다양한 환경에서 발견된다. 환경학적 연구는 많이 수행되고 있으나, 지반공학적 관점에서의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표준사에 미세플라스틱을 혼입(0~8%)하여 제작한 시료를 대상으로 다짐시험 및 전단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2~6%의 경우 전단강도가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에서는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미세플라스틱 혼입률에 따라 지반의 전단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지반 안정성 평가 시 미세플라스틱 함유 특성을 고려한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월면 구조물 내진설계용 설계응답스펙트럼 개발: 아폴로 유성체 충돌 기록 기반
조형익(정회원, 국립경국대학교 조교수)
한진태(정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김석중(정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김종관(정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jongkwan@kict.re.kr)
월면의 고유한 환경인 월진(Moonquakes)에 대한 내진설계기준은 현재 부재하여 향후 건설될 구조물의 장기 안정성 확보는 공학적 난제로 남아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공학적 수요에 따라 아폴로(Apollo) 임무 기간 획득한 실측 월진 기록을 기반으로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월면의 내진 설계응답스펙트럼(Lunar Design Response Spectrum, LDRS)을 개발하고자 한다. 월진 기록은 강한 산란(Scattering)과 낮은 감쇠(Attenuation) 특성으로 인하여 지진파와는 현저히 다른 파형 특성을 보이는데 반하여,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은 매우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내진설계에 필수적인 수평 방향 월면 운동을 합리적으로 산정하기 위하여, 단주기와 중주기 수직 기록의 광대역 합성에 기초하여 수직 방향 LDRS 형상과 최대 스펙트럴 가속도 수준을 우선적으로 결정하였다. 이후, 중주기 계측기록의 수평/수직 스펙트럼 비율(H/V Spectral Ratio)을 산정하여 최종적으로 수평 방향 LDRS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설계응답스펙트럼이 향후 건설될 월면 구조물의 예비 내진설계 및 위험도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유기물 함량에 따른 준설매립 점토지반의 물성 및 압밀 특성 분석
문영호(비회원, 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박사과정)
김유현(비회원, 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석사과정)
송 훈(비회원, 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박사과정)
김종찬(정회원, 부경대학교 지속가능공학부 토목공학전공 조교수)
김윤태(정회원, 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교수, yuntkim@pknu.ac.kr)
본 연구는 ○○항만에서 채취한 준설매립 점토를 대상으로 유기물 함량이 지반의 물성 및 압밀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유기물 함량을 0%, 4%, 8%, 12%, 24%로 조절하여 시료를 제작하고, 물성 시험(비중, 액성한계, 소성한계, 소성도) 및 압밀 시험(일차 및 장기 압밀)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유기물 함량이 증가할수록 입자 비중은 감소하고, 액성한계 및 소성한계는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소성도표 분석 결과, 유기물 함량 0-8% 시료는 CL(무기질 저소성 점토) 영역에 분포하였으며, 12% 이상인 시료는 ML, OL, OH 등으로 분류되어 유기물이 흙의 소성과 압축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압밀 시험 결과, 유기물 함량이 증가할수록 압축지수(Cc) 및 이차압축지수(Cα)가 선형적으로 증가하였고, 특히 이차압축지수의 증가폭은 기존 문헌보다 크게 나타나 장기 압밀 침하에 대한 민감도가 높음을 보여주었다. 이를 바탕으로 점토층의 이차압축 침하량을 예측한 결과, 실제 유기물 함량(약 7.2%) 조건에서 점토층이 30m 이상일 경우 6-8년 안에, 40m 이상일 경우 3-5년 안에 허용 침하량(10cm)을 초과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준설매립지의 유기물 함량이 지반 안정성과 장기 침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제시하였으며, 스마트항만 등 고정밀 기반시설 설계 시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벤토나이트 함량 및 온도에 따른 소듐 벤토나이트 슬러리의 전기전도도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설희(정회원, 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석사과정)
우상인(정회원, 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전공 부교수, siwoo@inu.ac.kr)
본 연구는 벤토나이트 슬러리의 벤토나이트 함량과 전기전도도의 상관성을 규명하고, 온도 변화가 전도도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벤토나이트 함량이 증가할수록 전기전도도는 상승했으나 기존의 선형 관계와 달리 비선형적 경향을 보였다. 이는 용출 이온 농도 증가가 전도도를 높이는 효과와, 높은 이온 농도에서 이동도가 저하되는 효과가 동시에 작용한 결과로 해석된다. 또한 온도 상승 시 전도도는 증가했지만 단순한 점성 감소로는 설명되지 않는 비선형적 거동을 나타냈다. 이를 정량화하기 위해 도출한 온도보정계수(α)는 비선형 상관성을 보여, 벤토나이트 함량이 전도도의 온도 민감도에 미치는 복합적 영향을 반영한다. 본 연구는 전기전도도를 활용한 벤토나이트 함량 평가 기법이 기존 메틸렌 블루 시험법보다 신속하고 객관적이며, 고함량 및 다양한 온도 조건에서도 적용 가능함을 시사한다. 이는 차수재 품질 관리와 현장 적용에서 전기전도도 기반 기법의 활용 가능성을 확장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전기비저항을 이용한 투수블록의 투수성능 분석
이동현(비회원,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석사과정)
박준식(비회원,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박사과정)
도해주(정회원,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박사과정)
이정민(비회원, LH 토지주택연구원 센터장)
권순철(비회원,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정교수)
오태민(정회원,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부교수, geotaemin@pusan.ac.kr)
빗물관리시설 중 하나인 투수블록은 유출수 저감과 우수 저류를 통해 도심지 물순환 개선 및 열섬현상 완화에 기여한다. 그러나 장기 사용 시 협잡물에 의해 공극이 폐색되어 투수성능이 저하되므로, 성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평가 기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비저항 측정을 이용하여 투수블록의 투수성능을 비파괴적으로 평가하고, 공극 폐색 정도를 간접적으로 판단하고자 하였다. 비표면적이 다른 두 종류의 골재로 투수블록을 제작하고, 결합재량을 달리하여 투수블록의 공극률을 조절하였다. 전기비저항 측정을 통하여 전기비저항과 투수블록의 투수성능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전기비저항 값의 변화를 통해 투수성능을 판단하였다. 이를 통해 전기비저항이 투수블록의 성능 저하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유효한 지표임을 확인하였다.
영문논문집 개요 소개
Impact of dissolved salt type and content on mechan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porous cementitious materials
Mohammad Mehdi Karbala1†, Soha Iranfar2†, Mohammad Hossein Shahsavari3 and Mahmood Shakiba4*
1 Rock Mechanics Division, School of Engineering, Tarbiat Modares University, Tehran, Iran
2 Department of Petroleum Engineering, Abadan Faculty of Petroleum, Petroleum University of Technology (PUT), Abadan, Iran
3 Department of Petroleum Engineering, Amirkabir University of Technology (Tehran Polytechnic),Tehran, Iran
4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Faculty of Engineering, Ferdowsi University of Mashhad, Mashhad, Iran
† Mohammad Mehdi Karbala and Soha Iranfar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Correspondence: Mahmood Shakiba mshakiba@um.ac.ir
Salt precipitation is a major factor influencing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concrete during curing. In this study, the impacts of the type and concentration of various salts on the characteristics of porous cementitious materials were investigated using a series of engineered porous concrete specime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chemical interactions among interparticle cement, clay mineral, calcite, and different salts in aqueous media during 28 days of curing could alter properties such as porosity, permeability, and mechanical strength depending on salt concentration. Among these, concrete permeability was most affected. There was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 of monovalent ions and concrete porosity and permeability. In contrast, for divalent ions in the concentration range of 10-30 g/L, an optimum value of 15 g/L resulted in the lowest salt precipitation and highest porosity and permeability values. Furthermore, different salts present during curing led to an increase of up to 16% in compressional wave velocity. Based on the results of ultrasonic and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UCS) tests, linear and exponential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porosity and compressional/shear wave velocities, while UCS was exponentially related to porosity.
Influence of block shape and size distribution on bimslope stability: a numerical investigation of static and seismic behavior
K. Gayathridevi1 and Arunava Ray2*
1 School of Civil Engineering, Vellore Institute of Technology, Vellore, Tamil Nadu 632014, India
2Centre for Disaster Mitigation and Management, Vellore Institute of Technology, Vellore, Tamil Nadu 632014, India
*Correspondence: Arunava Ray arunava.ray@vit.ac.in
Geomaterials with block-in-matrix textures are complex, heterogeneous materials. The behaviour of this Soil-Rock Mixture under external loading differs significantly from that of pure rock or soil. As a result, executing engineering projects on these materials can be quite challenging. To ensure safety and stability, it is essential to assess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oil-Rock Mixture, including block proportion, size, shape, orientation, and soil-rock interaction. This study employed numerical simulations using Finite Element Method analysis in RocScience RS2 software to assess the safety factor of the slopes made up of Soil-Rock Mixture, or commonly known as Bimslope. The analysis included variation in the percentages of volumetric block proportions and block sizes, derived from statistical analysis, to effectively represent the distribution of blocks in the field. Simulations were conducted under both static and seismic loading conditions, resulting in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Bimslope’s stabil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when the slope consists of a combination of different block shapes, the safety factor increases due to the formation of a tortuous failure surface, which is more stable than a slope having uniform shape blocks. The angular shape of blocks improves interlocking, which leads to a more effective failure surface that requires more energy to shear through. This increased interlocking and high interface friction enhance the overall shear strength and stability of the slope.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if the blocks are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lope and are aligned parallel to the slope angle, they are more susceptible to sliding off. Under seismic loading conditions, most slopes were found to be unsafe, except for those with a higher proportion of smaller blocks.
Soil stabilization utilizing an optimized combination of polyurethane foam and cement
Lina Jaber1* , Rona Balhas1, Mohamad El Ahmad2 and Ghida Alhakim1
1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Beirut Arab University, Beirut, Lebanon
2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Villanova University, 800 Lancaster Ave, Villanova, PA 19085, USA
*Correspondence: l.jaber@bau.edu.lb
Rigid and flexible polyurethane foam are recognized for their soil stabilization benefits, backed by substantial research. However, these forms encounter limitations due to expertise and costs. This prompts the investigation of semi-rigid foam, like foam balls, which serves as an efficient waste management technique. Such foams offer practical benefits by seamlessly blending with the soil, reducing time and expens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semi-rigid foam balls affect the soil compaction and shear characteristics of untreated and cement-treated clayey soils, addressing existing gaps in the literature. Soil samples were tested with foam alone at 5, 10, 15, and 20%, cement alone at 5, 7, 10, and 15%, and a mix of foam and cement. Their compaction and shear behavior were assessed individually and in combinations. Results showed that while cement outperformed foam alone, a 10% cement and 10% foam mix significantly enhanced soil cohesion by 10.13 times and angle of friction by 1.65 times, leading to a 4314.7% increase in bearing capacit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semi-rigid foam integrates effectively with the soil and synergistically improves cement stabilization effects. The combination of foam balls and cement presents a promising approach for soil stabilization applications. It offers a cost-effective and practical solution for addressing soil challenges in construction projects.
Correlation between shape parameters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soil water retention curves
Younes Salami1,2* and Reda Jaafri2
1 National School of Architecture of Fès, Parc Fès-Shore, Sidi Hrazem Road, 30000 Fès, Morocco
2 LaGCHEC Laboratory, Hassania School of Public Works, Oasis, BP 8108, Casablanca, Morocco
*Correspondence: younes.salami@enafes.ma
The Soil Water Retention Curve (SWRC) is a critical property for understanding water movement in unsaturated soils, influencing hydraulic conductivity and shear strength. While empirical models like those of Brooks and Corey and van Genuchten are widely used, they often lack a direct connection to soil microstructure. This study introduces shape parameters ν (for particle size distribution, PSD) and μ(for SWRC) to establish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soil grading and water retention. Using the UNSODA database, we analyzed 301 soil samples across various textures and void ratios. Results show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ν and μ, particularly in soils with lower void ratios, where denser packing enhances the influence of PSD on water retention. Coarser soils exhibited stronger correlations, while finer soils showed more complex behavior due to additional hydraulic mechanisms. The proposed empirical formula provides a practical tool for predicting SWRC based on PSD, offering a balance between simplicity and physical relevance. Validation using independent datasets confirmed the model’s robustness for granular soils but highlighted limitations in fine-grained soils, where clay content introduces divergence. This study advances the understanding of soil-water interactions and provides a valuable framework for geotechnical and hydrological applications
회원동정
2025년 10월 신규가입자
12938, 강철환, 종신회원, 한국과학기술원 건설및환경공학과 박사후과정
12939, 김석현, 정회원, 명지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2940, 김은기, 정회원, ㈜테스콤엔지니어링 건설사업부 전무
12941, 변요셉, 정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본부 수석연구원
12942, 서준영, 종신회원,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
12943, 신좌일, 정회원, 신안군청 섬안전개발국 국장12944, 양찬우, 종신회원,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2945, 염유리, 종신회원,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2946, 이호엽, 정회원,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융복합연구소 선임연구원
12947, 최현철, 종신회원, 한국도로공사 진천지사 도로안전부 부장
12948, 허윤검, 종신회원, 경북대학교 농업토목공학과 박사과정
12949, 허재혁, 정회원, 금호지질 공무부 부사장
12950, 권찬조, 종신회원, 아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대학원생
12951, 김대희, 정회원, 한국과학기술원 건설및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2952, 김수겸, 종신회원, 연세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2953, 문연성, 정회원, CX company 연구관리팀 기술이사
12954, 박광희, 종신회원, HJ중공업 토목공사팀/김포전력구현장 총괄
12955, 송아란, 정회원, Wood Thilsted Partners Senior Geotechnical Engineer
12956, 신유석, 정회원, 리더건설㈜ 토목사업부 대표이사
12957, 이동천, 종신회원, 아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대학원생
12958, 이범택, 정회원, 서연엔지니어링 기술영업팀 부사장
12959, 이정흠, 종신회원, 한울디앤비 지반터널부 상무
12960, 전재영, 정회원, 한국과학기술원 건설및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2961, 정기창, 정회원, 금화산업개발㈜ 관리부 대표이사
12962, 한설희, 정회원, 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2963, 홍성구, 정회원, ㈜건주이앤씨 지반부 전무
총 26명 (정회원 15명/종신회원 11명)
학생회원
111253, 황승민, 학생회원, 동국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학부생
111254, 김주희, 학생회원, 경희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과 학부생
승급회원(학생회원 → 정회원)
12964, 이의찬, 정회원, 충북대학교 토목공학과 석사과정
12965, 박채원, 정회원, 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석사과정
회원 여러분 안녕하세요!
무더운 여름이 지나고 야외에서 활동하기 정말 날씨가 좋은 11월이 되었습니다. 이번 지반(한국지반공학회지) 제 41권 제6호 11월호 편집 준비과정을 통해 한권의 학회지가 나오기까지 한국지반공학회 회원분들의 많은 노력과 헌신이 필요하다는 것을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였습니다.
이번 2025년 11월호에서는 한국지반공학회 부회장님이신 김영상 교수님의 권두언을 시작으로 앞으로 지반공학회가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또한, 특별테마에서는 인구의 도시 집중화 가속에 따른 교통량 증가로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도심지의 교통혼잡 문제를 지하고속도로와 TBM 기술을 통해 해결할수 있을것이라는 긍정적인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기술기사에서는 위성정보를 기반으로 교통량 증가의 또 다른 해결책으로 주목받고 있는 철도시설물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들을 다루었으며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한 결과물들이 실제 구조물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어떻게 접목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습니다.
‘흙, 돌, 그리고 나’에서는 2025년 9월 17일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개최된 제 7회 Transoildcoild 국제학술대회 참석 후기가 담겨 있으며, 특히 ‘학생기자단’은 인천대학교 학부생들의 관점에서 바라본 Transoilcold 국제학회의 전반적인 인상과 학회 참석을 통해 느낌점과 앞으로의 다짐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젊은 지반공학자’ 소개면에서는 극한 조건(extreme conditions)과 자연재해에 노출된 지반의 물리적 변화, 그리고 그에 따른 복원력(resilience) 연구에 대한 젊은 연구자들의 연구비전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밖에도 회원동정, 해외학술지 소개, 여행스케치 등 추가적인 읽을거리들은 2025년 11월호 학회지를 더욱 짜임새 있게 만들어 주었다고 생각됩니다.
한국지반공학회 학회지 준비를 위해 많은 노력과 헌신을 기울여주시는 회원분들에게 다시 한번 감사의 말씀을 전하여 학회지가 한국지반공학이 나가야할 방향에 대해 항상 고민하고 의논하는 연구자 및 엔지니어들의 교류의 장이 되길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박정희
편집위원회 부위원장
인천대학교 도시환경공학부 조교수
















































